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음향 기기에서 '개성의 아이콘' 될까? 무선 이어폰은 변신 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1.10 17:38:52
조회 220 추천 1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2016년 12월 13일, 애플의 첫 무선 이어폰, 에어팟이 공개됐다. 애플 에어팟은 기존의 블루투스 이어폰들과 달리 배터리 모듈이나 선이 없는 단순한 형태여서 ‘완전 무선’ 이어폰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초기에는 유선 이어폰에서 선만 끊어놓은 디자인으로 우스꽝스럽다는 얘기가 끊이지 알았지만, 기존 블루투스 이어폰보다 훨씬 가벼운 무게에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으면서 지금은 완전 무선 이어폰의 시대를 연 아이콘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고부터 5년이 지났다. 애플의 예상대로 이제 모든 사람들이 무선 이어폰을 기본으로 쓰고 있고, 스마트폰 역시 더 이상 유선 이어폰을 위한 3.5mm AUX 단자를 달지 않고 출시된다. 이렇게 무선 이어폰이 빠르게 확산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선 이어폰 가격이 빠르게 안정된 몫이 크다. 에어팟이 출시될 당시만 하더라도 10만 원 이상을 호가했던 무선 이어폰 가격은 3년도 지나지 않아 1만 원대 중반으로 저렴한 이어폰을 구할 수 있게 됐고, 보스(Bose)나 젠하이저(Sennheiser), 슈어(Shure) 등 전통적인 음향 기기 브랜드도 모두 완전 무선 이어폰 시장에 뛰어들면서 시장이 커졌다. 완전 무선 이어폰이 대중화에 성공한 것이다.

완전 무선 이어폰, 대중화의 문턱을 넘어서다



2020년 12월 공개된 루이비통의 ‘호라이즌 와이어리스’. 출처=LVMH



완전 무선 이어폰이 대중화되자, 이어폰을 전자 기기가 아닌 패션 아이템으로 보는 시각도 생겨났다. 음향 기기 역시 귀걸이처럼 귀에 꽂고 다니는 만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써 보기 시작한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2020년 공개된 루이비통(Louis Vuitton)의 ‘호라이즌 와이어리스’다. 이 제품은 모노그램 패턴과 모노그램 플라워가 장식된 유광 아세테이트 바디로 된 본체와 사파이어 글라스와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스로 구성돼 있으며 약 149만 원대에 출시됐다. 호라이즌 와이어리스는 완전 무선 이어폰이 가격대 성능비나 음향 품질로 평가받기 보다는, 액세서리나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극적인 사례가 됐다.

시장에서도 무선 이어폰을 다양하게 해석하려는 시도가 시작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낫씽 이어원(Nothing ear (1))이다. 낫싱은 영국에 기반을 둔 기술 기업으로, 중국 원플러스(Oneplus)의 공동 창업자인 칼 페이(Carl Pei)가 창업했다. 작년 2월에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만든 앤디 루빈(Andy Rubin)이 설립한 에센셜(Essential)을 인수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어원은 기술 업그레이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재의 전자기기 시장에서 차별화된 방향성을 선보이겠다는 취지로 출시된 이어폰이며, 11만 원의 무난한 가격대에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독창적인 디자인에 탄소 중립 메시지까지 담고 있다.

음향 기기에서 패션 아이템 추구하는 ‘ear (1)’



낫싱 이어원 본체 및 케이스, 국내에서는 패션 브랜드 셀렉트 숍 ‘무신사(MUSINSA)’에서 판매된 적 있다. 출처=Nothing



이어원을 성능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조절 가능한 이어팁이 탑재된 커널형 이어폰과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ctive Noise Cancellation, ANC)이 핵심이다. 커널형 이어폰은 귓구멍에 완전히 밀착되는 방식의 이어폰으로, 주변의 소음을 차단해 음원에 대한 집중력을 더욱 높여준다. 대신 주변의 소음이 들리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을 인지하기 어려워지는데, 이때는 커널형이 아닌 오픈형 이어폰을 선택해야 한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주변에서 발생하는 반복적인 기계적인 소음을 상쇄하는 기술로, 소음이 줄어들어 원음을 더욱 명료하게 감상할 수 있다. 최근 고성능 이어폰은 ANC가 있으냐 없느냐를 기준으로 한다.


낫싱 이어원 패키지에 적혀있는 탄소중립 인증. 출처=Nothing



하지만 낫씽 이어원은 제품의 기계적 성능보다도 패션 아이템으로의 가치가 더 높은 제품이다. 이어원은 충전 케이스와 이어버드가 모두 투명하게 디자인돼 마이크와 드라이버 등의 부품이 모두 드러난다. 색상이 개성을 드러내는 요소의 전부인 일반 제품들에서는 볼 수 없는 파격적인 외형이다. 그러면서도 1.78kg의 탄소 발자국 중립성을 달성하기 위해 탄소 배출권 인증 및 발행 기관인 베라(Verra)를 통해 탄소 배출권을 구입해 적용했다. 기계적인 특성을 넘어서 패션 아이콘으로써 활용하고, 더 나아가 사회 문제까지 짚어볼 수 있기를 제안하는 제품인 셈이다.

10만 원대로 비교하는 낫싱 이어원


한편, 낫싱 이어원이 무선 이어폰의 주류를 바꿔놓을 만큼의 영향력이 있는 제품이 될 수 있을까. 감성적 측면에서는 높게 평가할 수 있겠으나, 기계적인 측면에서는 증명해야 할 부분이 많다. 낫싱 이어원의 가격은 11만 원대 초반으로, 무선 이어폰을 구매한다면 쓸만한 제품들이 많은 가격대다. 경쟁할만한 제품으로는 삼성 갤럭시 버즈2와 JBL 클럽 프로+, 젠하이저 CX 트루 와이어리스, 소니 WF-C500 정도가 있다. 2~3만 원 정도 더 투자한다면 에어팟 2세대를 노려볼 수도 있다.


삼성 갤럭시 버즈 2, 다양한 색상 조합을 제공한다. 출처=삼성전자



이중 삼성 갤럭시 버즈 2와 JBL 클럽 프로+는 낫싱 이어원과 마찬가지로 ANC를 지원해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대신에 두 제품 모두 마이크 모듈이 입을 향하지 않는 형태라서 통화 품질이 떨어지는 구조다. 하지만 낫싱 자체의 기술력이 아직은 부족할 터라 기술력이 집약된 삼성전자의 제품이 호환성, 확장성, 품질 측면에서는 우위일 수밖에 없다. 대형 제조사 특유의 완성도와 품질, A/S를 바란다면 삼성 갤럭시 버즈와 JBL 클럽 프로+가 낫고, ANC가 빠지더라도 애플 아이폰과의 조합과 음성 품질을 중시한다면 에어팟 2세대가 낫다.


ANC는 빠졌지만 젠하이저 특유의 완성도를 갖춘 젠하이저 CX 트루 와이어리스. 출처=IT동아



음향의 완성도를 중시한다면 젠하이저 CX 트루 와이어리스, 소니 WF-C500을 선택하는 게 맞다. 두 제품 모두 ANC가 제외된 사양이지만, 수십 년 간 음향 기기를 만들어온 경험이 있는 제조사다. 음향을 재현하는 품질과 튜닝 능력 만큼은 신생 기업인 낫싱이 흉내 낼 수 없는 영역이다. 결과적으로 낫싱 이어원은 동급 가격대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음향 기기를 선택하려는 사용자보다는, 낫싱 이어원만의 개성과 디자인을 찾는 이들에게 좋은 제품이다.

이어폰 선택의 기준, ‘기능’보다 ‘개성’ 될까?



낫싱 이어원 화이트. 출처=Nothing



결과적으로 낫싱 이어원은 시장이 진화하면서 등장한 하나의 도전이다. 성공한다면 이어폰을 평가하는 기준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여러 이어폰 중 개성 있는 제품을 선택하고 싶을 때 주어지는 제품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현재 상황에서 낫싱 이어원의 입지는 완성도나 호환성 측면에서는 대기업 제품보다는 아쉬울 수밖에 없고, 음향 품질 측면에서도 음향 기업들과 비교해 부족한 입지다. 어디까지나 기계적으로 평가하면 그렇다.

다행히도 사람들은 언제나 대량 생산 된 제품보다는 희소성 있는 제품을 선호해왔다. 특히나 무선 이어폰이 액세서리화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변화하면서 낫싱 이어원 같은 제품이 주목받을 수 있는 입지가 조성됐다. 낫싱 이어원이 무선 이어폰의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기준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해 보자.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실감 통화, 가상 스포츠 중계…2022년 등장할 차세대 광학 기술은?▶ [CES2022] 코로나로 활짝 핀 게임 시장, 대형 업체들도 라인업 확대▶ [CES2022] 전기차 혁신에 시동 건다··· '미래 모빌리티 쇼'로 떠오른 CES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674 [리뷰] 깐깐한 실내 공기질을 원한다면, 다이슨 쿨 포름알데히드 공기청정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113 0
673 '디지털 혁신' 열쇠 쥔 RPA, IT 운영 관리 분야에도 도입 급물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94 0
672 [모빌리티 인사이트 ] CES2022에서 찾은 미래 모빌리티 키워드 : 전동화, 스마트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118 0
671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1: 펀더멘탈 분석이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662 0
670 [IT신상공개] 삼성전자, '그래픽 성능' 약점 극복한 엑시노스2200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203 0
669 디지포레 “시제품 검증, 시연까지 메타버스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10 0
668 [앱으리띵] 넘치는 OTT 서비스, 알뜰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OTT 5종 비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517 2
667 한국과 넷플릭스의 '전략적 파트너십', "K콘텐츠 노하우가 곧 경쟁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78 0
666 [리뷰] 화장실의 공기질도 잡는다, 이누스 에어 새니타이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85 0
665 애플·삼성 스마트폰 양강 구도, 부품 수급난 속에 2022년에도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07 0
664 삼성전자도 나섰다··· 2022년, 폴더블 노트북 원년 될까?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518 0
663 구글 안드로이드 13, 어떤 기능 개선·추가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190 1
662 [뉴스줌인] 칩 하나로 저장에서 연산까지, ‘인메모리 컴퓨팅’에서 성과 낸 삼성전자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312 14
661 [IT신상공개] 12세대 인텔 P 시리즈 출시된다, 델 XPS 13 플러스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142 2
660 [뉴스줌인] '즉석 사진기'처럼 아날로그 감성 채워줄 스마트폰 프린터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92 0
659 [주간투자동향] 그린랩스, 1,70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210 0
658 눈 피로 줄이는 ‘아이케어’ 모니터, 무슨 원리?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5808 4
657 오퍼스엠 “블록체인이 열 신뢰의 시대, 대들보 되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107 0
656 본격 보급 시작한 와이파이6E, 와이파이6와의 차이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340 0
655 [IT신상공개] 6천만 화소로 담아내는 순간, 라이카 M11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1157 3
654 고객 중심 전략은 어떻게?..."창업 첫날처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65 0
653 [알쓸신IT] 통신 업계의 '라스트 마일' 혁신, FWA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03 0
652 [리뷰] 퀄컴 칩셋으로 다듬은 연결성, 브리츠 어쿠스틱 TWS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09 0
651 진화 거듭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소상공인 스마트 상점 마중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71 0
650 [뉴스줌인] HDR 600 인증 획득한 MSI 써밋 MS321UP 모니터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72 0
649 은밀하게 진행되는 횡령사고, "CMS를 통해 사전 차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05 0
648 [리뷰] '콘텐츠 감상도, 간단한 작업도 OK' 에이수스 비보북 13 슬레이트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99 0
647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 주차 로봇의 등장, 이젠 주차 걱정 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084 3
646 [IT신상공개] 한국인에겐 그림의 떡, 삼성 갤럭시 S21 FE 5G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637 2
645 숨은 보험금만 '12조원', 숨은 보험금도 빠짐없이 찾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91 0
644 [리뷰] 와이파이6E 품은 첫 차세대 공유기, 넷기어 RAXE5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60 0
643 [IT신상공개] 무드등? 조명? 프로젝터? 삼성전자 '더 프리스타일' 국내 예판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348 1
642 카카오·네이버가 택한 '뉴스 구독'... 포털의 사회적 책임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28 0
641 천차만별 가습기, 브랜드보다 먼저 따져봐야 할 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184 0
640 [리뷰] 책상에 주는 공간의 여유, 카멜마운트 고든 프로 UMA-2 모니터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419 0
639 2022년 폴더블 스마트폰 2R '삼성전자 vs 중국 연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36 0
638 [주간투자동향] 번개장터, 82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42 0
637 [CES2022] IoT 생태계 구축, 확대에 팔 걷은 글로벌 기업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66 0
636 [BIT 인사이트저널] 2022년이 기대되는 택시합승 서비스 '반반택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549 1
음향 기기에서 '개성의 아이콘' 될까? 무선 이어폰은 변신 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220 1
634 실감 통화, 가상 스포츠 중계…2022년 등장할 차세대 광학 기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30 1
633 [IT하는법] 혼자 쓰는 윈도 PC, 부팅할 때마다 로그인 귀찮다면?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943 2
632 [CES2022] "IT 혁신이 한 자리에", CES2022가 뽑은 혁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57 1
631 [CES2022] 올해 CES의 새로운 화두 NFT, 시장에 가져다 줄 변화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32 0
630 [CES2022] 중국 사라진 유레카 파크, 대한민국이 휩쓸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14 0
629 [기고] 아트테크가 뭐에요? 많이 묻는 질문과 답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73 0
628 [CES2022] 롯데 실감형 메타버스 CES 서 극찬.. '이것이 진짜 메타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12 0
627 [리뷰] OTT 중심 시대에는 가정에도 프로젝터를! - 벤큐 4K UHD 프로젝터 'TK700ST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79 0
626 [CES2022] 혁신과 전통 사이, 노트북 소비자들의 선택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346 0
625 [CES2022] 코로나로 활짝 핀 게임 시장, 대형 업체들도 라인업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309 0
뉴스 ‘열애설♥’ 미주 “한화이글스 경기, 빠짐없이 보고 있어” 디시트렌드 07.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