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IT동아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IT동아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넷플릭스 신작 "트리거" 감상평 (약스포) ㅇㅇ
- 인생 망했다 울면서 쓰러져…尹 구속에 법원 난동 19세 男, 징역 5년 감돌
- [초대박] 최신 테슬라 주니퍼, “고속도로에서 멈춤” ㄷㄷㄷ 혁진이
- 망해가는 일본의 쿨재팬 사업, 손실액만 1조원 넘어섰다 카르디
- 트럼프, 한미관게 훌륭하다 정상회담 12일로 조율중 문석열
- 세르게이 브린, "(준)무한 컨텍 Gemini 모델 존재" ㅇㅇ
- 팬들이 진절머리 쳤었던 아육대 최악의 인기투표 ㅇㅇ
- 손흥민 이번여름 토트넘 떠나기로 결정 Devine
- 타코피 보는 만화 입니다 코로론바
- 손흥민, 토트넘 떠나기로 한 결정 인터뷰와 활약 ㅇㅇ
- 단독] 건진 법당에서 나온 김건희의 '예전' 폰… '판도라 상자' 열리나 헬마존잘
- 핸드폰 안 보여줬던 놈의 최후.JPG 징붕이
- 요즘 대학생 상태가 심각하다는 직장인들 Amsterdam
- 영국 항공전 당시의 빈부격차 Soul_traiN
- 우리가 아즈텍을 욕할 자격이 있을까 ㅇㅇ
톰크루즈, 일본 갔다가 인생 최대의 위기 맞아 당황... 대갓본의 위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너무 유창한 영어 실력에 원어민인 톰크루즈마저 당황해서 어버버버 하는 모습이 인상적임 쪽몬징과 일뽕들 기준에선 카이토가 잘못한 게 아니라, 모국어도 못알아 듣는 톰크루즈가 잘못한 일일듯 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참고로 저렇게 그래미 등에 기자 자격으로 참석해놓고 마치 초청 받은 것처럼 보도하는 꼼수는 토라비스 쟈빵의 대 대 대 선배인 아라시가 거의 시초급인데bts 그래미 참석 부럽다고 일본에서 아라시를 캐스터 자격으로 보내놓고 bts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고 언플해댄 전적이 있음 근데 의외로 그게 잘 먹혀서 후배 그룹들도 시시때때로 저러는 중 ㅋ 제이뽀뿌 구루뿌의 그로바루 진출 SUGOI~(笑)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원어민마저 영어 실력으로 찍어누르고 당황시키는 개쪽본 너무너무 자랑스럽다! 쪽본 성우들이 영어로 연기하는 작품 만들어서 수출하면 코미디 부분에서 전무후무한 성과를 거둘듯?
작성자 : 난징대파티고정닉
2차대전 이후 사라진 나라들.jpg
1.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Republic of Vietnam)1955~1975-1955년, 응오딘지엠이 프랑스의 괴뢰국이었던 베트남국을 무너뜨리고 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였다.-국토는 북위 17도 이남 지역에 해당하며명목상 자유주의 진영의 지원을 받았다.-그러나 정권은 심각한 부정부패에 시달렸고북베트남의 지속적인 침투와 공작으로 내부 불안정이 심화되었다.-결국 1975년, 베트남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북베트남에 흡수되었고 이로써 남베트남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2. 독일 민주 공화국 (동독, German Democratic Republic)1949~1990-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의 영향 아래 세워진 동독(독일 민주공화국)은 전형적인 위성국가로사회주의 체제를 채택하였다.-이 시기부터 사회주의 정권들이 ‘민주주의’라는 이름을 앞세우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함께 체제의 정당성을 상실하며 사실상 붕괴되었고1990년에는 서독(독일 연방공화국)에 흡수되는 형태로 통일이 이루어져 동독은 공식적으로 역사에서 사라졌다.3. 아랍 연합 공화국 (United Arab Republic)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통합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하고 유엔에도 단일 국가로 등록했다. 그러나 이집트 중심의 정치에 불만을 품은 시리아가 1961년 쿠데타로 탈퇴하면서 연합은 사실상 해체됐다. 그럼에도 이집트는 다른 아랍 국가의 추가 가입을 기대하며 명칭을 유지했으나 1971년 결국 이집트 아랍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하면서 연합은 완전히 소멸되었다. 이 연합 당시의 국기는 현재 시리아가 1980년부터 사용 중이다.4. 예멘 아랍 공화국 (북예멘, Yemen Arab Republic)1962~1990-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 건국 초기 내전에 시달림- 아랍 사회주의(현재의 시리아와 유사) 국가- 1990년 남예멘과 합의통일을 하여 '예멘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소멸함- 1994년 다시 남예멘과 내전을 벌였고, 내전에서 승리하여 무력 재통일을 함- 2013년 이후 다시 내전 상태에 빠짐5.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남예멘,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Yemen)1967년, 남예멘은 영국의 보호령이던 아덴 식민지로부터 독립하며 남예멘 인민공화국으로 출범했고이듬해 남예멘 민주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하였다. 국가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공식 이념으로 채택했으나이슬람을 국교로 지정하는 독특한 체제를 유지했다.1990년, 북예멘과의 합의에 따라 예멘 공화국으로 통일되며 독립국으로서의 남예멘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1994년, 남예멘 지역은 북예멘 주도의 중앙정부에 반발해 내전을 벌였으나 패배무력적으로 재통일당하였다. 이후에도 남예멘 지역에서는 분리독립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2013년 이후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6.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1922~1991-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로1917년 10월 혁명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였다.-적백내전 끝에 1922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이 공식 수립되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 자리 잡으며 강대국으로 부상했다.-1990년에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가 독립을 선언했고1991년 8월 이들 세 나라의 독립이 공식 승인되었다.이어 같은 해 12월, 소련은 해체되었고 나머지 12개 공화국(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이 각각 독립 국가로 전환되었다.-소련의 국제적 권리와 의무는 러시아 연방이 승계하게 되면서 소비에트 체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7.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 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 (Czechoslovak Socialist Republic -> Czech and Slovak Federative Republic)1948~1992-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체코슬로바키아가 탄생하였다.-그러나 1938년 뮌헨 협정에 따라 독일에 강제 병합되었고,1945년에는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면서 공산화가 이루어졌다.-1948년, 공식적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이후 1989년, 벨벳 혁명을 계기로 공산당 정권이 붕괴되었고,1990년에는 국호를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으로 변경하였다.-하지만 1992년, 국명 사용 문제를 비롯한 여러 정치적 갈등 끝에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분리 독립에 합의하게 된다.-1993년 1월 1일, 양국은 평화적으로 분리되었으며,당시 체코슬로바키아가 사용하던 국기는 현재 체코 공화국이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8.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 State Union of Serbia and Montenegro)1945~1992, 1992~2006-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남슬라브계 민족들이 연합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연방 왕국)을 수립하였다.-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티토(브로즈 요시프 티토)가 이끄는 공산군이 정권을 장악하며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출범하였다.-유고슬라비아는 공산국가였지만 소련의 위성국은 아니었으며, 비동맹 운동의 핵심 국가로 자주성을 유지했다.-그러나 1980년 티토 사망 이후 연방 내 민족주의가 급속히 확산되었고,-1991년에는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마케도니아가 독립,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발발했다.-1992년에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가 독립하였고남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구성했다.-1993년, 유고슬라비아는 UN 회원국 지위를 상실하였고,-1995년 데이턴 협정을 통해 내전이 종결되었다.-하지만 1998년 코소보 전쟁이 발발했고, 1999년 종전되었다.-2000년에는 신규 가입 형식으로 유엔 회원국 지위를 회복하였다.-이후 2003년 국호를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국가연합’으로 변경했고2006년 몬테네그로의 독립으로 연합국가가 공식 해체되었다.2008년에는 코소보가 독립을 선언했으나세르비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9. 잔지바르 인민 공화국 (People's Republic of Zanzibar)1963~1964-1963년, 잔지바르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독립국이 되었다.-그러나 이듬해인 1964년, 탕가니카 공화국과 통합하여 ‘탕가니카 잔지바르 연합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잔지바르는 독립국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같은 해, 국호를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으로 변경하면서 오늘날의 탄자니아가 형성되었다.결론얘네 사상을 채택한 나라는역사적으로 모조리 실패했다- dc official App
작성자 : 네거티장애고정닉
의외로 미국 브랜드가 아닌것들
트레이더 조 (미국 -> 독일) 미국 전역에 6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는 월마트, 타겟에 이어 미국 3대 식료품 체인이었지만 독일 거대 유통기업인 알디에 인수되어 현재는 독일 억만장자 가문인 알브레히트 산하에 있다. 세븐일레븐 (미국 -> 일본) 한국에서도 유명한 미국 최대 편의점 체인중 하나인데, 원래 사명은 세븐일레븐이 아니라 사우스랜드 아이스 컴퍼니였다. 오히려 세븐일레븐은 일본에서 개발된 브랜드인데, 1973년 일본 슈퍼마켓 브랜드였던 이토 요카도가 미국의 사우스랜드 아이스 컴퍼니와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여 탄생한 브랜드가 바로 세븐일레븐이다. 그 후 1991년 이토 요카도가 사우스랜드 아이스컴퍼니를 인수하였고 각각 두 일본과 미국 유통체인을 세븐일레븐 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였다. 럭키 스트라이크 (미국 -> 영국) 1871년 설립된 미국의 역사깊은 담배브랜드인 럭키 스트라이크는 1994년 영국의 거대 담배기업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에 인수되었다. 크라이슬러 (미국 -> 이탈리아) 미국의 저명한 자동차브랜드였고 20세기 중후반까지 세계 프리미엄 자동차시장에서 이름을 날렸지만 21세기 이후 유럽 자동차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뒤쳐졌고 결국 메르세데스 벤츠에 인수되었다. 그러나 메르세데스 벤츠는 크라이슬러를 통합하는데 실패했고 2006년 디터 체제가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크라이슬러를 다시 뱉어냈다. 결국 얼마안가 크라이슬러는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파산하여 역사속으로 사라지나싶었는데, 2010년 피아트가 크라이슬러의 지분을 인수하기시작했고 2014년 피아트 계열로 완전히 편입되었다. 그후 2021년, 피아트와 PSA가 합병하여 현재의 스텔란티스라는 거대기업이 탄생하게되었고 현재 크라이슬러는 스텔란티스 산하에 있다. 참고로 스텔란티스는 이탈리아 억만장자 아넬리 가문이 소유하는 투자기업 엑소르 산하에 있다. 지프 (미국 -> 이탈리아) 1987년 한참 잘나갔던 크라이슬러가 지프를 인수하였고, 앞서 상술했듯이 크라이슬러가 21세기들어 몰락하고 피아트에 인수되어 크라이슬러 산하에있던 지프 역시 피아트로 넘어가게되었다. 현재는 피아트 그룹의 후신인 스텔란티스 산하에 있다. 도브 (미국 -> 영국) 전세계적으로 매우 많이 팔려나가는 비누브랜드 도브이지만 영국 기업 유니레버에 인수되었다. 유니레버 자체가 원체 거대기업이다보니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품질과 광고를 집약한 결정체로 불리고있다. 현재 세계 150개 국가에서 판매되고있다. 밴앤제리스 (미국 -> 영국) 독창적인 맛으로 유명한 미국 대표 아이스크림 브랜드중 하나. 하겐다즈와 함께 미국 아이스크림의 제왕이라고 불리지만 2000년 유니레버에 인수되었다. IBM PC (미국 -> 중국) 미국의 다국적 기술기업이자 현재 시가총액이 350조원에 달하는 거대기업. 현재는 AI, 클라우드, 양자 및 슈퍼컴퓨터 등을 다루는 첨단기업이지만 역사적으로는 개인용 컴퓨터의 제왕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2005년 중국기업 레노버가 IBM의 PC사업부를 인수하게되면서 정작 현재의 IBM 컴퓨터는 중국산이다. 모토로라 (미국 -> 중국) 90년대부터 2000년대 중후반까지 노키아와 함께 세계 휴대폰 시장을 양분했던 모토로라지만 스마트폰 시대에 적응하지못해 빠르게 몰락했다. 결국 모토로라는 모토로라 모빌리티와 모토로라 솔루션이라는 두개의 회사로 분리되었는데, 휴대폰 및 전자제품 만드는 모토로라 모빌리티는 2014년 중국기업 레노버에 인수되었다. 그러나 통신장비를 만드는 모토로라 솔루션은 여전히 미국기업이다. 레이놀즈 아메리칸 (미국 -> 영국) 필립 모리스 다음으로 미국에서 두번째로 큰 거대 담배기업. 뉴포트부터 켄트, 카프리, 폴말 등 굵직한 브랜드들을 소유하고있었는데, 2017년 영국 담배기업 BAT에 무려 494억달러, 한국돈으로 60조원 가량에 인수되었다. 레이놀즈 아메리칸도 거대기업이었지만 그보다 더 큰 기업에 거액으로 인수된것. 그로인해 레이놀즈 아메리칸의 산하브랜드들도 모두 BAT으로 편입되었다. 버드와이저 (미국 -> 벨기에) 미국 맥주하면 가장 떠오르는 이름인 버드와이저지만 2008년 세계 최대 주류기업인 벨기에의 엔하이저부시 인베브에 인수되었다. 줄여서 AB인베브라고 부르는데, 참고로 이 기업은 한국의 카스맥주도 소유하고있다. 몬산토 (미국 -> 독일) 카길과 함께 유전자 변형작물(GMO)과 종자 시장의 30%이상을 차지하는 일명 농업판 구글이라고 불리지만 2018년 독일 제약회사인 바이엘에 무려 400억달러(한화 55조원)에 인수되었다. 티파니 (미국 -> 프랑스) 미국을 대표하는 명품 브랜드. 상업적으로 불가리를 뛰어넘는 명실상부 주얼리 브랜드이고 2019년 프랑스 명품그룹 LVMH에 150억달러(한화 19조원)에 인수되었다. 거대기업이 무조건 많아야 다른나라 기업들 쇼핑할수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