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023년 게이밍 모니터 시장 키워드는 '고주사율·OLED·미니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1.16 17:59:07
조회 3430 추천 5 댓글 42
[IT동아 남시현 기자] 세계 최대 박람회인 소비자 가전 전시회(Consumer Electronics Show, CES 2023)에서는 백색 가전부터 스마트 시티까지 다양한 제품과 기술력이 전시되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는 게이밍 하드웨어가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는 컴퓨터 CPU와 GPU는 물론 게이밍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 마우스, VR 및 AR 기기 등 다양한 제품들을 포괄하며, 특히 컴퓨터를 구성하는 핵심 하드웨어의 주목도가 높다. 이중 디스플레이는 매번 비상한 관심을 끄는 분야다. 예로부터 CES는 디스플레이 경쟁의 격전지였는데, 같은 맥락으로 게이밍 디스플레이가 주목받는다.

올해는 델 테크놀로지스나 삼성전자, LG전자 등 기업은 물론 에이수스나 레노버, MSI, 에이서, 레이저같은 게이밍 하드웨어 업체도 참가해 새로운 하드웨어들을 선보였다. 디스플레이에 한해서는 주로 주사율과 패널 종류, 스크린 사이즈 및 해상도 등이 비교되는데,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떤 제품이 어떤 차이인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올해 CES에서 공개된 제품들을 중심으로 2023년 게이밍 모니터 트렌드를 짚어본다.

매년 격화되는 주사율 경쟁, 최대 540Hz까지 등장



델 에일리언웨어 AW2524H는 평면내 전환(IPS) 패널 디스플레이로는 처음으로 500Hz를 지원하는 모니터다. 출처=델 테크놀로지스



주사율은 모니터의 화상이 초당 몇 회 재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숫자다. 사무용 모니터는 60Hz가 기본이며, 144Hz 이상부터 게이밍 모니터로 분류한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그래픽 카드가 생성하는 신호를 더 많이 화상으로 만들기 때문에, 화면 전환이 부드럽고 끊어짐이 줄어든다. 여기서 더 좋은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면 더 프레임이 높아지며, 주사율이 높은 모니터를 써야 화상 데이터를 버리지 않고 모두 살릴 수 있다. 고주사율 모니터가 등장하는 배경이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그래픽 카드가 보내는 신호를 빠르게 처리해 화면 끊어짐이 줄고, 부드럽게 처리된다. 출처=델 테크놀로지스



게이밍 모니터의 성능이 곧 주사율이라는 공식이 세워지면서 몇 년째 게이밍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은 경쟁적으로 주사율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올해는 드디어 500Hz의 벽을 넘는 제품들이 등장했다. 델 에일리언웨어 AW2524H가 주인공이다. CES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이 제품은 FHD 24인치 평면 내 전환(IPS) 패널을 갖췄으며, 기본 480Hz 주사율에 오버클록킹을 통해 500Hz까지 지원한다. 에이수스는 한발 더 나아가 540Hz인 스위프트 프로 PG248QP를 공개했다. 다만 이 제품은 광시야각 패널이 아닌 E-TN 패널이어서 AW2524H보다는 한 수 아래다.

LCD 패널 VS OLED 패널 경쟁의 시작



LG전자의 울트라기어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 출처=LG전자



매년 주사율 경쟁이 화두였지만, 올해는 패널 경쟁도 더욱 격화할 전망이다. OLED는 각 소자가 빛을 발하는 특징이 있어 응답 속도가 0.03~0.1밀리세컨드로 대단히 빠르고, 명암비도 무한대다. 반면 IPS, VA 등 기존의 LCD 기술 기반 디스플레이는 응답 속도가 빨라도 1밀리세컨드, 보통 5밀리세컨드 수준이다. 여전히 주사율 면에서는 LCD 패널이 빠르지만, 응답 속도가 빠른 OLED의 단가가 규모의 경제로 낮아지고, LCD 패널과 비슷한 제품까지 내려오면서 고성능 게이밍 디스플레이의 기준이 바뀌고 있다.

LG전자의 27형 올레드 모니터(모델명: 27GR95QE)는 27형 QHD(2560x1440) 해상도 OLED 패널을 갖춘 모니터로, 240Hz 주사율에 0.03밀리세컨드 응답속도를 지원한다. 삼성전자의 오디세이 OLED G9도 32:9 와이드 화면에 듀얼 QHD(5120x1440) 해상도에 최대 240Hz 주사율을 지원하면서 응답 속도는 0.1ms에 불과하다. LCD 기반 모니터인 AW2524H나 PG248QP와 비교해 주사율이 절반 정도에 불과하지만 응답속도가 백배 이상 빠르다.

이렇게 응답 속도가 빠르면 화면이 빠르게 움직일 때 잔상이 남는 현상이 없어서 실질적인 체감은 훨씬 더 깔끔하고 부드럽다. 게다가 소비자 입장에서는 240Hz나 540Hz나 거의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 게이밍 모니터 시장의 흐름 자체가 LCD 기반 초고주사율 경쟁에서 OLED 패널에서의 고주사율 경쟁으로 흘러갈 양상이 있다.

울트라 와이드와 해상도, 곡률 비교도 핵심



삼성 오디세이 네오 G9 및 OLED G9은 32:9 비율이며, 스마트모니터 M8 및 뷰 인피니티 M9은 16:9 비율이다. 출처=삼성전자



일반적인 16:9 비율 모니터를 와이드 모니터로 보며, 21:9나 32:9까지 더 넓어진 비율의 모니터를 울트라 와이드로 부른다.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는 두 개의 16:9 모니터가 붙은 크기여서 다중 모니터 환경에 바로 적용하기 좋고, 또 곡률이 적용됐을 때 몰입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곡률은 모니터가 휘어진 정도를 표현하는 단어로, 곡률 숫자가 작을수록 모니터가 많이 휘어져 몰입감이 좋아진다.

삼성전자는 기존 49형보다 37%나 더 큰 57형 듀얼 UHD(7680x2160) 해상도의 오디세이 네오 G9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1000R 곡률의 커브드 형태며, 베사 디스플레이 HDR 1000을 지원하는 퀀텀 미니 LED를 장착해 최상의 울트라 와이드 환경을 제공한다. LG전자의 울트라기어 올레드 커브드 모니터는 WQHD(3440x1440) 해상도와 21:9 화면비를 갖춘 게이밍 모니터다. LG 제품으로는 최초로 800R의 곡률을 적용해 몰입감 있는 화면을 즐길 수 있다.


800R 곡률의 LG 울트라기어 올레드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 출처=LG전자



아울러 LG전자는 평면부터 900R 곡률까지 20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LG 올레드 플렉스라는 제품도 함께 선보였다. 화상은 4K(3840x2160) 해상도 OLED 패널이 사용됐으며, 120Hz 주사율까지 지원한다. 이외에도 거의 모든 제조사가 울트라 와이드 및 커브드 모니터를 공개했는데, 이 부분만큼은 주사율과 패널 성능 및 종류 등과 무관하게 꾸준히 경쟁할 것이다.

게이밍 노트북도 디스플레이 비중 높아져


게이밍 노트북은 전통적으로 프로세서와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중요했다. 하지만 코로나 19로 컴퓨터 수요가 노트북으로 몰리고, 게이밍 노트북을 게임은 물론 작업 용도로 활용하는 등의 사례가 많아지면서 게이밍 노트북의 모니터도 고성능화하고 있다. 델 에일리언웨어 m18은 인텔 코어 i9-13980HX가 적용된 18인치 게이밍 모니터로, QHD 165Hz 혹은 FHD 480Hz 디스플레이를 장착한다. 작년까지만 해도 17인치 노트북도 데스크북으로 분류했는데, 올해는 그 크기나 구성이 한층 더 커지는 모양새다.


미니 LED가 적용된 레이저 블레이드 16 및 18. 출처=레이저



레이저(Razer)의 블레이드 16 및 블레이드 18, 에이서의 헬리오스 16 및 18, 에이수스의 ROG 제피러스 G14, M16, MSI 타이탄 GT77 HX 제품은 OLED 다음 세대의 기술로 평가받는 미니 LED 패널을 적용했다. 미니 LED는 OLED와 마찬가지로 각 소자 하나하나가 빛을 발하지만, OLED와 다르게 훨씬 수명이 길고 비용도 저렴하다. 기술 특성상 게이밍 모니터는 OLED를 거쳐서 갈 분위기지만, 크기가 작고 사용 기간도 긴 게이밍 노트북은 곧바로 미니 LED가 적용되는 추세다.

게이밍 모니터 매년 6% 성장, OLED와 미니 LED 대세 될까


시장조사기관 퓨처마켓인사이트(FMI)는 2022년부터 2030년까지 게이밍 모니터 시장이 연평균 6.6%씩 성장해 2030년 말에는 154억 4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2015년부터 21년까지 게이밍 모니터 시장은 연 평균 5.7% 증가했고, 전체 모니터 수요에서 게이밍 모니터 비중이 증가하면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봤다.

게이밍 디스플레이 시장과 직결된 PC 시장 역시 나쁘지만은 않다. 카날리스(Canalys)는 2022년 PC 출하량이 21년 대비 16% 감소한 2억8500만대라고 발표했지만, 감소한 수치도 2019년보다는 높다. 또 2022년에 정체된 수요가 2023년으로 이어지면 이후까지 성장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평가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지만 않는다면 게이밍 디스플레이 시장 역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이밍 디스플레이의 세대가 LCD에서 OLED로 바뀌고 있으며, 노트북은 곧바로 미니 LED로 건너 뛰고 있다. 현재의 경제 위기가 어떻게 해소될 지에 따라 앞으로의 모니터 시장 모습이 결정될 것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요양보호사 매칭부터 디지털 트윈 질환 관리까지...기술타고 팽창하는 '실버산업'▶ [르포] 주요 기업들 몰린 CES2023의 LVCC 센트럴홀, 국내 기업 부스 탐방기▶ [CES 2023] 브랜드 벽 허문 ‘초연결’ IoT 시대 개막, 중소기업에겐 기회?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1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402 "실례지만 누구세요?"... 진화하는 카카오톡 메신저피싱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3283 0
2401 [시드팁스] 퓨쳐리즘랩스 이범근 대표, “가상자산도 또 하나의 투자 상품일 수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22 0
2400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8.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세 번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00 0
2399 굿파머스그룹·씨앗 “농부 지식자산을 인공지능 농업 토대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03 0
2398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4. STO(증권형 토큰 발행)의 새로운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04 0
2397 [마인드테크 시대가 온다] 1. 마인드테크가 뜨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21 0
2396 [IT애정남] 지금 13세대 코어 PC 사려면 DDR4? DDR5? 어떤 메모리 선택?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1590 0
2395 피싱과 금융사고에 취약한 인뱅...안전망 구축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1128 0
2394 한 주 앞으로 다가온 MWC 2023, 주요 참가 기업과 의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171 0
2393 [뉴스줌인] NFT 아트 전시회에서 먼저 만나는 LG전자 최신 TV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738 0
2392 LG유플러스의 '무료 유심교체'..해킹 피해 줄일 수 있을까?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1691 2
2391 [메타버스에 올라타자] 2. 메타버스에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133 0
2390 인공지능, 검색광고 대행에 콘텐츠도 만들어주는 시대 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118 0
2389 이중 인증 유료화 나선 트위터, 나비 효과 불러오나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4471 7
2388 [주간투자동향] 모요, 30억 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554 0
2387 [농업이 IT(잇)다] 고기365 “날 것 그대로 보여주는 ‘리얼뷰’ 온라인 쇼핑 경험 제공”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211 0
2386 [농업이 IT(잇)다] 고기365 “날 것 그대로 보여주는 ‘리얼뷰’ 온라인 쇼핑 경험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129 0
2385 [스타트업리뷰] 24시간 인공지능 관리, 보라웨어 검색광고 AI 써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3765 1
2384 카뱅과 토스, 소비자 울리는 피싱범죄 어떻게 대응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141 0
2383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3] “현장 영업은 사람과의 만남으로부터 시작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135 0
2382 디지포레 박성훈 대표, “산업 현장이 원하는 메타버스를 개발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771 1
2381 애니온넷 “IoT에 특화된 SI 기업? 바로 여기에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154 0
2380 [스타트업 리뷰] IT운영전문가 시선에서 본 인포플라의 ‘IT장비 비밀번호 자동변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117 0
2379 [디지털 취약 극복]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장애인·고령자 위한 키오스크 표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871 0
2378 [IT신상공개] HEDT 시장 재편 노린다, 인텔 제온 W-3400·2400 시리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105 0
2377 이렇게 많아? MSI, 형형색색 차세대 게이밍 노트북 제품군 대거 선보여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6217 5
2376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지속가능성 솔루션에 ‘올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5 112 0
2375 우울과 불안 불러오는 스마트폰 중독... 디지털 디톡스 필요해 [2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5 5455 15
2374 [농업+IT=스마트팜] 3. 스마트팜 구현 솔루션 이해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5 99 0
2373 어도비, 2023 디지털 트렌드 발표··· '콘텐츠와 업무 효율화가 핵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5 765 0
2372 [스케일업] 레다게임즈 [3] 김도형·송경 버프스튜디오 “줄거리·재미 토대로 BM 다각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5 114 0
2371 [리뷰] ‘내돈내산’ 갤럭시 S23 울트라 ‘데이원’ 리뷰 [2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4 2714 14
2370 공정위, 카카오T 콜 몰아주기 제재...카모 "가맹우대 아닌 소비자우대했다"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4 1500 0
2369 [IT애정남] 화제의 호그와트 레거시, PC 권장 사양 맞춰주세요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4 1536 2
2368 [뉴스줌인] ‘멀티 클라우드’로 클라우드 시장 영향력 강화 노리는 오라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166 0
2367 '결말 포함' 드라마·영화 요약 영상에 울상인 콘텐츠 업계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3257 12
2366 [스케일업] 누비랩 [3] 나주시 초등학교 영양 선생님들이 체험한 ‘AI 푸드 스캐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132 0
2365 [IT신상공개] 중급자용 경량 카메라 시장 노린다, 캐논 EOS R8 · R5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2973 6
2364 발뮤다 실적 악화에 ‘발뮤다 폰 후속, 출시 계획 정지’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2330 0
2363 [주간투자동향] 엔젤스윙, 현대차그룹으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128 0
2362 [IT애정남] 램 업그레이드하면 그래픽카드가 자동 변경되는 노트북? 진짜 있나요?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2465 9
2361 검색광고 성과 향상 ‘자동화 솔루션’으로 편리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115 0
2360 워케이션 '뷰맛집', 부산 워케이션 거점센터에서 일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123 1
2359 무인 로봇으로 자동화된 쿠팡 물류센터... 노동자 안전 위해 중요한 건?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1484 6
2358 소비자용·서버로 분할된 인텔 그래픽 사업부··· '폐지 우려 딛고 효율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1072 2
2357 [스케일업] 펫나우 [2] 김경철 코트라 “해외 진출 왕도, 철저한 분석·레퍼런스·파트너 확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126 0
2356 똘똘한 직원 한 명, 기업들은 HR테크로 구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9 143 0
2355 챗GPT로 촉발된 인공지능 경쟁··· 네이버·카카오의 전략과 행보는?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9 943 2
2354 [스케일업] 부지런컴퍼니 [3] “부지런컴퍼니가 추구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9 118 0
2353 게티이미지, 인공지능 사진 생성 도구에 ‘2,268조 원’ 소송 제기 [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9 3406 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