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경제 위기 벗어날 방법은... 'AI 3인방'에 물어보니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20 09:00:08
조회 607 추천 0 댓글 15





[파이낸셜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은 현재 한국경제 상황을 어떻게 진단할까. AI의 견해는 전문가 만큼 신뢰할 수도, 독창적일 수도 없다. 자신에게 축적된 전문가들의 소견이나, 현재 국내외 웹사이트에 게재돼 있는 뉴스 등을 바탕으로 정리된 내용을 던져줄 뿐이다. 다만 여러 AI를 활용할 경우 편향적 방향으로만 정보를 소비하거나 치우친 시각을 갖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경제 지식이 전무하거나, 빠른 시간에 상황을 파악할 경우 초보 경제 교사로도 활용할 수 있다. 파이낸셜뉴스는 하이퍼클로바X, 제미나이, 챗GPT 등 현재 대중화된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의 문제점과 해법을 모색하는 AI 대담을 꾸며 봤다.

이들은 에너지 가격의 상승과 공급망 문제로 국내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가계와 기업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AI 전문가들은 물가 해소 방안으로 공급망 문제 해결을 꺼내들었다. 저출산 해법을 묻자 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이 우선이라는 답이 나왔다.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 역량 강화와 환경 보호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다음은 일문 일답

―2024년 한국경제 문제중 하나로 전문가들은 고물가를 꼽는다. 물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하이퍼클로바X=물가 상승은 경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이는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실업률을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아울러 물가 상승은 소비자들의 생활비 부담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국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코로나 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국내 물가도 크게 올랐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지만, 금리 인상으로 인해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제미나이=2024년 한국 경제는 가속화된 물가 상승이라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40년 만의 고점을 기록한 물가 상승은 국민들의 생활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며,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들어내고 있다. 높은 물가는 실질 소득 감소, 소비 위축, 투자 감소, 금융 시스템 불안정성, 사회적 갈등 심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챗GPT=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켜 소비를 줄이고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특히 저소득층에 큰 부담을 주어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또한,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금리 인상 압박이 커져 가계와 기업의 대출 비용이 증가한다 기업의 생산 비용 증가로 제품 가격이 상승하고 수익성이 악화되며, 이는 수출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 정부는 물가 안정과 경제 성장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높은 물가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면.
▲챗GPT= 통화 정책으로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정부는 식료품과 에너지 등 필수품의 공급망을 강화하고, 비축량을 늘려 가격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 기업들에게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해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는 것도 중요하다. 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 프로그램을 확대해 소비자 부담을 줄여야 한다. 서민층을 위한 생활비 보조와 같은 직접적인 지원 정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제미나이=국제 유가 상승과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해외 에너지 확보, 전략물자 비축, 해운 물류 효율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 경제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 정부는 노동시장 개혁, 재벌 개혁, 규제 완화 등을 통해 경제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

▲하이퍼클로바X=소비자들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절약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은 가격 비교를 통해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고, 할인 행사나 쿠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물가를 안정화 할 수 있다. 복잡한 유통구조는 가격 상승의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직거래를 활성화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심각하다. 정부, 민간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나.
▲챗GPT=정부는 출산 및 육아 지원금을 확대하고, 양육비 부담을 줄이는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보육 시설을 확충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 부모들의 육아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해 유연 근무제와 육아휴직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주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주택 지원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하이퍼클로바X=출산과 육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가족의 가치를 존중하고, 출산과 육아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들이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제도를 도입하고, 가족 친화적인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유연한 근무 시간 제도를 도입하고, 재택근무를 확대하는 등의 노력을 할 수 있다.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하이퍼클로바X=가장 중요한 것은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노력이다. 기후 변화와 미세먼지 등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환경 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과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국 경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고, 미래 세대에게도 깨끗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다.

▲제미나이=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는 바로 혁신 역량 강화이다. 한국 경제는 높은 물가, 성장 둔화,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혁신이 필수적이다. 혁신 역량 강화는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생산성 향상, 고용 창출, 사회 문제 해결 등을 통해 한국 경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수 있는 핵심 동력이다. 한국 정부는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부족, 규제 문제, 인력 부족, 사회적 인식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챗GPT=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혁신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기업들은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시스템을 혁신해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 노동시장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혁신 기술의 도입은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황정음과 바람나 김용준에 맞았다고.." 진실 공개한 男배우▶ '신혼' 손담비 "배 온통 멍투성이..갑자기 살이 7㎏ 찐 이유는"▶ "꼼수 대단" 비아냥..김호중 '음주운전' 혐의 왜 빠졌나 보니▶ "20살 차 사위, 아들처럼 생각한 적 없다" 여배우父 일갈에..▶ 남편에게 손찌검 당한 대치동 일타강사 "결혼 당시 조건이.."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1837 "차별 최저임금 중단하라" 민주노총 기습시위로 20여명 연행(종합)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42 0
11836 "수사기관 성매매 현장 몰래 녹음·촬영 증거능력 인정" 대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51 0
11835 [속보] 민주노총 시위 20여명 연행 "최저임금 차별 적용 중단"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40 0
11834 경찰, '불법 리베이트 의혹' 안양 병원 압수수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66 0
11833 작년 마약사범 2만명 첫 돌파 '역대 최대치', 10대·여성 급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52 0
11832 영풍 석풍제련소 조업정지 처분 항소심 28일 선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40 0
11831 강형욱 "허위사실 유포·비방, 허위 고소는 법적 대응" [2]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355 4
11830 ‘아동학대’ 혐의 피소 손웅정 "고소인측이 수억원 합의금 요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55 0
11829 민주당 '검사탄핵' 비판한 대장동 의혹 수사검사…"보복이자 사법방해"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71 1
11828 '사생활 영상 유포' 황의조 형수 오늘 2심 선고…檢 징역 4년 구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325 0
11827 '尹명예훼손 의혹' 신학림 전 언론노조위원장, 구속적부심 청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6 0
11826 이혼 소송 중 재산 빼돌린 50대 남성 불구속 기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77 0
11825 이문동 아파트 신축 현장 화재, 인명피해 없이 완진(종합)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4312 0
11824 경찰, '화성 아리셀 화재' 회사 대표 등 5명 입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86 0
11823 '일타강사 납치 미수' 40대 남성, 2심도 징역형…"죄질 불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78 0
11822 檢, '교제하던 여성·딸 살해' 박학선 구속기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75 0
11821 '자회사 부당지원' 롯데칠성음료 벌금 1억원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2 0
11820 불법 하도급 의혹…경찰, LH 본사 등 압수수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2 0
11819 "내부 구조 몰라 출입구 반대편으로"...'위험의 이주화' 실현된 화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4 0
11818 "아빠 가는 것 보게 해달라", 오열하는 유가족들[르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76 0
11817 인권위, '훈련병 얼차려 사망' 방문조사 실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0 0
11816 동대문구 아파트 건축현장서 화재...소방당국 진화 중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55 0
11815 '원인을 밝혀라'...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현장감식 시작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1 0
11814 화성 화재 현장서 시신 1구 추가 수습…사망자 23명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74 0
11813 나이 먹는 '몽타주', 실종자 방 위치까지 특정...기술이 사람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57 0
11812 삼성전자 기술 빼돌려 이직 "부정한 이익 등 없어 '무죄' 선고는 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156 0
11811 김앤장 조세쟁송그룹, '조세실무연구15' 발간[로펌소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0 0
11810 "최태원 SK 주식 처분 막아달라" 노소영 가처분 철회 [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745 2
11809 박성재 법무, “사망 외국인 근로자·유가족 지원 최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61 0
11808 돌아온 여름철 불청객 '러브버그의 습격'..때 이른 폭염에 기승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335 0
11807 검찰, 화성 아리셀 화재 '전담수사팀' 구성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82 0
11806 고소장으로 푸는 분노에…수사 적체는 '하세월'[최우석 기자의 로이슈] [3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319 7
11805 "작년보다 열흘 일찍 에어컨 틀어", 자영업자 벌써부터 전기요금 걱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82 0
11804 치안정감 인사 마무리...차기 경찰청장 누가 될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73 0
11803 속도내는 전·현직 대통령 배우자 수사, 쟁점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70 0
11802 "무제한 베팅 가능"…불법 파워볼 운영업자 집행유예 [2]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758 1
11801 고려제약 리베이트 사건 총 22명 입건…의사 14명(종합)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83 0
11800 "지인이 몰래 차량 운전하다 사고, 소유주도 책임져야" 대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62 0
11799 경실련 "해외 자회사 배당금에 대한 비과세 정책 폐지해야"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98 0
11798 고려제약 리베이트 사건 총 22명 입건…의사 14명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61 1
11797 의사 대신 행정직원이 건강진단…법원 "진단기관 취소 정당"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386 1
11796 법무법인 YK, 배성범 前서울중앙지검장 영입 [로펌소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61 0
11795 112 신고 출동 경찰 긴급조치 가능해진다 [1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6222 4
11794 '尹 명예훼손' 수사 김만배·신학림 첫 구속...수사 막바지 들어섰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05 0
11793 "신촌 100억대 전세사기"…피해자들, 특별법 개정 촉구 [67]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6492 5
11792 [단독]'스캠 코인' 팔아 수십억 꿀꺽...거래소 운영자 재판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20 0
11791 "쿨링포그 없으면 어떻게 사나" 때 이른 폭염에 쪽방촌 힘겨운 여름 [2]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81 0
11790 마약류 유통으로 '사업 확장'하는 보이스피싱 조직[김동규의 마약 스톱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95 0
11789 '불법 영상 유포 ’ 황의조 형수 2심, ‘경복궁 낙서 테러’ 20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01 0
11788 현지법인 지시 받은 해외 파견자…법원 "산재 인정 안 돼"[서초카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8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