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게이밍-홈시네마 넘나드는 전천후 빔프로젝터, 뷰소닉 LX700-4K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31 14:14:59
조회 1111 추천 1 댓글 0
[IT동아 김영우 기자] 요즘 출시되는 디지털 제품 중 ‘게이밍’ 이라는 문구가 붙은 제품이 적잖게 눈에 띈다. ‘게이밍 노트북’, ‘게이밍 TV’, ‘게이밍 키보드’ 등, 종류도 다양하다. 이른바 ‘게이밍 기어’라고 불리는 이들 제품의 특징이라면 일반 제품 대비 높은 스펙, 개성 있는 디자인, 그리고 특별한 부가기능 등이다. 그러다 보니 이런 제품은 게이밍이 아닌 다른 작업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뷰소닉 LX700-4K / 출처=IT동아



이번에 뷰소닉(ViewSonic)에서 선보인 게이밍 빔프로젝터인 LX700-4K 역시 그런 경우다. 4K UHD(3840x2160)의 높은 최대 해상도와 더불어 최대 240Hz(FHD 모드)의 주사율(1초당 전환되는 이미지의 수), 그리고 300만 : 1의 높은 명암비(화면의 밝은 곳과 어두운 것을 구분하는 능력)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인증(Designed for Xbox)을 받은 제품 답게, 게임 콘솔에서 최적이라는 1440p(QHD)/120Hz 모드를 지원하는 것도 장점이다.

이와 더불어 밝은 곳에서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3500 안시루멘의 밝기, 그리고 100인치 화면을 2.35m의 짧은 거리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단초점을 구현했으며, 최대 3만 시간의 긴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레이저 광원을 탑재하는 등, 가정용 빔프로젝터로서는 더할 나위 없는 스펙을 갖췄다.

작은 본체, 높은 공간 활용성


뷰소닉 LX700-4K의 본체 크기는 286x216x129(너비x길이x높이)mm로, 높은 스펙에 비해 상당히 작은 편이며, 무게 역시 3.3kg으로 가벼운 편이다. 이는 전원부를 본체에 내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독특한 설계인데, 전원 어댑터가 다소 묵직한 대신 본체의 공간 활용성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본체 크기가 작은 대신 전원 어댑터가 큰 편이다. 본체 하단에 전원 어댑터를 고정할 수 있는 홈이 있다 / 출처=IT동아



참고로 본체 하단에는 제품을 책상 위에 두고 쓸 때 전후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 3개, 그리고 천장 설치용 마운트 홀 3개가 달렸다. 이와 더불어 전원 어댑터를 올려둘 수 있는 홈, 그리고 이를 케이블 타이 등으로 고정 가능한 고리도 달려있는데, 천장 설치 시 전원 어댑터를 둘 곳이 마땅치 않을 때 유용할 것이다.

세미 단초점, 다채로운 키스톤, 높은 광량 돋보여


본체 전면의 렌즈를 통해 최대 3840x2160의 4K UHD급 해상도, 최대 밝기 3500 안시루멘의 이미지를 투사한다. 높은 밝기를 이용해 최대 300인치의 대화면을 투사할 수 있으며, 1.36배의 광학줌 기능을 통해 2.35m의 거리에서 100인치 화면을 볼 수 있다. 일반적인 가정용 프로젝터는 100인치를 구현하기 위해 3m 전후의 긴 투사거리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에 비해 뷰소닉 LX700-4K는 다소 좁은 공간에서 큰 화면을 보고자 할 때 유리한 세미 단초점 빔프로젝터다.


3500 안시루멘의 레이저 광원 덕분에 밝은 곳에서도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 / 출처=IT동아



본체 상단 정면에는 배율을 조절하는 줌 링과 초점 조절용 포커스 링, 그리고 렌즈 위치의 상하 조절이 가능한 렌즈 시프트 링을 탑재했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투사 이미지의 세세한 조정이 필요할 때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주로 고급형 기종에 적용되곤 한다.


줌 링, 포커스 링과 더불어 렌즈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렌즈 시프트 링까지 품었다 / 출처=IT동아



작은 본체, 그리고 렌즈 시프트 기능 외에 이 제품은 설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갖췄다. 대표적인 것이 다채로운 키스톤 기능이다. 이는 프로젝터 렌즈와 투사면이 완전한 수평을 이루지 못해 사다리꼴 모양으로 투사 영상이 일그러질 때 이를 보정하는 기능인데, 뷰소닉 LX700-4K는 일반적인 수직/수평 키스톤 외에도 아주 섬세하게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4코너 조정 기능까지 제공한다.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정상 투사가 불가능한 각진 면에도 보정을 통해 반듯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한 4코너 조정 기능 / 출처=IT동아



덕분에 측면 투사가 가능할 뿐 만 아니라, 각진 벽면과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정상적인 투사가 불가능한 곳에도 보정을 통해 상당히 반듯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본체 상단의 버튼, 그리고 무선 리모컨으로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 출처=IT동아



그 외에 본체 상단 후면에는 기능 제어를 위한 8개의 버튼 및 상태 확인을 위한 3개의 LED로 구성된 무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탑재했다. 물론 빔프로젝터라는 제품의 특성상, 본체 버튼 보다는 무선 리모컨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될 것이다. 동봉된 무선 리모컨은 일반적인 IR(적외선) 방식이지만 제어 범위가 넓고, 프로젝터 본체를 뒤쪽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다. 여러모로 무난한 리모컨이지만, 어두운 곳에서 이용할 때 유용한 버튼 백라이트까지 적용했으면 금상첨화였을 것 같다.

다양한 해상도 및 주사율 지원하는 연결 인터페이스


본체 후면 인터페이스는 소스 기기 연결을 위한 HDMI(2.0) 포트 2개와 3.5mm 오디오 출력 포트, 외부 기기 전원 공급용으로도 쓸 수 있는 서비스용 USB 포트(5V/1.5A) 포트와 12V 트리거 포트, 그리고 외부에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RS232 포트로 구성했다. 12V 트리거 포트는 전동식 스크린과 연동해 빔프로젝터를 켜면 스크린 역시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체 후면의 외부연결 인터페이스 구성 / 출처=IT동아



HDMI 포트는 2.0 규격을 지원, 4K UHD 해상도에서 60Hz 주사율, 풀HD 해상도에서 240Hz 주사율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최근 게임콘솔 및 게이밍PC에서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1440P 해상도에서 120Hz 주사율을 지원한다. 특히 1440p/120Hz 모드의 경우, 일부 빔프로젝터는 특정 기기에서만 호환되기도 했는데, 뷰소닉 LX700-4K의 1440p/120Hz 모드는 엑스박스 시리즈S/X, 플레이스테이션5, 그리고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PC 에서도 FHD/240Hz, 1440p/120Hz 모드가 적용된다 / 출처=IT동아 김영우



그리고 HDCP 2.2 보안 규격 역시 지원하므로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주요 OTT 서비스의 콘텐츠를 화질 저하 없이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입체감을 더하는 3D 영상(안경 별매) 및 화면 전반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HDR 기술도 지원하는 등, 사용자의 활용에 따라 좀 더 특별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기반도 갖췄다.

그리고 2번 HDMI 포트는 하나의 HDMI 케이블로 음성 신호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 기능을 지원한다. 추가 케이블 연결 없이 간단히 외부 오디오 기기(사운드바, 홈씨어터 등)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자 할 때 편리한 기능이다. 다만, 최근 이용 빈도가 줄고 있는 SPDIF 디지털 음성 출력 포트나 VGA 영상 포트는 탑재하고 있지 않다. 구형 AV 기기 이용자라면 이용에 불편을 겪을 수 있으니 구매 전에 참고하자.

그 외에 본체 내부에 15W 출력의 모노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다. 스테레오나 서라운드와 같은 기능은 지원하지 않지만 출력 자체가 높고, 음량을 높여도 소리가 찢어지지 않아 무난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외부 오디오를 연결하면 더 나은 소리를 들을 수 있겠지만, 이대로 이용해도 그럭저럭 쓸 만은 하니 비용 절약이 중요하다면 이용을 고려해 보자.

반영구적 수명, 높은 광량 제공하는 3세대 레이저 광원 탑재


뷰소닉 LX700-4K의 외견에서 특이한 점이라면 빔프로젝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램프 교체용 커버가 없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수은 램프를 이용하는 기존 빔프로젝터는 1000~2000 시간 정도 이용하면 수명이 다한 램프를 교체해야 한다. 반면, 뷰소닉 LX700-4K는 일반모드에서 최대 2만 시간, ECO(친환경) 모드에선 최대 3만 시간의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레이저 광원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기기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램프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사실상 램프 교체가 필요하지 않아 교체를 위한 커버 역시 없다 / 출처=IT동아



빔프로젝터 유지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램프 교체 비용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는 큰 장점이다. 특히 뷰소닉은 LX700-4K에 탑재된 광원이 이전 세대 제품보다 밝기가 20% 이상 개선된 3세대 레이저 광원임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 뷰소닉 LX700-4K를 구동해 화면을 살펴보면 제품의 이런 높은 스펙을 확실히 체감할 수 있다.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큰 화면을 투사할 수 있고, 높은 광량(3500 안시루멘) 덕분에 실내 조명을 켠 상태에서도 상당히 선명한 이미지를 볼 수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일반적인 홈씨어터용 프로젝터가 2000 안시루멘인 전후인 것과 비교하면 확연한 차이가 있다. 발열도 적은 편이라 전원 ON 버튼을 누르고 30초 이내에 화면이 표시되며, 전원 OFF 버튼을 누르고 5초 정도 지나면 전원이 완전히 꺼진다.


고광량 제품이지만 진한 블랙 컬러도 무난하게 표현한다 / 출처=IT동아



광량이 너무 높은 빔프로젝터 중에는 블랙 컬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뷰소닉 LX700-4K는 0.65인치 DMD 칩셋을 통해 구현된 300만 : 1의 높은 명암비 덕분에 이런 현상이 덜한 편이다. 그래도 거슬린다면 다이나믹 블랙(Dynamic Black)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권한다. 이 모드를 이용하면 영상의 특성에 따라 광원의 밝기가 자동 조절되며 좀더 진한 블랙을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화면 모드 조합으로 콘텐츠 최적화


게임 플레이용으로 뷰소닉 LX700-4K를 이용한다면 다양한 화면의 해상도 및 주사율을 선택해 장르별 최적화가 가능하다. FPS와 같이 화면 전환이 극히 빠른 장르의 게임을 한다면 풀HD 해상도에 240Hz 주사율 모드가 적절하다. 화면의 정밀도가 다소 낮은 대신, 움직임이 대단히 부드러운데다, 잔상이나 버벅거림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FHD/240Hz 모드는 움직임이 빠른 FPS 플레이에 알맞다. ‘울트라 패스트 인풋’ 기능을 활성화하면 한층 쾌적하다 / 출처=IT동아



특히 뷰소닉 LX700-4K의 경우는 입력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일부 부가 기능(키스톤, 화면 종횡비 조정, 디지털 줌 등)을 비활성화하여 빠른 반응속도(4.2ms)를 이끌어내는 ‘울트라 패스트 인풋(Ultra Fast Input)’ 기능을 제공하니, FPS 게임 등을 한다면 이 기능 역시 활성화하는 것이 좋겠다.


1440p/120Hz 모드는 액션/스포츠/레이싱 게임에서 적합한 균형 잡힌 화질을 기대할 수 있다 / 출처=IT동아



일반적인 액션 게임이나 레이싱, 스포츠 게임 등은 1440p 해상도에 120Hz 주사율이 무난하다. 화면 품질과 응답속도, 잔상 억제력을 비롯한 다양한 방면에서 균형 잡힌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다.


4K UHD/60Hz 모드는 전반적인 표현력이 중요한 RPG나 어드벤처 게임 플레이, 영화 감상에 적합하다 / 출처=IT동아



그리고 RPG나 어드벤처, 시뮬레이션과 같이 화면의 표현력이 중요한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영화와 일반적인 콘텐츠를 감상할 목적이라면 역시 4K UHD 해상도에 60Hz 주사율이 제격이다. 캐릭터와 배경, 각종 특수효과를 가장 정밀한 품질로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화면 모드를 찾아보는 것도 이 제품이 제공하는 나름의 즐거움이다.

높은 기본기, 가성비 돋보이는 전천후 빔프로젝터


뷰소닉 LX700-4K는 ‘엑스박스 인증 게이밍 빔프로젝터’라는 타이틀을 앞세우고 있는지라 얼핏 게이밍에만 최적화된 제품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해상도와 주사율, 명암비를 비롯한 대부분의 스펙이 수준급이라, 그 어떤 장르의 콘텐츠라도 만족스럽게 즐길 수 있는 홈시네마 빔프로젝터의 면모도 갖췄다. 그러면서도 작은 본체 및 높은 밝기, 다채로운 키스톤 기능 및 짧은 초점거리, 그리고 반영구적인 램프 수명 등, 설치 및 관리 편의성면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는 제품이다


뷰소닉 LX700-4K / 출처=IT동아



물론, 그렇다고 하여 뷰소닉 LX700-4K가 모든 면에서 완벽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특히 스마트 기능이나 와이파이 기능을 내장하고 있지 않아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점을 지적할 만하다. PC나 게임 콘솔, 크롬캐스트, TV 스틱, 셋톱박스 등을 연결한다면 이런 아쉬움을 해소할 수 있겠지만, 어찌되었건 이런 부가기능을 선호하는 소비자도 분명히 있다. 유통사 역시 이런 점을 의식했는지, 제품 구매 시 스마트 셋톱박스(우노큐브 호매스틱 동글G)를 함께 증정하는 사은행사를 진행하는 판매점도 있다고 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2024년 5월 온라인 쇼핑몰 기준, 뷰소닉 LX700-4K는 199만원 전후에 팔리고 있다. 고광량의 3세대 레이저 광원을 갖춘 4K급 빔프로젝터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가성비'도 좋은 편이다. 유사한 사양의 제품 중에 200만원대 이하는 찾기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수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게임뿐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좋은 품질로 즐길 수 있는 전천후 빔프로젝터를 찾는다면 무난하게 추천할 만한 제품이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뉴스줌인] 미니 각 티슈 크기의 ‘LG 시네빔 큐브’ 프로젝터, 쓸 만할까?▶ [뉴스줌인] 에이서의 레이저 하이브리드 빔프로젝터, 뭐가 다를까?▶ [리뷰] 활용도, 상품성 개선에 초점 맞춘 삼성 '더 프리스타일 2' 프로젝터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3889 MSI, 컴퓨텍스 2024에 ‘AI+ PC’ 대거 선보이며 ‘기선제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54 0
3888 ‘연 단위 출시, 네트워크 대역 확장’ 인공지능 가속기 경쟁 달아오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66 0
3887 인텔 컴퓨텍스 2024 부스 가보니··· 'AI PC 사례·제온 6 공개 눈길'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656 0
3886 컴퓨텍스 2024 MSI 부스, ‘클로’ 8인치와 ‘AMG’ 노트북 공개로 ‘북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52 0
3885 펫 겔싱어, "2030년 세계 2위 파운드리 목표··· 다음 주 18A 칩 구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14 0
3884 인텔 제온6·가우디3·루나레이크까지 총 출동··· '시장 주도권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59 0
3883 전기차 캐즘에도 정면 돌파 택한 ‘현대차그룹’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52 0
3882 "AI PC 시대, 피처폰에서 스마트폰 전환만큼 혁명적 도약"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715 1
3881 韓 자동차 등대공장 0개...제조공정 혁신 시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72 0
3880 3세대 라이젠 AIㆍ라이젠 9000 시리즈, AMD 새 CPU 제품군 대거 공개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712 1
3879 6월부터 달라진 통신3사 요금·혜택 살펴보니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865 0
3878 [정구태의 디지털자산 리터러시] 1. 지금 당신이 디지털자산에 관심을 가져야할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46 0
3877 [주간투자동향] 벤디트, 80억 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781 2
3876 여름철 필수품 '선풍기', 용도·기능에 맞춰 고르는 법!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59 0
3875 블랙웰 다음 루빈, 엔비디아 차기 인공지능 가속 플랫폼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056 1
3874 베일에 싸였던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유출 문건으로 실체 드러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219 0
3873 가비아, 한국마사회에 클라우드 PC ‘가비아 DaaS’ 공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79 0
3872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76 0
3871 외산 솔루션 가격 인상, 국산 가상화 시장 훈풍 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65 0
[리뷰] 게이밍-홈시네마 넘나드는 전천후 빔프로젝터, 뷰소닉 LX700-4K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111 1
3869 [생성 AI 길라잡이] 1분 만에 영상·이미지 제작 ‘브이캣’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5003 5
3868 [농업이 IT(잇)다] 실내 수직형 스마트팜으로 생산량 극대화하는 ‘플랜티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516 0
3867 페라리 DNA 담은 12기통 2인승 '12 칠린드리'…아시아 최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79 0
3866 블랙웰에 FOPLP 조기 도입 고려 중인 엔비디아, 미세공정 넘어 생산 경쟁 유도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47 0
3865 북블라 “창업의 꿈, 가천대 코코네스쿨에서 이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86 0
3864 스페이스앤빈 “뉴스페이스로의 전환, 상용 부품 적용 물꼬부터 터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48 0
3863 [리뷰] AFMF로 가성비 게이밍 환경 구축, AMD 라데온 RX 7700 XT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5561 5
3862 [스타트업 첫걸음]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는 어떻게 시작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43 0
3861 KT클라우드, 엔비디아 GPU 기반 학습 서비스 'AI Train'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33 0
3860 캐딜락,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SUV ‘리릭’ 출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534 1
3859 SBA 유망 스타트업의 면모 확인, ‘2024 연합 데모데이’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28 0
3858 AI 구심점으로 떠오른 '컴퓨텍스', 올해 주목할만한 기업 별 소식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17 0
3857 [IT애정남] 로봇청소기 고를 때 고려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912 0
3856 두루·무의 “모두의1층이니셔티브로 장애 인식·접근성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18 0
3855 [자동차와 法] 음주운전 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882 0
3854 [신차공개] 기아 'EV3'·벤틀리 '더 뉴 컨티넨탈 GT' 론칭 예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49 0
3853 [뉴스줌인] 내연기관차 이어 전기차 찍은 LG전자 웹OS, 다음 목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220 0
3852 글로벌 가상자산 정책 동향 ‘제도 틀 안에서 규제 공백 보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32 0
3851 샥즈, 오픈스윔 프로·오픈핏 에어 출시···오픈형 이어폰 1위 입지 굳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92 0
3850 서울과기대의 제조창업 지원, '밀도있는 심화 과정'으로 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33 0
3849 아직도 안 찾고 쌓이는 숨은 보험금, 이 기회에 찾아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989 0
3848 자동차 에어컨 필터 고를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867 0
3847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91 0
3846 [자동차 디자人] 英 오프로더 SUV ‘그레나디어’ 디자이너 ‘토비 이큐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31 0
3845 가상자산 시장 ‘거래량·수익 상승, 원화·코인 마켓 격차 뚜렷’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0 0
3844 [농업이 IT(잇)다] 전통주로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잇는 나루 되겠다, 한강주조 고성용 대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0 1
3843 [IT하는법] 잘 사용하지 않는 MS 원드라이브, 사용 해제하는 방법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325 1
3842 ‘천비디아’ 달성한 엔비디아, 독주할까? 반도체주와 함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07 0
3841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증권거래법 요건 충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6 0
3840 벤처 투자 80%가 수도권 편중··· '투자 해결사'로 나선 부산창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