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2025 3분기 결산 - 폰 (20장) doer
- 폭군의 셰프 퇴궁식에서 배우들이 받은 상 이름.jpg ㅇㅇ
- [스압] 스천지티랑 단양 여행기 리터급바린이
- 호주 워홀가면 1년만에 생기는 변화.jpg ㅇㅇ
- ‘남자는 파랑, 여자는 핑크?’ 색깔과 성별고정관념 ㅇㅇ
- 시미켄이 말하는 야한 여자 구별법 감돌
- 분야별 오타쿠들 방상태 점검 ㅇㅇ
- 베네수엘라 친구가 말하는 나라가 망해간 과정..jpg 데얀베리치
- 명성황후 오해와 진실 ㄹㄱㅂㄲ
- 오늘자 빡셀시공, 반반고왁(쉬팅스타,다크라벨) 괍수. (스압,데이터주의) Floater
- 싱글벙글 현직 간호사가 말하는 이해안되는 태움 유형 ㅇㅇ
- 여성징병제에 대한 외국 남자들의 생각 ㅇㅇ
- 사회실험) 혼전임신 소식을 들은 남녀 반응 차이.jpg ㅇㅇ
- 드디어 첫방송한 포스트 백종원 이장우 새예능 ㅇㅇ
- 이름이 특이한 케이크들 ㅗㅜㅑ...jpg 수류탄이야
KDI) “정년을 늘릴 게 아니라, 구조를 바꿔야 한다.”
[2022~2072년 장래인구추계]2040년대 이후 인구 감소 가속이 가속화 되어, 2070년에는 3,700만 명 수준 전망.65세 이상 비중 2025년 20% → 2050년 40%, 노동가능인구(15~64세)가 급감하여 생산성·성장률 저하 예상 중.[시나리오 별 잠재성장률 전망]2040년대 후반부터 잠재 성장률이 0%대에 진입하여 2050년대에 이후에는 마이너스 성장이 직면할 수 있다고 함.→ 단, 저활용 인구층(고령층, 장애인, 여성 등)의 경제참여 확대로 일부 완화 가능하다는게 해당 보고서 내용임[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대한민국의 고령층]곧 은퇴하기 시작하는 1960~70년대생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경험한 ‘고학력 베이비붐 세대’. 이들은 과거의 고령층과 다름.대학 진학률이 높고, 대기업·공공기관 등 상용직 근무 경험 이 많으며, 디지털 적응력도 이전 세대보다 훨씬 뛰어남.[자영업 비중이 줄어드는 ‘활동적 고령층’의 시대 ]대한민국은 이제 생계형 자영업 중심의 노년층 을 벗어나고 있음. 퇴직 후에도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 ‘활동적 고령층’ 이 늘고 있지만, 제도는 여전히 조기퇴직·재취업의 벽 에 묶여 있다는 지적. 건강도, 경력도 충분한 이들이 단지 ‘나이 때문에’ 노동시장에서 밀려나는 현실임.[정년 근처에서 급격히 줄어드는 장기 재직 비율]정년연장이 해법은 아님. 단순히 재직 기간을 늘리는 방식으로는 청년 일자리 잠식만 불러올 뿐,고령층 고용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함.이제는 연공서열 중심의 고용 관행을 벗어나, 직무와 성과 중심의 고용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함. 쉽게 말해, '얼마나 오래 일하느냐'가 아닌 '어떤 방식으로 일할수 있느냐'[61~62세 남성 임금근로자의 생애주직장 퇴직 여부 및 사유]표가 보여주는 사실은 명확함. 10년 사이 정년퇴직 비중은 23% → 23.6%로 정체된 반면, ‘해고·폐업·건강’ 등 비자발적 퇴직 사유는 여전히 40% 안팎을 차지하는 중. 즉, 고령층의 퇴직은 ‘은퇴’가 아니라 ‘밀려남’에 가까움. 이에 대해 KDI는 고령층 노동시장 대응 방향을 세 가지 축으로 정리함.[고용안정 선택제 및 임금체계 전환 모식도]기존 구조: 연공급 체계 → 근속 연한이 임금에 직결 → 고령 근속 부담 → 조기퇴직 유도개편 방향: 직무·성과 기반 체계 → 임금 상승 곡선 완화 → 고령층 고용 유지 부담 완화 → 자발적 고용 지속 가능 구조두 그래프는 현행 연공서열 중심 임금체계 아래에서 정년 전후로 고용이 급격히 단절되는 현실을 보여줌. 따라서 단순한 정년 연장이 아니라, 임금구조 개편과 고용안정 선택제 도입이 지속 가능한 고용의 전제조건임을 시사[고령층 비정규직 고용 구조와 안정화 방향] 두 그림은 고령층 노동시장에서 임시·일용직과 단기 상용직 비중이 높은 현실을 보여줌. 이는 고용의 불안정성이 나이와 함께 심화된다는 점을 시사, 이에 따라 KDI는 ‘비정규직 안정화’를 고령층 고용정책의 핵심 과제로 제시함.특히 경험요율제(보험료율 차등제) 도입을 통해 장기고용을 유도하고, 사업장별 위험도를 반영한 고용보험·산재보험 체계를 마련하면고용유지율 15~20%p 상승 효과가 기대된다고 분석함.핵심요약은 “퇴직을 늦추는 게 아니라, 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정년 연장이 아닌 임금체계 개편 · 고용안정 선택제 · 비정규직 안정화 가 고령층 노동시장 개혁의 핵심이라고 함. 세줄 요약 )1. 정년 연장만으로는 한계 : 고령층 고용 단절의 근본 원인은 연공급 중심 구조에 있음.2. 핵심 해법은 구조 개편 : 임금 체계를 임금체계를 직무·성과 중심으로 바꾸고, 50대 이후 자발적 고용안정 선택제를 도입, 경험요율제 등으로 비정규직 고용을 안정화해, ‘퇴직을 늦추는 것’이 아니라 ‘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3. "정년을 늘릴게 아니라, 구조를 바꿔라"
작성자 : 앵무새죽이기고정닉
모터로 움직이는 장난감 육상전함 설계함
안녕 이번에는 모터로 움직이는 장난감 육상전함을 만들어 옴 뱀부 컨테스트용으로 기획해봤음 전체적인 모습 컨셉는 대략 2차대전 쯤의 전함에 두터운 다리를 달아 육상전함으로 사용한다는 느낌으로 만듬 또 전체적으로 짜리몽땅하게 만들어서 귀여움?도 챙겨봤음 움직이는 모습 상당히 느릿느릿 움직이는 모습이 상당히 괜찮은데 이 움직임 속도는 내가 의도한건 아니였음 이유는 아래에 설명함 최대한 사용자가 부품을 쉽게 구하도록 뱀부랩에서 팔고있는 8000원짜리 메이커 비기너 키트를 사용했는데 여기에 들어있는 모터와 기어박스가 너무 싸구려라서 토크를 보상해주려고 감속을 엄청 걸었음 1:30으로 좀 무식하게 걸었는데 이 정도는 되야 고부하 받아도 굴러 가더라 배터리박스도 9v배터리를 사용하도록 새로 설계함 단자는 그대로 사용가능하니 설계할때 편하긴 하더라 무장도 환장 가능하게 만들었는데 위에서부터 미사일런처,3연장 함포,항모갑판 이렇게 1가지 골라 장착 할 수 있음 사실 3연장 함포만들고 끝내려고 했는데 주변에서 항모갑판도 달면 멋일을거 같다고 하길래 하는김에 미사일런처도 만듬 다들 나름 ㄱㅊ한거 같음 내부구조는 이런모습 모터>웜기어 감속>크랭크 로드 이렇게 이어지는 간단한 내부구조임 아무래도 메이커 키트도 사용하고 내부구조도 단순화 해서 최대한 만들기 쉽게 한다고 했음 그래도 다리가 6개다 보니 조립에 손이 많이가는데 내능력이 모자라가 이 정도 조립성이 한계더라 이건 3D CAD이미지랑 그걸 애니메이팅 해본거 화질이 씹창이 났는데 안티 앨리어싱 작업 15초 했더니 저렇게 나오더라 다음부터는 한 30초는 줘야할듯 https://x.com/VVV45529823/status/1973722423544713712?t=jinLjZ_JTjB-nGnxundSTw&s=19 샤교도_Tech-Cultist님(@VVV45529823)Hello!This time, I’ve created a land battleship set in an alternate World War II.It’s motorized, but the structure and assembly are simple, so everyone can give it a try!x.com뱀부랩 홈페이지에 업로드되어있으니 혹시 비기너 키트 남아도는 분들은 한번 만들어보는것도 좋을듯 그럼 다 보여준듯 ㅂㅂㅂ~~ - dc official App
작성자 : 샤교도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