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의료시스템에서 빠져 있는 '여성'... 여성 건강 위해 나선 '펨테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1.31 17:58:40
조회 2671 추천 4 댓글 59
[IT동아 정연호 기자]

“많은 여성이 산부인과에 가는 걸 꺼린다.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만 산부인과에 간다고 생각하는 여성들도 있다”

뚝섬역 근처 카페에서 만난 펨테크 헬스케어 기업 모션랩스의 이우진 CEO는 이렇게 말했다. 여성(Femal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펨테크’의 필요성을 묻자 나온 답이다. ‘여성들이 병원에 가지 않는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지적됐던 문제다. 가령, 여성질환인 유방암의 경우엔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을 꺼리는 여성들이 있다. 유방을 꽉 눌러서 사진을 찍어야 하기 때문에 통증이 심해서 그렇다.


산부인과 이용에 대한 인식, 출처=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우진 CEO가 지적한 문제는 이와는 결이 조금 다르다. 산부인과에 가는 것 자체에 우리 사회에 ‘터부(taboo, 특정집단에서 어떤 말이나 행동을 금하거나 꺼리는 것)'가 있다는 뜻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4년 미혼여성(성인+청소년) 2022명에게 산부인과에 대한 인식을 물은 조사에서, 성인 여성 82.5%가 ‘산부인과는 일반병원에 비해 방문하기가 꺼려진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9년 전 자료지만 이우진 CEO 설명에 따르면 이후로도 산부인과에 대한 인식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조사 대상자들은 ‘산부인과는 비용이 많이 든다’, ‘산부인과를 이용하면 사생활에 대한 불편한 질문을 받게 된다’ 등을 산부인과를 꺼리는 이유로 꼽았다. 보고서는 “자신의 은밀한 신체 부위를 보여줘야 하는 진료 과정의 거부감도 부정적 의견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자궁경부암검사 등의 기본적인 여성 건강검진은 산부인과에서 가능하다. 병의 조기진단이 치료 예후에 결정적인 걸 고려하면 우리 사회의 ‘터부’가 여성을 위험으로 내몰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여성의 질병은 발견되지 않는다


의료계에 따르면,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는 단순한 ‘심리적 거부감’보다 더 복잡하게 얽혀 있다. 대표적인 문제는 의료시스템에서 ‘여성’이 과소대표된다는 것이다. 의학 전문가들은 약물 임상시험에서 여성 참여가 적어, 여성의 복용 용량과 이들이 복용 후 겪을 수 있는 부작용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특정 항암제가 여성에게 더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처럼 치료 결과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도 계속 발생하고 있다.

여성을 연구하지 않는 의료계 문화로 인해 의사가 여성 환자의 질병을 발견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의 저자 마야 뒤센베리는 “심장마비가 온 젊은 여성은 집으로 돌려보내질 확률이 남성에 비해 7배나 더 높다. 여성은 여성에게 흔한 질병이더라도 병을 진단받기까지 더 오래 기다린다. 때로는 이 기간이 수년을 넘어가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기자가 되기 전 미국 국립재생산건강연구소에서 일을 했던 마야 뒤센비리는 의료계의 성 편견이 질병을 어떻게 왜곡하며 환자의 치료를 방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의사와 연구자, 미국 여성을 인터뷰한 뒤 이 책을 집필했다.

시민건강연구소의 김새롬 연구원은 “같은 의사여도 의사의 젠더(성별)에 따라 여성의 치료 결과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고 말한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로라 우앙 교수 연구팀은 1991년부터 2010년 플로리다 58만여 명의 급성심근경색 응급실 환자를 분석했다.


파란선은 여성 의사, 빨간선은 남성을 의미한다. 가로축 0은 남자환자, 1은 여성환자를 뜻함. 남성의사의 경우 여성환자의 추정 생존 확률이 낮아지는 걸 알 수 있다, 출처=논문



분석 결과, 의사와 환자의 성별이 일치할 때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사망률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여성 의사에게 치료받은 환자는 남성 의사에게 치료받은 이들보다 사망률이 낮았고(이는 환자 성별과 무관한 결과다), 가장 사망률이 높았던 케이스는 남성 의사에게 치료받은 여성 환자였다. 이는 여성 의사에게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남성 의사에게 치료를 받을 때보다 사망 및 30일 이내에 재입원 확률이 낮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도 일치한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이에 대해 "여성 의사는 더욱더 예방적인 관리를 하고, 환자와 효율적으로 소통하며, 다른 팀원들과 더욱 협조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고 보도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의사 중 여성 비율은 25.5%다. 남성 의사가 여성 환자와 치료과정에서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의료계의 성비 불균형 문제가 여성의 치료에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펨테크, 여성이라는 공백을 메운다


펨테크의 핵심은 여성을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의료시스템이 있는 여성이라는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 빅데이터나 인공지능 등의 IT기술을 활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국내에선 다소 생소한 산업이지만, 미국과 유럽 일본을 포함한 선진국에선 관련 논의가 활발하다.


생리 주기 관리 앱 클루, 출처=클루홈페이지



대표적으로 생리 주기를 관리하는 ‘클루’ 앱이 있다. 사용자가 과거 월경 정보를 입력하면 향후 월경 주기나 배란일을 제시한다. 생리 중에 겪을 수 있는 몸 상태 변화나 스트레스 및 컨디션 변화에 따른 조언도 들을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190개국에서 1100만 명 정도가 이 앱을 사용한다. 국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앱이다.

클루앱의 제작사 바이오윙크에 따르면, 클루앱 이용자 중엔 앱을 통해 자궁외임신부터 초기 난소암을 발견한 사람들이 있다. 캐나다에 사는 50대 여성 수잔은 클루앱을 통해서 난소에 생긴 악성 혼합 뮬러리안 종양을 발견했다고 바이오윙크에 전했다. 생리 추적 기능으로 몸에 문제가 있다는 걸 알게 된 수잔은 초음파 검사와 MRI검사를 진행해 종양을 발견할 수 있었다.

수잔은 “클루 데이터를 보고 문제를 느껴 의사를 만났지만 처음엔 ‘별것 아니고 운동해서 살을 빼면 나아질 거다. 폐경은 모든 여성에게 일어나는 증상이다’라는 답을 들었다”고 했다. 하지만, 3달이 지난 후 클루 앱이 경고 알람을 보냈다. 수잔의 생리주기가 그 나이대 여성의 일반적인 패턴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 이를 본 수잔은 다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 병을 발견할 수 있었다.


뉴욕 비대면 진료 플랫폼 메이븐 클리닉, 출처=메이븐 클리닉 홈페이지



펨테크 최초로 유니콘(기업가치 1조 원 이상 스타트업)이 된 뉴욕의 메이븐 클리닉은 여성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출산, 임신, 육아, 소아청소년과 관련된 의료 서비스 및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메이븐 클리닉의 성장은 미국의 의료시스템과 관련이 깊다. 미국의 주 절반 정도가 산부인과가 하나도 없다. 여성, 유색인종, 이민자, LGBT는 기존 의료시스템에서 치료를 받기 어려웠지만, 메이븐 클리닉을 통해서 의료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에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지방 의료 인프라 부족 등을 고려하면 국내에서도 유사한 서비스의 효용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산부인과 비대면 진료 플랫폼 닥터벨라, 출처=닥터벨라 홈페이지



국내에선 닥터벨라가 메이븐 클리닉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닥터벨라가 제공하는 것은 산부인과 비대면 전화 진료. 산부인과 의사는 대부분 남성이기 때문에 여성이 자신의 신체 정보를 말하기 꺼린다. 닥터벨라는 이를 막기 위해 의사가 월경 주기 등의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했다.

여성들이 산부인과 진료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굴욕 의자’로 불리는 진료대이다. 다리를 벌리고 남성 의사에게 진료를 받을 때 굴욕감과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산부인과에서 검진을 받지 않은 여성이 많아 초기 진단이 어렵다는 게 의료계의 고민거리다.

닥터벨라를 운영하는 모션랩스 이우진 CEO는 “이용자 98%가 만족도를 보인다. 산부인과에 가서 굴욕의자를 쓰지 않고, 몸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되는 것에 이용자들이 편안함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엔 여성 건강 연구가 정말로 적다”면서 건강 데이터를 모아 여성건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물론, 비대면 서비스는 대면 진료처럼 정밀한 진단이 어렵다. 치료를 위해서 대면 진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다만, 생리주기를 추적하고 비대면 진료를 받으면서 이상 증상을 발견하면 여성들이 병원에 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전망이 나온다.

닥터벨라는 최근 여성을 위한 심리상담 서비스도 시작했다.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우울, 긴장, 불안, 난임과 임신출산에 대한 고민, 생리전증후군(PMS) 등의 문제도 상담받을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여성의 우울증과 불안장애는 남성보다 각각 2.1배, 1.6배 높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1년 상반기 우울증 분석 자료를 보면, 모든 연령대 중 25~29세 여성환자가 가장 많았다. 해당 조사에선 매번 60대 전후의 중년 및 노령 여성환자가 가장 많았는데 처음으로 젊은 여성이 최다 환자 수를 기록한 것. 의료 전문가들은 20대 여성들의 우울증 증가세가 가파르다고 말한다.

이들은 어떠한 이유로 우울감과 불안감을 느낄까? 생리로 인한 고통, 여성을 향한 사회적 통념과 차별, 남성과의 임금격차, 여성 범죄 등 다양한 원인이 복잡하게 작용한다. 코로나19 이후 20대 여성 4명 중 1명이 퇴직을 경험했다는 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결국, 여성들의 불안과 우울을 다루려면 전문적인 상담기법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하지만, 국내에선 여성 전문 상담소가 적어 관련 상담을 받기가 어렵다. 닥터벨라는 전화로 가족상담, 부부상담, 성폭력상담 등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전문가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신상을 드러내기 어려워하기 때문에 그 과정은 익명으로 진행된다.


여성 성 지식 플랫폼 자기만의 방, 출처=아루



펨테크 기업 ‘아루’는 음지화된 성 관련 사실을 공유할 수 있는 여성 성 지식 플랫폼 ‘자기만의 방’을 개발했다. 자기만의 방은 여성만 가입할 수 있도록 제한이 걸려 있어 부담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이외에도 아루는 여성의 성과 관련된 전문적인 콘텐츠를 유료 구독으로 제공하고 있다. 성과 관련된 지식을 잘 모르는 여성이 많기 때문에 시작한 서비스라고 한다. 여성의 성과 관련된 사실은 터부시됐고, 여성들은 이에 대해 말하기 어려운 분위기 속에서 자란다. 펨테크 업계 관계자들은 “자신의 몸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가진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고 전한다.

정보를 찾으려고 포털에 검색해도 음란물이나 성인용품 광고만 떠서 정확한 정보를 찾기도 어렵다. 콘돔 같은 경우엔 포털 사이트에서 미성년자는 검색도 제한된다. 청소년의 성관계 연령을 낮아지는데 미성년자가 콘돔을 접하지 못하고, 피임법을 배우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루는 성과 관련된 전문 콘텐츠를 제공하기로 한 것.

모션랩스 이우진 CEO는 “‘여성을 위한 서비스’인 척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기업이 등장할 수 있다. 진정한 펨테크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심층적인 사용자 인터뷰를 꾸준히 진행해 여성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게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주간투자동향] 한화, UAM 기술 기업 오버에어에 1,500억 원 규모 투자▶ "다정함은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AI챗봇은 코로나 블루를 치유할 수 있을까?▶ [주간투자동향] 카카오모빌리티, 1,40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 유치



추천 비추천

4

고정닉 0

8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426 50평 규모 식당, 서빙로봇 4대와 홀 직원 1명으로도 '거뜬'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8 367 1
2425 [스타트업 리뷰] 웹 장애를 자동으로 확인한다, 인포플라 웹 장애 모니터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8 100 0
2424 [스케일업] 성과점검 [2] 엘핀, 이노디테크, 제이디솔루션, 케이파워, 펫나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8 81 0
2423 [스케일업] 성과점검 [1] 누비랩, 레다게임즈, 본투비, 부지런컴퍼니, 세븐미어캣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8 85 0
2422 中 스마트폰 MWC 딛고 세계로, 가격·보안 개선 과제 [3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8 3612 6
2421 다이슨 슈퍼소닉 드라이어의 새 노즐, '플라이어웨이 스무더' 써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8 137 0
2420 [리뷰] 3D-V캐시로 끌어올린 게임 성능, AMD 라이젠 9 7950X3D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2177 0
2419 [리뷰] 특별한 NAS와 스토리지의 만남, 큐냅 HS-264와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HDD/SS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113 0
2418 "사수 없어도 걱정말아요"...랜선사수 퍼블리 체험해보니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1849 1
2417 [스케일업] 케이파워 [3] “케이파워의 본질은 연료 사업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93 0
2416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완. 연재를 마치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90 0
2415 [주간투자동향] 마인이스, 41.5억 원 규모의 시드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685 0
2414 [스케일업] 제이디솔루션 [3] 알파브라더스 “도약의 조건, 대표·중간 리더 역량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93 0
2413 [뉴스줌인] LG CNS-어도비 협력 강화, 그 이유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4 150 0
2412 [스타트업-ing] 인포플라 최인묵 대표 “쉽게 쓰는 RPA로 우리 삶을 편하게 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4 110 0
2411 [리뷰] 깔끔한 디자인에 손쉬운 조립, 카멜마운트 고든 GDA3 모니터암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4 3346 1
2410 [농업이 IT(잇)다] 일루베이션 “3D 돼지 무게 측정, 축산가에 새 가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4 137 0
2409 [시드팁스] 인슈딜, '양도 가능한 연금 보험, 해약보다 중개 플랫폼이 이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4 107 0
2408 [스케일업] 펫나우 [3] 해외 기업과 만들 ‘혁신 반려동물 등록 서비스’ 모습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4 916 0
2407 갤S23 패키지, 무라벨 페트병… 소비자 ‘공감’ 가능한 친환경 포장재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3 290 0
2406 "보고 싶지 않은데 자꾸 떠요"... 음란물에 노출되는 아이들, 어떻게 막아야 하나? [9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3 7221 7
2405 사진영상 전시회 CP+ 2023 개막, 주목할 광학 기기는?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3 1596 4
2404 퇴출 거론되는 美 가스레인지, 국내 실정과 큰 관련 없어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3 2476 14
2403 [IT신상공개] 낙하 위험 없는 운동용 이어폰, 소니 플로트 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3 186 0
2402 "실례지만 누구세요?"... 진화하는 카카오톡 메신저피싱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3288 0
2401 [시드팁스] 퓨쳐리즘랩스 이범근 대표, “가상자산도 또 하나의 투자 상품일 수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23 0
2400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8.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세 번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02 0
2399 굿파머스그룹·씨앗 “농부 지식자산을 인공지능 농업 토대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05 0
2398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4. STO(증권형 토큰 발행)의 새로운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06 0
2397 [마인드테크 시대가 온다] 1. 마인드테크가 뜨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122 0
2396 [IT애정남] 지금 13세대 코어 PC 사려면 DDR4? DDR5? 어떤 메모리 선택?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1591 0
2395 피싱과 금융사고에 취약한 인뱅...안전망 구축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1132 0
2394 한 주 앞으로 다가온 MWC 2023, 주요 참가 기업과 의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174 0
2393 [뉴스줌인] NFT 아트 전시회에서 먼저 만나는 LG전자 최신 TV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739 0
2392 LG유플러스의 '무료 유심교체'..해킹 피해 줄일 수 있을까?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1695 2
2391 [메타버스에 올라타자] 2. 메타버스에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135 0
2390 인공지능, 검색광고 대행에 콘텐츠도 만들어주는 시대 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119 0
2389 이중 인증 유료화 나선 트위터, 나비 효과 불러오나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4473 7
2388 [주간투자동향] 모요, 30억 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558 0
2387 [농업이 IT(잇)다] 고기365 “날 것 그대로 보여주는 ‘리얼뷰’ 온라인 쇼핑 경험 제공”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213 0
2386 [농업이 IT(잇)다] 고기365 “날 것 그대로 보여주는 ‘리얼뷰’ 온라인 쇼핑 경험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131 0
2385 [스타트업리뷰] 24시간 인공지능 관리, 보라웨어 검색광고 AI 써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3767 1
2384 카뱅과 토스, 소비자 울리는 피싱범죄 어떻게 대응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142 0
2383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3] “현장 영업은 사람과의 만남으로부터 시작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137 0
2382 디지포레 박성훈 대표, “산업 현장이 원하는 메타버스를 개발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7 774 1
2381 애니온넷 “IoT에 특화된 SI 기업? 바로 여기에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155 0
2380 [스타트업 리뷰] IT운영전문가 시선에서 본 인포플라의 ‘IT장비 비밀번호 자동변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121 0
2379 [디지털 취약 극복]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장애인·고령자 위한 키오스크 표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873 0
2378 [IT신상공개] HEDT 시장 재편 노린다, 인텔 제온 W-3400·2400 시리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107 0
2377 이렇게 많아? MSI, 형형색색 차세대 게이밍 노트북 제품군 대거 선보여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6220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