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 성명서(20250424)

신사법시험(61.74) 2025.04.28 16:50:14
조회 1192 추천 216 댓글 1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 성명서

 

 



- 지구상 유일한 독점적 <한국식 로스쿨 제도>를 전면적으로 개혁해야 한다.

 

- 국민들은 로스쿨 제도의 실패로 <사법시험 부활>과 <신사법시험 도입>을 원한다

 

- 독일이 과거 로스쿨 제도를 도입한 후 14년만에 이를 폐기하고 <법학부 교육 중심 사법시험제도>를 확립한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 [공직 사법관시험]과 [자유직 변호사시험]을 별도로 시행해야 한다.

 



1. 법무부는 2025년 4월 24일 저녁 늦게 제14회 변호사시험 합격자 수를 1,744명으로 변호사시험 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2025년 로스쿨 졸업 응시자 대비 합격률은 74%로 나타났다 변호사시험 관리위원회는 합격자 결정기준인 입학정원 대비 75%(1500명)이라는 기준을 244명이나 상회하는 인원으로 정했다.

 

이미 법무부는 2019년에 2018년 49%였던 응시자 대비 합격률을 50% 이상으로 인위적으로 상향 결정해 하향추세의 곡선을 상향 추세로 돌려놓아 순리에 반하는 결정을 한 바 있다. 더욱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그 비율을 53%로 더 상향시켜 그 기준을 초과하는 결정을 내려왔다. 국민들은 “대한민국에 합격률 50% 이상 보장하는 공개경쟁시험이 있는가” 반문하고 이의를 제기할 것이다. 그 이유는 현재 변호사시험은 자격시험이 아니라 기타 공무원시험과 마찬가지로 공개경쟁시험이기 때문이다.


 

2. 법무부는 부정행위 처벌 방안만 제시할 뿐, 근본적인 제도 개선 방안은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우리 로스쿨제도는 완전히 실패한 제도이다. 원래 대륙법계 국가인 우리나라가 영미법계 법학교육제도인 로스쿨을 도입하게 된 배경은 사법시험제도의 폐해를 제거하기 위함에 있었다. 그 폐해로는 고시낭인의 양산, 학문법학의 수험법학 전락, 특정 명문대학의 합격자 독식, 양질의 법률서비스 제공불가 등이 제시되었다. 로스쿨제도가 도입돼 제14회 변호사시험이 시행되고 그 합격률이 공개된 지금 이 제도는 그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할 정도로 큰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곧 사법시험 제도의 폐해로 지적된 사항이 그대로 로스쿨제도의 폐단으로 답습되고오히려 더 크고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 그 현실이다.


 

3. 구체적인 증거로 입시기관 자료에 의하면 서울에 있는 로스쿨은 수도권 대학 출신이 2025년 약 94%(경찰대, 한국과기원 등 특수대 10%포함)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수도권 대학과 특수대를 제외하면 4년제 비수도권 대학 출신 로스쿨 진학생은 거의 없다. 이른바 ‘스카이(SKY·서울·고려·연세)대’ 로스쿨생으로 보면 95%가 수도권 대학 출신이다. 지방의 경북대와 영남대 로스쿨도 최근 5년간 수도권 출신 비율이 각각 90%, 78%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 로스쿨 전체 25개 대학 재학생 중 44%(2784명)가 고소득층이다. 특정 대학은 고소득층이 72%나 된다. 이 같은 상황은 교육 불평등, 지역별 교육격차의 심화 양상을 보여주는 결과지만 로스쿨제도 자체가 갖는 근본적 문제점이다.


 

4. 이처럼 구체적인 통계수치로 명확하게 드러났듯이 특정 명문 로스쿨의 변호사시험 합격자 독식현상은 더 심화됐고, 그 양질의 법률서비스 제공능력을 오히려 법조인조차 부정하는 심각한 폐해를 드러내고 있다. 지방 로스쿨은 죽어가고 있다. 무엇보다 많은 돈이 없으면 입학조차 할 수 없고 입학시험 성적이 자의적으로 결정되는 것은 우리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평등권을 침해하며 특정계층에 대한 특혜를 조장하는 역기능을 양산한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법학교육의 발전과 다양한 인재 발굴 측면에서 3년 로스쿨제도는 사법시험제도에 비해 나아진 점이 전혀 없다. '고시낭인' 주장에 비해, 3년간 1억원 이상의 큰 투자에도 변호사시험에 불합격한 '로스쿨낭인'이 더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5. 무엇보다 한국식 로스쿨 제도는 로스쿨을 졸업해야만 변호사가 될 수 있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독점적 구조의 기형적인 제도라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 제도의 모국인 미국도 “베이비바(Baby Bar)”와 같은 우회로를 두고 있으며, 일본 역시 에비시험 제도를 병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독점적 구조는 로스쿨이 없는 일반 법학부의 법학교육을 무의미하게 만들어 대학졸업 사각모의 중요한 한 축인 법학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우리는 전격적으로 로스쿨 제도를 도입했던 독일이 그 시행 14년만에 이를 완전히 폐기하고 <법학부 교육을 통한 사법시험제도>를 확립한 사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6. 이러한 현실에서 로스쿨제도가 유일한 법조인 양성제도로 남게 된 지금 '재탄생된 새로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게 되었다. 그 제도의 우회로로 로스쿨에 진학할 수 없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도 응시할 수 있는 “신사법시험”을 도입해 사법시험을 부활시켜야 한다. <신사법시험>은 변호사시험에 대응해 전문적인 사법관을 선발하는 공직시험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변호사시험에 최종 탈락한 로스쿨 졸업생들에게도 응시기회를 주어 수천명에 이르는 [로스쿨낭인]을 구제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별도의 2가지 시험을 실시해 공직 사법관과 자유직 변호사를 따로 뽑으면 양자의 유착으로 인한 사법비리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사법시험제도와 로스쿨제도는 지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9년간 문제없이 공존해 왔으며 그 병존을 통해 법률 소비자인 국민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신사법시험이 별도로 필요한 이유이다.


 

 

 

                                        2025년 4월 24일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

                                          회장 백원기

 

 

-------------------------------------------------------------------------------------------------------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www.klps.kr/)의 강령과 그 구성원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의 2대강령]

 

1)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을 배려하는 인도주의 법학의 실천> (똘레랑스 : Tolerance)

 

2) <기회가 균등하게 보장되고 공정한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사법행정입법개혁> (노블레스 오블리제 : Noblesse oblige)

 

이 강령에 따라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는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따른 주권자 국민들의 의사>를 존중합니다. 곧 특정 사상에 편향되지 않고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며 사안별로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합니다.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의 구성원과 역할]

 

1)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는 25개 로스쿨을 제외한 전국 139개 법과대학, 법학과 또 유사학과에 소속된 교수, 강사 또 법학박사 2,000여명이 소속된 단체입니다. 이는 25개 로스쿨의 교강사 1,400여명보다 많은 구성원입니다.

 

2)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는 25개 로스쿨이 소속된 재단법인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에 맞서는 법인으로서 법학교육의 최일선에 있는 법학교육기관의 교육주체가 소속된 단체입니다.

 

3)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는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는 <주권자 국민의기본권 보장을 위한 법치주의>를 존중합니다. 이에 따라 [법학교육의 정상화와 법조인 양성제도의 개혁]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추천 비추천

216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끝까지 다 본 걸 후회하게 만든 용두사미 드라마는? 운영자 25/07/07 - -
AD 해커스 군무원 합격컷 확인시 100% 선물 증정 운영자 25/07/05 - -
381682 사시가 200명 부활하면 너같은 로스쿨가겠냐. 일을 맡기겠냐. [1] 사갤러(58.238) 06.08 548 21
381680 진짜사람을찾아. [2] 사갤러(101.235) 06.07 203 1
381677 사법시험 일부 부활을 추진하고 로스쿨의 문호를 확대하겠습니다. [4] 사갤러(39.118) 06.06 1004 57
381674 송기헌 [2] 사갤러(59.22) 06.05 332 1
381673 사시부활 ㄱㄱ [5] ㅇㅇ(210.222) 06.03 1164 82
381670 내일이면 드디어 내란세력 청산하는 날이다 [1] 사갤러(125.141) 06.02 156 5
381668 조선일보=이재명 당선 기획기사 준비중 사갤러(125.141) 05.31 154 4
381667 나도 예전엔 사시 좋아했었는데 찢갈이들 많이 묻고 나서는 사갤러(223.38) 05.31 118 1
381664 민주당 사법시험 일부부활 [10] 사갤러(14.37) 05.28 722 16
381663 사법시험 일부부활 [2] 사갤러(14.37) 05.28 459 12
381662 윤석열 내란세력 6월3일 성공하면 어떤일 벌어질까 [1] 사갤러(125.141) 05.27 247 1
381660 이재명 [1] 사갤러(59.22) 05.26 391 16
381658 드디어 사시가 부활하는구만 [2] ㅇㅇ(124.61) 05.26 525 13
381657 김문수 사시부활 언급한 적 있나 [2] ㅇㅇ(223.48) 05.25 457 12
381652 재매이 [1] ㅇㅇ(59.22) 05.22 444 19
381650 난 찢세상에서 반드시 탈출하고 만다. [3] 사갤러(223.38) 05.18 381 8
381649 사실 사시나 예시가 있고 없고는 중요하지 않다. 사갤러(223.38) 05.17 175 2
381648 요즘은 넘 바빠서 사시공부할 시간이 도저히 안나온다 ㅠ [6] 사갤러(218.49) 05.17 347 0
381647 좋다. 정치 얘기 말고 진정한 사시 얘기를 해 볼까? 사갤러(223.38) 05.16 157 0
381646 이재명 당선 시 홍준표 총리설 나온다 [1] 사갤러(61.41) 05.15 421 10
381645 이재명 올해 공약에 없다 [1] ㅇㅇ(118.235) 05.14 587 40
381640 난 대선은 무조건 김문수 찍는다. 사갤러(223.39) 05.11 444 33
381639 이준석 한덕수 등은 사시에 대해 어떤 입장임? [2] 사갤러(210.222) 05.10 377 15
381629 로스쿨가면 공짜로 변리사되잖아요. 공짜변리사 어떻게 구분하나요? [1] 사갤러(39.7) 05.04 406 4
381628 나는 찢이 진심으로 싫고 두렵다. 사갤러(223.38) 05.04 218 2
381627 예전에 사갤을 지배하던 양대축 118.235랑 불알녀는 사갤러(223.38) 05.03 159 3
사단법인 대한법학교수회 성명서(20250424) [1] 신사법시험(61.74) 04.28 1192 216
381617 모든 고민의 끝판왕은 결국 사랑문제인듯 사갤러(223.38) 04.28 195 0
381615 이루기 힘든 사랑은 고통이다. 사갤러(223.38) 04.28 178 0
381614 내가 요새 제2외국어 공부를 사시공부다 생각하고 공부중인데 사갤러(223.39) 04.27 198 0
381613 시험 중독은 시험의 과실에 포인트가 있는게 아님 사갤러(223.39) 04.27 195 0
381612 변협회장이 로변이 되면서 변호사집단 = 로스쿨집단 이 되버림 사갤러(39.7) 04.27 212 5
381611 진정한 사시생 느낌에 관한 개념을 바꿔버리고 싶다. 사갤러(223.38) 04.26 194 0
381610 사시공부하기 좋은 스터디카페 랭킹 사갤러(223.38) 04.26 188 0
381609 나들이 나와서 나무그늘에서 사시공부중임 사갤러(223.38) 04.26 166 0
381608 안녕하세요, 간만에 들린 사시생입니다. 사갤러(223.38) 04.25 227 0
381590 이번엔 뭐가 나와도 나오겠구만. 그러나 [9] 사갤러(112.155) 04.21 733 18
381589 십수년전 내가 사시말고 예시로 가야 한다고 그리 외쳤건만 [3] 예류(121.157) 04.21 456 2
381588 모르는 사람이 절 괴롭혀요. 살인마 같아요. 외국사람 같은데 절 괴롭혀요 [1] 동수(220.116) 04.18 410 0
381587 사시 부활 ㅋㅋㅋㅋ 사시부활 ㅋㅋㅋㅋ [180] 사시 부활 (211.50) 04.18 716 4
381584 헌법재판소 ㅈ이나 되라 사갤러(58.78) 04.15 240 9
381583 홍준표나 찍어야지 사갤러(58.78) 04.15 271 15
381582 제14회 변시 합격자수 1200명 이하 결정해야 사갤러(39.7) 04.14 250 8
381578 현 대한민국의 친중 정책은 망국의 지름길로 가는거야 사갤러(193.37) 04.10 226 7
381577 홍준표가 사형제 한다는데 사갤러(58.78) 04.09 196 7
381575 오동운 vs 롤란트 프라이슬러냐? 사갤러(121.133) 04.08 158 0
381574 난 이 나라가 많이 망가졌다고 생각함 사갤러(118.235) 04.07 217 5
381573 정권 교체 이후 사시 부활하면 언제 첫시험? (223.38) 04.06 389 35
381572 사시공부는 추억으로서만 의미가 있지 법조인에는 관심없다. 옛사시생의추억(223.39) 04.05 212 3
381570 사법부 ㅋㅋㅋㅋㅋㅋ 티붕이(116.37) 04.04 205 3
뉴스 ‘피디씨’ 헨리, “바이올린 배우기 싫어 부순 적도”…음악 천재로 거듭난 터닝 포인트는? 디시트렌드 07.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