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흙수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흙수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씹덕오타쿠 유형별로 분류 ㅇㅇ
- 통일교인 추정 국힘 11만명 중 '전대 지원' 만명 '단체입당' ㅇㅇ
- BBC가 몰래 입수한 북한 스마트폰 수준 DC사랑
- 황인수 이번 경기 승부처 ㅇㅇ
- 전용기를 가지고 있는 월클 스타들 모음 ㅇㅇ
- 옆집사람 자살하면 물건부터 훔치러 가는 한국인들 ㄷㄷ 네놈악업이과하
- 회삿돈 10억 훔쳐 호스트바서 펑펑쓴 30대 한녀 조선인의안락사
- 애초에 황인수의 강점이자 캐릭터성은 그냥 쎈 캐가 아니었음 U갤러
- 자녀들이 아빠랑 여행가면 재밌는 이유 ㅇㅇ
- 건국전쟁2 상영중단 OO
- 킨텍스《2025 경기국제웹툰페어》후기 및 홍보&웹툰(아카살)리뷰 혼내줄테다
- 싱글벙글 미국 역대 대통령들의 사망 원인을 알아보자 영단어봇
- 가타부타 - 上 dogil
- 서울시, 한강버스 운항 ‘임시 중단’ 조선인의안락사
- 싱글벙글 시대별 군인짤 ㅇㅇ
유일유일 현재 대만에 남아있는 유일한 수교국들을 알아보자
오세아니아/태평양 지역 : 팔라우 / 투발루 / 마셜제도 (* 나우루의 경우 2024년에 단교 및 중국과 수교)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지역 : 파라과이 / 과테말라 / 아이티 / 벨리즈 / 3세인트 (* 온두라스의 경우 2023년에 단교 및 중국과 수교) 아프리카 : 에스와티니 유럽 : 바티칸시티 => 2025년 기준 총 12곳 기본적으로, 중국의 경우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외국 정부가 대만을 별도의 주체로 '공식 인정' 하게되면 단교를 하거나 경제적 제재 및 불이익을 준다고 천명함. 뿐만 아니라, 대만과 수교 중인 국가들에 대해서는 재정 원조 / 인프라 투자 등을 제공함으로써 대만과의 수교를 끊고, 중국과 수교하도록 이끄는 중. 실제 가장 최근 사례인 나우루에 대해서도 그러했음. 물론, 한국과 일본을 비롯하여 수 많은 유럽 국가들 모두 대만과 그 어떤 외교적 관계도 단절한 건 아니고, 영사나 대사 등 공식적 외교 사절단만 존재하지 아니할 뿐 '대표부(Represnetative Office)'라는 이름 하에 비자발급, 유학생 및 교민 지원, 문화 교류 등 사실상의 대사관 업무를 추진하고 있긴 함. 참고로, 1971년 UN 총회 결의 2758호에 의해 중화인민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중국으로 인정되고, 그 이후 1972년 닉슨의 방중에 따라 미-중 관계가 적극적으로 양지화됨에따라 미국을 비롯한 친서방 국가들 연달아 대만과 단교 및 중국과 수교를 맺었음. 그 와중에 대한민국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과 당시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 대만과 외교관계 등으로 다른 친서방 국가에 비해 상당히 늦은, 1992년에야 대만과 단교를 함. 그럼에도 대만은 아 한국시치 외치는 중
작성자 : 영단어봇고정닉
한강버스 운행 이틀차 전구간 탑승 후기 (마곡-잠실)
요약:전구간 탑승하는데 2시간 정도 걸린듯김밥이랑 사이다 갖고 소풍가는 느낌으로 타보면 괜찮을 것 같았음기왕이면 닭강정 같은거 들고 타도 괜찮을듯좌석은 기대 안했는데 착좌감은 보통이었음흔들림은 거의 없었고 일반 배와 달리 멀미약이 필요하지 않았음전체적인 풍경은 다소 밋밋했고한강철도 지날때가 그나마 꿀잼이었음가는 동안 한강 주변 아파트 질리도록 본듯우리나라 스카이라인이 관광용으로는 아쉬움이 많다는 인상을 받음다만 한강 주변의 다양한 핫플레이스를 연결하는 역할로서 보자면 그 역할을 충실히 할 것으로 보여짐 (압구정, 여의도, 마포, 뚝섬 등등)다만 장거리 이동수단으로는 여전히 최악의 선택임조금이라도 빨리 가고 싶으면 지하철+버스가 훨씬 나음가격 면에서도 이쪽이 훨씬 낫고- 한강버스 마곡선창장 및 시승 환승의 경우 미리 태그 가능. 화장실 이용 불가 .. 편의점 내 취식금지 우천시 외부 이용 불가.. 의자 없음 서 있어야 됨.. 비 바람이 거샌 관계로 외부 이동 제약- 한강버스 후기장점1. 좋은 경치(원래부터 인기 있던 한강 유람선처럼 운행하니까)2. 편리한 선착장(각종 상품샵과 식당, 카페까지 잘 들어서 있음)3. 갑판 출입가능(나가서 바람쐬고 경치구경하기 좋음)4. 첨단 안내요소(카카오맵으로 조회되고 근처에 방향안내가 잘 되어있음. 10분정도 도보 하면 선착장에 닿을 정도로 관광하기엔 괜찮은 접근성)단점1. 매우 느린 속도(25km/h로 가면 9호선 완행한테도 배 급행이 지는건 물론, 대전트램하고 속도 비빌것 같음)2. 불편한 좌석 (리클도 안되고 양옆 팔걸이가 두꺼움. 인체공학적이질 못해서 뭔가 뉴슈퍼 좌석차 타는 느낌임. 3천원 받는거면 앞뒤간격 신경쓰고 리클까지 넣었으면 좋았을듯)3. 오래걸리는 접안시간(승하차할때 인원체크도 하고 한바퀴 돌아서 배를 대는지라 지연이 좀 심했음 게다가 역마다 플랫폼이 하나밖에 없어서 다른 배 승하차중이면 교행한답시고 다른 배 승하차하고 있으면 멀리서 둥둥 떠있어야됨.)4. 여전히 불편한 접근성(만약 매일 배를 타려고 400미터씩 걷기는 힘들듯. 차도 버스도 못 들어오고 오로지 도보만 허용되는지라. 근데 이건 한강의 구조적인 문제라 해결이 안됨.)5. 출퇴근용도로 사용 불가(25~26으로 가면서 선착장 하나하나 다 세우면서 출퇴근하는건 말이 안됨. 차라리 출퇴근 시간대에는 포인트 투 포인트로 주요 출근지역까지 최고속도 내가면서 바로 운행하는게 나을듯.)총평저렴한 유람선 정도로는 최고인거 같음. 오픈빨 때문인지 만선의 기쁨을 계속 누리는 중지금은 4대만 다니는거 같은데 오픈빨 빠졌을때인 명절 이후로는 15분 간격으로 확 늘어난다고 함. 그때까지 수익을 뽑을수 있을진 모르겠음. 지금보다 8배 많이다니는건데 많이 탄다 해봐야 한 버스 정원의 3분의1 탈듯그리고 15분 간격으로 다니면 지금도 승강장 하나라 기다려야 하는데 단선마냥 줄줄이 밀릴텐데 과연 그렇게 운행 계속 가능할진 모르겠음. 배차 최대한 줄인다 해도 출퇴근 20분 평시 30분이 최선일 것 같은데 너무 무리하게 배를 12대까지 많이 사놓은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다만 갑판 나갈수 있게 한건 신의 한수인거 같음. 다만 난간쪽이 조금 허술한 면은 있어서 안전에 유의는 해야할듯.이왕 만들어진거 서울 관광코스 중 대표적인 걸로 자리잡으면 좋겠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