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결혼작사 이혼작곡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결혼작사 이혼작곡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앙 기모띠는 여혐 용어.......jpg ㅇㅇ
- 젤다만화)고독한 영걸1-구운 사과 heydove
- 싱글벙글 중국 정부가 절대 보여주지 않는 중국의 모습들 ㅇㅇㅇㅇ
- 블라)결혼예정인 여친이 과거 20초반에 낙태한걸 알게된 롯데쇼핑남 실시간기자
- Nostalgia 14화 (전직관 주먹펴고일어서) 이단자
- 지하돌 씹덕 귀국하자마자 몸살로 앓아 누웠다 ㅇㅇ
- “연차 20개 있는 줄 알았다”... 월수금 연차 낸 신입 ㅁㅁ
- 90년대풍으로 캐스팅한 어벤져스 이거 무섭네 란피스
- 구독자100만 브라질 가족이 한국여행하고 젤 좋았던곳 ㅇ ㅇ ㅇㅇ
- 초고도비만 다이어트하는 manhwa 0화 푸른곰팡
- 천안함 사건 교과서에 넣는 대석열....JPG 대석열
- 2010년대 후반 대표적인 NHK 고생물 다큐 TOP 3 총정리 ㄱㄹㄷㅌㅎ
- 이거 진짜냐 71년생이 02년생여자 고백사건.jpg ㅇㅇ
- 구제역과 법적 분쟁해서 전부 승소한 유튜버 ㅇㅇ
- 싱글벙글 뭔가 ㅈ된듯한 신규 007 캐스팅 ㅇㅇ
제주도에서 말 35마리 키우는 아조씨
빨리 문 따고 밥줘 좆간아!! 우리 같은 황족 서러브레드는 똥말딸하고는 안 섞인다 이기야 말고기 되기 전에 반려마로 입양한다고 함미개한 좆간이 미안해 ㅠㅠㅠㅠㅠㅠ고마워 인간아 핥짝핥짝 말고기 특) 개도 먹음 할머니 편하게 여생 보낼 듯성적 좋았어도 다치면 돈 든다고 마주가 갖다 버림 그래서 말 돌보는 아재는 먹여 살릴 돈은 어떻게 범?주 69시간 불평은 하수들이나 하는거임 좆빠지게 벌어서 밥 맥이고장제일도 할 줄 아는 갓간 https://www.youtube.com/watch?v=yunA40IZ7J0 [#습속친구들] 버려진 35마리 말들의 대부, 국내 유일 유기마 보호소? #순간포착세상에이런일이 #WhatonEarth #SBSstory1198회 220920 버려진 말 35마리, 말 많은 제주 대부 68만 평 드넓은 곶자왈에서 35마리 반려馬를 키운다는 대부?이곳에는 다리를 절고, 빨갛게 충혈된 눈에, 여기저기 상흔이 가득한 유기 말들이 모여있다고...각자의 사연으로 버림받은 말들에게 드넓은 자연을 선물하고 ...youtu.be이 아조씨 유튜브 채널도 있다고 함https://youtube.com/@HORSES_SANCTUARY 곶자왈 말 구조 보호 센터 OURLANDOURHORSES곶자왈말구조보호센터사람과 말이 서로 숨실수 있는 그런 공간을 꿈꾸어 봅니다.후원계좌 농협 301-0317-2358-71 곶자왈 말 구조 보호센터youtube.com나중에 제주도 놀러갈 일 있으면 함 들러볼 듯
작성자 : ㅇㅇ고정닉
(초스압)98년 5월 서울 7호선 침수 사고 타임라인
원 저작자는 MBC이고, 마지막 사진(고속터미널역)을 제외한 모든 사진은[ https://www.youtube.com/@jiri3lover ] 채널에서 스크랩한 것을 가져온 것임컴으로 작성한거라 모바일 가독성 좀 별로일건데 너그러이 봐주십쇼1. 1998년 5월 2일 - 7호선 태릉입구역 침수1998년 5월 2일, 전날부터 수도권 지역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중랑천이 범람했고당시 중랑천을 통과하는 6호선 태릉입구역 공사장(612공구)의 물막이벽을 넘으면서6호선 공사장을 통해 중랑천의 물이 태릉입구역과 7호선 선로로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함범람한 중랑천과 6호선 공사장(중랑천 상의 교각은 당시 건설 중이었던 북부간선도로 도심 구간)6호선 공사장을 통해 물이 쏟아져들어오는 7호선 태릉입구역태릉입구역을 시작으로 마들~사가정 구간의 11개 역이 모두 침수되는 대참사가 벌어져당시 7호선은 1단계 구간(장암~건대입구)만 개통된 상태라 결국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고특히, 침수가 시작되었던 태릉입구역은 구간 내에서 표고가 가장 낮은 곳이라지하4층 승강장부터 지하1층 대합실까지 모조리 침수되어버림2. 1998년 5월 3일 - 폐허로 변한 7호선6호선 태릉입구역 공사장이 폐허로 변한 모습역내 공중전화에 비치된 전화번호부가 물에 젖어 너덜너덜해진 모습(휴대전화 보급률이 낮았던 당시 시대상을 드러내는 부분)침수 구간 북쪽 끝의 마들역과 5월 11일 임시개통을 예상하는 서울시배수작업에 투입되는 인부들침수구간(마들~사가정 11개 역)3. 1998년 5월 4일 - 7호선 침수로 인한 교통지옥, 국철, 4호선, 동일로, 동부간선도로 혼잡도 극심당시 개통한지 2년이 채 안된 7호선이었지만 그간 교통의 음영지였던 서울 동북권을 종관하던 7호선이 먹통이 되자중랑구, 노원구 등 서울 동북권 일대에는 극심한 교통 혼잡이 빚어졌음7호선을 이용하지 못한 시민들은 국철(1호선), 4호선과 7호선 대체수송 버스, 자가용, 시내버스 등으로 분산되었고이내, 이 일대의 국철, 4호선, 동일로, 동부간선도로 구간이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되어버림극심한 정체를 빚는 동일로임시 운행 중인 7호선 대체수송버스승객들이 몰려든 창동역4. 1998년 5월 7일 - 침수된 7호선, 졸속운행 논란서울시는 배수가 완료되고 급전만 이뤄지게 되면수동운전을 통해 열차가 운행 가능하다면서5월 11일 부터 임시로 영업운전을 재개하고자 했음당시 동북권 지역에서 벌어진 교통 혼란을 감안하면 운행 재개를 검토하는 서울시 입장은 이해는 되지만당장 저 뉴스가 보도된 날 태릉입구역을 포함한 3개 역은 여전히 침수된 상태였고침수 여파가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급전이 강행되면누전 등에 따른 2차 사고 위험이 있는 상황이었음배수가 완료된 중계역, 하지만 침수 여파는 여전히 가시지 않음여전히 침수되어 있는 모 역, 태릉입구역으로 추정됨통신선 복구에는 최소 15일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통신선이 복구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열차 운행이 재개될 경우유사시 열차와 사령실 간의 통신 두절로 문제가 될 수 있던 상황5. 1998년 5월 8일 - 침수됐던 7호선 배수 작업 완료밤낮없는 배수 작업 끝에 태릉입구역 선로까지 배수가 완료됨그러나 선로 위에 잔해 더미가 널부러진 모습청소(5월 8일 밤), 안전검사(5월 9일), 시험운행(5월 10일)6. 1998년 5월 10일 - 7호선 시운전 중 문제 발견돼 임시운행 연기5월 10일 시험운행 과정에서 선로 내 누수가 지속되어 운행재개 연기 결정이 내려짐마들역에 들어오는 시험운행 열차(701편성)교행하는 시운전 열차와 복구 작업 중인 면목역시운전 열차 내부시운전 열차와 태릉입구역침수 피해가 가장 심했던 역이라 여전히 누수가 있는 모습시운전 열차와 군자역침수 피해가 없었던 군자역은 상당히 멀끔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만약, 침수 여파가 사가정역을 넘어 여기까지 불어닥쳤다면5호선 환승통로 쪽으로 물이 유입되는겉잡을 수 없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었음7. 1998년 5월 11일 - 침수된 7호선 운행재개...아직 복구할 곳 많아윗 단락에서 개통연기 결정이 내려졌다 했는데 이게 뭔 상황인가 싶지만날짜가 밀린게 아니라 당초 5월 11일 첫차부터 운행재개 하는걸5월 11일 오후 5시부터 재개하는 것으로 미룬 것임15분 간격에 복구를 위해 오후 10시까지만 운행을 하는 방식이었지만그럼에도 시민들은 7호선 운행재개를 반기며 많이 이용하는 모습을 보임운행재개된 태릉입구역, 여전히 누수가 일어나고 있어 주의 안내문이 붙어있음운행재개 당일 많은 시민들이 7호선을 이용하는 모습그러나, 설비 복구가 완료되지 않아 역사 내 안내방송 및 전광판이 먹통이고에스컬레이터도 작동하지 않는 등 다소 불편이 지속되는 모습임8. 1998년 5월 12일 - 7호선 완전복구엔 9개월, 480억 원 필요전날(5월 11일)부로 임시운행이 재개되었지만완전 복구에는 무려 9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고480억 원이라는 천문학적 비용이 청구될 것으로 예상됨3번은 무선시스템 불통으로 운전실에 기관사 외 승무원이 동승하여 무전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음9. 그 이후1998년 6월 17일 부로 ATC설비 복구가 완료되어 배차간격이 10분으로 단축되었고동년 8월 3일에는 운행 시간이 자정까지로 연장되었음그리고 동년 9월 16일 부로 배차간격이 7분대로 한번 더 좁혀졌고해를 넘겨 1999년 1월 4일, 상봉변전소 복구가 완전히 끝나 침수 이전으로 되돌아갔음10. 한편...수난(水難)의 7호선태릉입구역 침수 여파가 가시지 않은 1998년 8월 6일 또다시 수도권에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도봉산역이 침수되었고태릉입구역 선로에도 다시 물이 들어차면서 7호선 운행이 전면 중지되었음다만, 5월 사고처럼 전면 침수는 아니었던지라 8월 9일 부로 영업재개됨2001년 7월 15일에는 집중호우로 반포천이 범람하여 고속터미널역이 침수되었고이로 인해 7월 17일까지 강남구청~고속터미널 간의 운행이 중단되었음여기도 사건 발생 개요가 신기한게센트럴시티 지하2층 주차장이 반포천 범람으로 침수되었는데지하철역 연결통로가 있어서 거기로 물이 유입된 것이었음
작성자 : 크로켓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