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해병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해병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이진숙 후보자, 제자 논문 10여개 표절 의혹 ㅇㅇ
- 싱글벙글 외국학자가 분석한 한국사회 특징.JPG ㅇㅇ
- 농약통 요리 논란, 백종원 "정부 인증 받았다", 식약처"사실무근" 학헉학
- 트럼프 "머스크 남아프리카로" 꺼져라 ㅇㅇ
- 포르쉐와 나치독일.jpg 네거티장애
- 트럼프가 백악관에서 UFC열겠다고 함 기신고래(진)
- 민주당 “대통령 발언 특혜 준다는 뜻 아니야” ㅇㅇ
- 10살 많은 남친한테 밥사주고 욕먹음 야갤러
- 어질어질 "러브버그? 국민들이 좀 참을 줄 알아야지" ㅇㅇ
- 음저협 "왁제이맥스 조치 끝까지 진행..모든 절차 준비중" ㅇㅇ
- 유튜브 광고에 많이 나왔던 좀비 쏘는 게임 리뷰 ㅋㅋ 우틸리즈
- 아침 7시에 버블 보냈다고 욕먹은 혜리 긷갤러
- 억울하게 잡혀갔던 기억을 떠올리는 마이클 잭슨 ㅇㅇ
- 중학생 제자 술 먹이고 나체 촬영·성 착취물 만든 60대 학원장 묘냥이
- 10년 넘게 여자친구 병간호해주는 남자 ㅇㅇ
싱글벙글 현존하는 대한민국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 3대장.jpg
1. 담비(Martes flavigula) 대형 육식동물이 멸종한 한국에서 유일하게 중대형 유제류(고라니, 노루, 멧돼지) 개체 수를 조절하는 포식자 몸무게는 3kg에 불과하지만, 3마리 안팎으로 무리를 짓고족제비과 특유의 날렵함을 무기 삼아 사냥 하는데 덩치가 5배나 큰 성체 고라니도 사냥할 수 있다고 한다국내 생태계에 적수가 없는 멧돼지도 새끼 땐 담비에게 사냥감에 불과한데 무리에서 떨어져 나온 아성체까지도 잡아먹힌다고 한다즉, 담비 1마리가 한 해 동안 고라니나 노루 성체 1마리와 새끼 2~3마리, 멧돼지 새끼 0.4마리를 잡아먹는 셈이다 담비 추정 개체 수를 곱하면 고라니, 노루 성체 2000마리 이상고라니, 노루 새끼 4000~9000마리멧돼지 새끼(10kg 기준) 800마리 이상 을 1년 동안 사낭해 개체 수를 조절하고 있다담비는 종종 사냥감 사체를 나무에 걸어놓기도 하는데 이는 '표범 생존설'을 굳게 믿던 맹수덕후들의 마음을 잠시나마 설레게 하기도 했다담비 혼자서도 고라니 새끼 정도는 감당할 수 있으며덩치가 비슷한 털바퀴 랑 1대 1 도 한다.결과 담비 승https://youtu.be/cKCUCwsfxVo배가 고프면 무리 지어서 털바퀴 사냥도 한다게다가 담비는 행동권도 국내 육상 포유류 중 가장 넓은데, 한때 '범 잡아먹는 담비'란 명성을 떨친 면모다운 스케일이다2. 삵(Prionailurus bengalensis) 한반도에 서식하던 야생 털바퀴과 동물 중 사실상 유일한 생존자(나머지는 호랑이, 표범, 스라소니) 몸무게는 5kg 안팎으로서역에서 온 털바퀴보다 훨씬 이전부터 우리 숲과 들을 뛰놀던 토착종주 먹이는 설치류(토끼 포함), 조류, 어류 등으로먼 친척 호랑이처럼 물을 꺼리지 않는 사냥꾼이다맹금류와도 맞짱뜨는, 자기보다 2배나 큰 두루미도혼자서 사냥할 수 있는 능력자이기도 한데바둑이 3마리가 협공해 사냥하는 외래 교란종 '괴물쥐' 뉴트리아도 잘 사냥해 개체수 조절에 기여한다솔플러인만큼 아쉽게도 고라니와 노루는 새끼만 사냥할 수 있는데 삵 1마리가 한 해 동안 고라니나 노루 새끼를 5.7마리 잡으먹는다고 한다3. 수달(Lutra lutra) 국내 하천 생태계의 절대 강자, 패왕. 모든 민물고기의 저승사자 몸무게는 7~12kg로 의외로 체급이 높다죽으면 슬퍼하는 이가 많은 멸종위기종이다주식은 역시 어류로 식단 80% 이상을 차지하며제일 좋아하는 먹이는 잉어지만가물치나 메기 같은 대형 어종도 사냥할 수 있다그 다음으로 양서류와 조류, 그리고 드물게 파충류와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데포유류를 사냥하는 일은 없다하천의 또 다른 강자, 왜가리와는 경쟁 상대라고 할 수 있는 묘한 관계인데 서로 1대1로 맞붙으면 수달이 이길 가능성이 크며, 때론 수달이 왜가리를 사냥하기도 한다참고로 수달은 담비나 삵에 비해 무척 온순한 편이라 애완용으로 길러지는 경우도 있다 1.인간이나 들고양이, 들개는 어딨음?= 인간은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고, 들개나 들고양이는 본래 자연 생태계에 없던 외래종이라 뺐습니다 2. 여우나 곰은 왜 뺌 ?= 둘 다 멸종 상태에서 복원해 전국에 개체 수가 겨우 수십 마리이므로 뺐습니다. 생태계에 미칠 영향이 극히 적어서요. 참고로 반달곰은 한국은 89마리가 사는데, 옆나라 일본엔 10,000마리가 삽니다 3. 멧돼지는 왜 없음?= 식육목이 아닌, 우제목인 멧돼지는 대개 피식동물로 취급되지 포식자로는 분류하지 않기 때문에 넣지 않았습니다 4. 호랑이, 표범, 늑대 어디감?= 다 멸종했습니다. 남한 야생에서 호랑이는 1920년대, 표범과 늑대는 196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5. 삵이랑 담비랑 1대1로 싸우면 누가 이김?= 모릅니다. 다만 삵이 담비를 쫓아내는 영상은 있습니다.https://youtu.be/l_13lrUPXVs
작성자 : 수인갤러리고정닉
현재 갤에서 논란중인 원조 볶음밥
1.햇반 새우 볶음밥 쿠팡가격 1개 4700원 (2인분기준)2.햇반 만능계란 볶음밥 (냉동), 400g, 2개 6500d원3. 갤주 볶음밥주념 댓글에 누가 햇반 볶음 밥이랑 똑같다고 해서 가져옴먹어 본사람 있냐?- 백종원 볶음밥 냉동 볶음밥 맞음편의점에서 먹던 딱 그 냉동밥 임 전자렌지 돌린거그리고 양 존나 작음 새우 3개 내가 먹은거 아니고 저게 다임그리고 밥을 그릇에 쫙펴놔서 저거 두께 1cm 정도임 ㅋㅋ4 숟깔 뜨면 다없어짐 ㅋㅋㅋㅋ- 갤주 볶음밥이 무조건 냉동인 이유직접 만들면 저 전란액 스크램블이 나올 수 없음저 특유의 라면 고명 불린거 같이 생긴 샛노란 계란 알갱이는 전란액 스크램블을 따로 만들어서 마지막 공정때 섞으면 나오는 모습임 ㅋㅋㅋ직접 볶으면 흰자와 노른자가 되게 불규칙하게 섞여서 색이 저렇게 균일하게 안 나온다...스크램블도 전란액 안 쓰면 밥알이랑 붙은 놈도 나오고 그닥 깔끔하게 안 나옴.이것만 봐도 계란이 크기가 불규칙하고 눌은 자국이 랜덤이고 그렇잖아?근데 갤주 볶음밥은 계란부터가 균일 스크램블에 직화로 눌은 자국조차 안 보임...냉동 데워주면서 화유 조금 넣은게 어딜봐서 볶음밥임? ㅋㅋㅋㅋㅋ
작성자 : 백갤러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