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IT애정남] 신축 아파트 천장에 달린 와이파이 공유기, 왜 이렇게 느리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2.16 23:45:57
조회 11569 추천 6 댓글 24
[IT동아 김영우 기자] 와이파이는 현대인의 생활에 빼 놓을 수 없는 기술입니다. 스마트폰이나 PC외에도 최근에는 TV나 냉장고, 세탁기 등의 생활가전 제품에도 와이파이 접속 기능이 탑재될 정도죠. 그래서 최근 건설되는 신축 아파트 천장에는 와이파이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AP(Access point)가 기본 탑재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공유기에 비해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어 편리하죠. 다만, 이번에 문의하신 tolxxxx님의 경우는 오히려 기본 탑재 무선AP 때문에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하네요. 그 이유는 뭘까요? 주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일부 내용 편집).


신축 아파트 천장에 설치된 무선AP / 출처=tolxxxx 독자



안녕하세요. 질문 좀 할 게요. 제가 지난주에 모 아파트로 이사를 했습니다. 신축아파트라서 그런지 천장에 공유기가 기본으로 달려있어서 좋았습니다. 그런데 이게 속도가 너무 느리네요.

1기가 인터넷을 쓰는데도 최대 속도가 300~400메가 정도밖에 안 나와요. 화장실 같은데 가면 10메가 수준으로 뚝 떨어집니다. 물론 와이파이 접속 자체는 잘 되니 아예 못 쓸 정도는 아닌데, 그래도 이러면 1기가 인터넷을 쓸 이유가 없잖아요. 예전에 쓰던 통신사 공유기가 더 나은 거 같습니다.

지금 천장에 기본 설치된 공유기는 MAXIO라는 회사 제품인데 이거 떼어내고 일반 공유기(KT 기가 와이파이 홈 AX)를 천장에 달 수는 없나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선 안 된다고 하는데 그래도 혹시 방법이 있을까 싶어 질문하고자 합니다. 도와주세요!

최근 신축 아파트에 보급되고 있는 무선AP


안녕하세요. 저희 기사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체로 최근 건축되는 신축 아파트에는 천장에 무선AP가 기본 설치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잘 이용하면 편리하죠. 질문자님의 아파트에 설치된 것도 공유기 보다는 무선AP에 가까운 제품으로 추측됩니다.

참고로 무선AP는 공유기와 비슷하지만 개념이 약간 다릅니다. 공유기는 하나의 IP를 여러 기기가 이용(공유)할 수 있게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제품이 와이파이 생성 기능도 갖췄습니다. 반면 무선AP의 경우는 유선 인터넷 신호를 받아 이를 와이파이 무선 신호로 전환해 주변에 퍼뜨리는 역할에 충실하며, IP 공유 및 분배 기능이 없습니다. 쉽게 말해 공유기에서 IP 공유 기능을 제외한 것이 무선AP입니다. 다만 최근 출시되는 무선AP 중에는 공유기(라우터) 모드로 전환해서 쓸 수 있는 것도 많아서 양쪽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긴 합니다. 이 기사에선 질문자님의 아파트에 설치된 해당 장비를 무선AP라 칭하겠습니다.

구형 와이파이 규격의 무선AP는 와이파이 속도에 한계 있어


질문자님의 아파트에 설치된 무선AP가 맥시오(MAXIO) 제품이라 하셨는데 정확히는 맥시오사의 ‘MAP-11ACR’ 제품으로 추측됩니다. 최근 건축되는 신축 아파트에 납품되는 공유기 중 태반은 이 제품이죠. 공유기 모드로 전환도 가능하고 접속 범위도 그럭저럭 넓은 제품이지만 하나의 단점이 있는데, 최대 접속 속도가 낮은 구형 와이파이 규격이 적용된 제품이라는 점입니다.요즘 공유기/AP 시장에선 최대 와이파이 접속 속도가 1~2Gbps, 혹은 3~4Gbps에 달하는 와이파이6(802.11ax) 규격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이 맥시오 AP는 최대 접속속도가 867Mbps인 와이파이5(802.11ac) 규격 제품입니다. 그러다 보니 1Gbps급 기가 인터넷을 쓰더라도 온전한 속도를 기대할 수 없지요.

스마트폰의 경우는 갤럭시S10이나 아이폰11 이후에 나온 제품들이 대부분 와이파이6 규격 제품인데, 이런 제품을 와이파이5 규격 무선AP에 연결해서 이용하면 당연히 최대 통신 속도를 낼 수 없습니다.

와이파이6, PoE 지원하는 별도의 무선AP로 교체는 가능


그렇다곤 해도 아주 이용이 곤란할 정도로 느린 건 아니고, 굳이 달려 있는 무선AP를 쓰지 않는 것도 아깝긴 합니다. 그래도 기가인터넷과 최신 모바일기기의 성능을 온전하게 이끌어낼 수 없는 것이 아쉬운 분이라면 천장에 달린 무선AP를 다른 제품으로 직접 교체해서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반 공유기를 천장에 달고 쓰는 방법을 문의하셨는데, 이건 권장하지 않습니다. 시중에서 판매/이용하는 대부분의 일반 공유기는 디자인 자체가 천장 설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억지로 천장에 달았다가 떨어져서 다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그리고 현재 질문자님의 아파트에 설치된 맥시오 AP를 비롯한 대부분의 무선AP는 별도의 전원 연결 없이 네트워크 케이블 하나로 데이터/전원을 모두 공급받는 PoE(Power over Ethernet) 기능을 통해 구동합니다. 일반 공유기는 대부분 PoE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설치를 하더라도 작동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존의 무선AP를 떼어낸 뒤, PoE 및 와이파이6 기능을 지원하는 별도의 천장 설치형 무선AP를 따로 사서 다는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제품 중 저렴한 건 10~20만원대, 좀 더 고급 제품은 30~40만원대에 팔리기도 합니다. 아이피타임 Ring-AX3000, 넷기어 WAX625, 티피링크 EAP650 같은 제품이 대표적인 모델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와이파이6와 PoE 기능을 지원하는 넷기어 WAX620 무선AP / 출처=IT동아



새 무선AP를 달려면 기존AP를 떼어내야 하는데, 대부분의 무선 AP는 본체를 두 손으로 잡고 시계 반대 방향(일부 제품은 시계 방향)으로 살짝 돌리거나 본체를 상하, 혹은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면 본체가 분리됩니다(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그 후, 천장에 남아있는 고정용 블래킷을 나사를 풀어 탈거하면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 후, 새 무선AP용 블래킷을 나사로 천장에 고정하고 네트워크 케이블을 무선AP에 꽃은 후, 본체를 고정하면 설치가 마무리됩니다. PoE 지원 무선AP이므로 별도의 전원은 연결하지 않아도 됩니다.

지금까지 이렇게 무선AP 교체 방법을 설명했습니다만, 앞서 설명한대로 이건 추가적인 비용이 드는데다 설치의 번거로움까지 수반되는 행위입니다. 이게 부담스럽다면 기본에 이용하던 일반 공유기를 아파트 중앙(대개 거실)에 그냥 설치해서 쓰는 것도 생각해 보세요. 질문자님이 이전에 이용하던 KT 기가 와이파이 홈 AX라면 통신사 제공 공유기 중에서도 제법 쓸만한 제품이라, 천장의 AP에 비해 인테리어 만족도는 떨어지겠지만 와이파이 품질 자체는 무난한 편입니다. 잘 생각하셔서 적절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IT애정남'은 IT제품이나 서비스의 선택, 혹은 이용 과정에서 고민을 하고 있는 독자님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PC, 스마트폰, 카메라, AV기기, 액세서리, 애플리케이션 등 어떤 분야라도 '애정'을 가지고 맞춤형 상담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기사화하여 모든 독자들과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도움을 원하시는 분은 pengo@itdonga.com으로 메일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연이 채택되면 답장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리뷰] 넷기어 프로 라우터 PR60X, 네트워크 복잡성과 보안위협 대응하는 올인원 솔루션▶ 스마트폰이 갑자기 인터넷, 카톡, 유튜브가 안된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리뷰] USB에 꽂아 쓰는 와이파이6E 어댑터, 넷기어 나이트호크 A8000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2

4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3488 유한킴벌리 이승곤 본부장 "NHN 두레이 기반 업무 문화, 사회적 가치 위한 노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3 97 0
3487 [스타트업-ing] 콜라보그라운드 "뷰티숍 특화 솔루션, 글로벌 시장으로 갑니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3 550 0
3486 내 PC에 인공지능이? 엔비디아 ‘Chat With RTX’ 써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89 0
3485 [KTVF] AI가 제시하는 똑똑한 세금 절세·연금 설계…‘아티웰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90 0
3484 Arm, '3세대 네오버스' 로드맵 발표··· 'AI인프라 확산에 기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145 0
3483 [생성 AI 길라잡이] 챗GPT, PC·스마트폰 설치와 활용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951 0
3482 [칼럼] 생성형 AI 시대, 성공적인 도입 전략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886 1
3481 시한폭탄 ‘노후 지하시설물’…’RTK GNSS·증강현실’로 관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457 1
3480 [IT강의실] 하나의 기기에 여러 무선 이어폰 연결 ‘블루투스 오라캐스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1012 3
3479 반도체 지원 시작한 美 행정부··· 인텔 '웃고' 삼성·TSMC '인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140 0
3478 인공지능은 금융 시장에 얼마나 녹아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414 0
3477 OLED 화면에 ‘올인’하는 에이수스, 화면 2개 붙인 ‘젠북 듀오’ 노트북 정식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99 0
3476 [자동차와 法] 교통사고 발생 시 대처 방안과 연관된 법률적 문제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103 0
347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지와이생명과학 “저분자 재생의학으로 가려움·염증 해소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943 2
3474 코로나 딛고 일어선 카메라 업계, CP+서 '신제품 경쟁' 펼칠 듯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487 1
3473 국장 주린이라면 ‘전자공시’ 정보들과 친해지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15 0
3472 언제 어디 갔었는지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65 0
3471 [IT 신상공개] 고음질 음원도 거뜬 ‘젠하이저 모멘텀 트루 와이어리스 4’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302 0
3470 [스타트업 법률실무 마스터링] 투자유치 법률실무 (1) 투자 방법과 투자 받기 전 주의사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03 0
[IT애정남] 신축 아파트 천장에 달린 와이파이 공유기, 왜 이렇게 느리죠? [2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1569 6
3468 초보에게는 막연한 주식 투자의 길, 정보가 곧 힘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61 0
3467 [인터뷰] 다쏘시스템 “친환경 모빌리티로의 전환…모델링·시뮬레이션으로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27 0
3466 [KTVF] 라이트브라더스 “자전거가 이끄는 디지털전환과 그린전환, 기대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15 0
3465 [KTVF] 에너지엑스 박성현 대표 “에너지 소비의 주체였던 건축물을 생산ㆍ관리ㆍ절감의 주체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65 0
3464 가상자산법 7월 시행 “차질 없도록 준비한다”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218 1
3463 "DCF의 디디픽 서비스, 동대문 의류 유통에 꼭 필요했던 혁신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11 0
3462 와이어드컴퍼니 황봄님 대표 "워케이션, 조직 문화를 만드는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56 0
3461 [스타트업-ing] 디케터즈 “친환경 박스, 농가도 선호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00 0
3460 LG전자, 개인화 서비스 제공하는 냉장고·김치냉장고 ‘UP가전 2.0’ 신제품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484 1
3459 인공지능 악용 막을 ‘AISIC’ 출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28 0
3458 [KTVF] 소셜인베스팅랩 "주식 서비스의 끝은 소셜 인베스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04 0
3457 [KTVF] 원앤원 “캐주얼 모바일 게임, 이제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58 1
3456 인도 스타트업 ‘콰고스’…‘모드심’ 기술로 화물 전용 이륜차 플랫폼 개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674 0
3455 꿀꺽 삼키면 건강 상태 진단하는 마이크로 로봇 ‘가시권’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423 8
3454 [스타트업 법률실무 마스터링] 스타트업 법률실무 (3) 임직원 퇴사시 분쟁방지 (경업금지, 영업비밀보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01 0
3453 [뉴스줌인] AI∙콘텐츠 작업용 노트북, ‘MSI 프레스티지 16 AI Studio’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96 0
3452 [EV 시대] 전기차 시대 디자인 변화상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8 0
3451 다쏘시스템 “제품 설계 혁신…’AI·버추얼 트윈'으로 달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4 0
3450 빗썸, 이더리움 멀티체인 지원 등 ‘입출금 서비스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09 0
3449 [주간투자동향] 클라우드호스피탈, 20억 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38 0
3448 [스타트업-ing] 레디큐어 “디지털 엑스선, 치매 환자·가족에게 희망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84 0
3447 스마트폰 보호필름 선택은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252 0
3446 우주의 신비 푸는 디지털 카메라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559 0
3445 늘어나는 '와이파이 7' 지원··· 2024년 와이파이 전환 원년 될까?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6979 6
3444 주목할 만한 올해 출시 예정 전기차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17 0
3443 스마트폰 업계, 2023 부진 인공지능으로 씻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82 0
3442 플로우 “생기부 작성, 입시지도 업무에도 AI 활용하는 시대 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42 0
3441 ‘14인용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식기세척기’ 출시, 대용량 제품군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24 0
3440 거래소 점유율 좌우하는 ‘거래 수수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910 0
3439 ‘AI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분석’…기술 고도화 나선 교육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1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