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아이린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아이린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현재 전세계에서 최고 천재라고 불리는 사람 정체 ㅇㅇ
- 이거 채은성 김현수한테 한 소리 듣는거냐? ㅋㅋㅋㅋ ㅇㅇ
- 피방에서 코인하면 생기는일 귀여워서미안해
- 싱글벙글 박보검 패션 근황 ㅇㅇ
- 오타니 개막전 6이닝 10K 무실점 + 안타... 팀은 패배.gif 유동이미래다
- 국제전 캐리하던 한화이글스를 버린 좆크보 근황....jpg 건전맨
- 외국에서 생각하는 한국인특 ㅇㅇ
- 싱글벙글 지역 축제가 열려도 안가는 이유 ㅇㅇ
- 싱글벙글 세계최초 원작을 너무 잘 구현해서 욕처먹고있는 게임 아지태
- 약스압) 올해 급식 53키로 감량 전후 ㅇㅇ
- (스압) 3월 마스터즈 후기만화 1화 SALLAR
- 디즈니 실사 인어공주 토이...모음....jpg ㅇㅇ
- 싱글벙글 직장인 중에 대학생 찾기 ㅇㅇ
- 지금 보배드림 유저들 실시간으로 불타고 있는 사건 ㅋㅋㅋㅋ ㅁㅁ
- MZ세대 사이에서 가장 핫하다는 그림 작가 ㅋㅋ
전세계의 여성징병제에 대해 알아보자
군대는 국민의 주권, 국익, 안보를 위하여 존재하는 국가 공인의 무장조직. 군대는 최소한의 국가 안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대한민국은 세계 유일 분단 국가로 징병제이다. 한국 군대와 다른 모습의 외국 군대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진의 파란색(선택적 징병), 빨간색(징병)으로 칠해진 국가는 남녀 모두 징병된다. 남수단 공화국: 12~24개월. 18~33세의 남녀 모두 징병된다. 징모 혼합제이다 모잠비크: 2년. 선택적 징병제. 18~35세 대상. 18세 이상 모든 남녀는 병적에 등록해야 한다. 베냉: 남녀 모두 18개월. 전신인 다호메이 왕국이 예로부터 여성으로만 이루어진 전투 부대로 유명했던 전통이 있다. 볼리비아: 18~49세를 대상으로 1년간 남녀 모두 징병. 시민권 필요. 자원입대는 17세부터 가능. 에리트레아: 16개월. 남녀 모두 징병. 18~40세 대상. 이스라엘: 남성 32개월, 여성은 비 전투병인 경우 24개월, 전투병인 경우에는 남성과 동일한 기간. 전역 후 예비군으로는 각각 남성은 41~51세, 여성은 24세 (전투병인 경우 38세)까지 복무해야 한다 차드: 남성 3년, 여성 1년. 단 여성은 선택적 징병제로서 향토방위에도 종사할 수 있다. 코트디부아르: 15~29세의 남녀 모두 징병. 쿠바: 2년. 남녀 모두 징병. 2010년대 중후반 여성 징병제를 논의한 나라들은 다음과 같다 북한: 2015년 북한도 대한민국처럼 저출산을 겪으면서 남성 복무 기간을 기존의 11년에서 13년으로 더 늘리려다 반발과 부작용으로 결국 2015년부터 여군들을 7년 징병하기 시작했다. 사실 전역은 당의 명령에 의해 좌우되어, 언제 전역될지 모른다. 남성의 복무기간도 8~13년, 여성의 복무기간도 5~7년으로 오락가락 2021년 COVID-19로 인한 경제 악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군복무기간을 감축했다는 기사가 있다. 기존에도 여성들을 '강제 자원 입대'시키긴 했으나, 고등중학교를 졸업한 만 17~18세 모두로 확대된 것. 전역 후에도 재수가 안 좋으면 '무리배치' 라고해서 탄광이나 건설에 동원되고, 애초에 군내 가혹행위, 급양 문제 등으로 남녀 모두 꺼리기 때문에, 뇌물을 통한 병역 기피도 만연해 있다. 하지만 남녀가 뒤섞인 부대는 없다. 여성은 주로 방공, 의무, 통신 분야에 집중된다고 하는데, 이는 바뀔 전망이 있다. 그리고 기쁨조 역시 군인, 그것도 위관급 장교 신분이다. 노르웨이: 2016년 7월부터 여성 징병제를 시작했다. 사실 노르웨이는 1920년대부터 양심적 병역거부가 인정되었고 병역 거부권이 세계에서 가장 잘 인정되고 있는 나라 중 하나다. 노르웨이의 징병제는 매우 탄력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복무를 안해도 괜찮고, 복무 중에 그만 둘 수도 있고, 현역 복무를 하지 않고 예비군 형식으로 분할해서 복무가 가능한 나라이기도 하다. 노르웨이의 여성징병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얻기 위한" 방편으로 여성들도 징병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자는 페미니스트들의 의견이 받아들여진 결과다. 쉽게 말해, 노르웨이는 애초부터 징병영장이 일종의 초대장 정도의 의미밖에 없는 나라다. (한국인이 이런 얘기를 들으면 군대를 누가가냐고 하겠지만 노르웨이는 병사를 위한 복리후생이 잘 마련되어있어 자원입대자가 많은 편이다) 미국 : 2016년에 2018년부터 18살이 되는 여성도 징병대상자 등록을 의무화하는 국방예산법안 수정안이 상원을 통과한다. 미군도 모병제로 운영되지만, 18-26세 남성은 비상시 징병제 재가동에 대비해 등록을 의무화하고 있다. 등록은 강제가 아닌 선택이지만, 미등록자에겐 연방정부 학자금 보조가 없는 등 불이익이 있었다. 하지만 2017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싸인을 거부하여, 최종 입법안에선 여성등록의무 조항은 빠지게 된다. 2019년 텍사스 주 대법원이 남성연대의 소송의 손을 들어주고 '양 성 다 등록하든지, 다 등록하지 않든지'라며 여성은 등록하지 않는 것을 위헌으로 판단한다. 프랑스: 2017년 파격적으로 당선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공약 중 하나였던 단기징병제를 시행하겠다 밝힌 바 있다. 해당 정책은 어찌됐든 징병 시에는 양성 공동 징병이란 접근에는 취지가 같다. 2019년 6월부터, 15일의 합숙, 15일의 공공기관 자원봉사의 형태로 시범도입되었고, 2026년, 전국시행을 목표로 한다고 한다. 네덜란드: 2018년부터 17세가 되는 여성부터 남성과 마찬가지로 징집될 수 있는 대상에 포함되는것으로 개정됐다 (물론 엄연한 모병제 국가이다) 스웨덴: 2018년 러시아 잠수함의 영해 침범 등의 위기감 고조에, 사민당 정권의 추진으로 선별식 징모 혼합제로 부활한다. 다만, 스웨덴의 역시 노르웨이와 유사하게 징병의 강제성이 약한 편이다. 과거 2010년 중도우파 정권이 모병제를 도입했지만 지원병이 크게 미달한다. 이에 2014년 징병제 부활과 여성징병 가능성을 재검토하고 이처럼 징모혼합의 형태가 된 것. 대만: 2019년, 징병제를 폐지하고 모병제를 도입하되, 6개월의 양성징병을 도입한다. 2개월의 기초군사훈련, 4개월의 자대 배치를 하게 된다. 이 6개월에 해당하는 이들은 '훈련병' 계급이며 이병-일병-상병-병장은 '모병'의 영역의 계급이다. 마치 한국이 병사=징병, 부사관or장교=모병의 계급이듯. 하지만 중국의 압박이 거세지자 징병제의 부활을 요구하는 국민 여론이 과반이다. 양성 모두 2년 가자고. 독일: 9개월 복무, 월급 30만원, 가산점 및 가족 생계비 외 다양한 혜택을 주는 독일은 1999년, 알렉산더 도리(20)가 국가 기관에 여성도 징병을 해야한다는 소송을 낸적이 있다. 2000년, 유럽 최고의 기관인 '유럽 사법재판'까지 올라가게 됐으나, 유럽 사법 재판소도 잠시 판단을 보류 했다. 독일 야당에서도 여성에게 병역 의무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안했고 점점 많은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고 있으며, 병역 의무에 있어서도 여성을 배제할 이유가 없다고 독일 야당에서 전했다. (앞으로 징병제를 실시한다면 여성징병제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음) 독일에서는 2001년에서부터 여성이 전투병으로 입대하기 시작해 현재 육.해.공군에 약 2만명이 복무하고 있다. 스위스: 스위스에선 의무병제도가 군대로부터 여성을 배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 여성을 차별하는 기본적인 제도라고 비판하며, 스위스 여성단체에서도 여성들도 군대를 보내달라며 시위를 한적이 있다.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2004년부터 지원병제도에서 남녀공동 병역의무제로 전환하였다. 남녀 모두 18세가 되면 6개월간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해야했다. 하지만 남성은 강제로 징집병으로, 여성은 직업군인으로 같은 계급 상 엄청난 급여 차가 존재하였고 여성들의 징병 반대로 2010년부터 징병제가 폐지되었다. 한국 역시도 서서히 줄어들고 있는 출산율을 대비해 미리 여성징병제에 대해 논의해보는 것은 어떨까? 실제로 국민의 50퍼는 여성징병제에 동의한다. 그저 재밌는 이슈가 아니라 여성차별주의자들의 목소리를 막기에도, 또 여성의 인권 향상에도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이기에 여성징병제가 이루어지는 그날을 기다리고 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군수서울대고정닉
씹스압, 노잼) 달 착륙 후 지구로 오는 방법
https://m.dcinside.com/board/dcbest/126126 싱글벙글 세계 10대 음모론 -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911 음모론미국 정부가 911테러 관련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도 묵인했다는 주장심지어 테러의 배후가 알카에다가 아닌 미국 정부라는 의혹까지 있다이는 911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를 침공하는m.dcinside.com가끔 달 착륙이 실베에 갈 때마다 저지능 지구평평이들이 몰려와 음모론을 펼치는 걸 볼 수 있다생각만 해도 뒷목이 당기지만, 개중에는 합리적인 의견 제기도 있다1960년대 기술력으로 달에 착륙했다가, 그 착륙선으로 달의 궤도를 탈출해 지구까지 온 후에안전하게 지구 대기권을 뜷고 돌아올 수 있냐는 것이다현실에서도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아폴로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새턴 V 로켓의 구조를 보자최상단부를 보면 모듈 3개가 있다얘가 Command Module(CM, 사령선)이다로켓이 발사될 때 우주비행사 3명이 여기에 타고 있다얘는 사령선 아래의 Service Module(SM, 기계선)이다생명유지장치와 엔진이 있다대부분의 단계에서 CM(사령선)과 SM(기계선)이 붙어있으므로이걸 CSM(사령 및 기계선)이라고 한다CSM 아래에는 Lunar Module(LM, 달 착륙선)이 있다발사 시에 CSM은 외부로 노출되어있지만 LM은 안전하게 보호된다3단 로켓의 추진이 끝나고 달에 가는 궤도(trans-lunar injection)에 오르면미리 설치된 폭약을 터뜨려 LM을 보호하던 패널을 분리하고CSM을 180도 회전시켜 LM에 도킹한다이 CSM+LM 비행체는 달로 날아가 궤도를 돌다가착륙 지점과의 위치와 속도가 적절해지면 2명이 LM에 옮겨탄다이후 도킹을 해제해 LM은 달에 착륙하고CSM에 남은 한 명은 달에 착륙하지 않고 궤도에서 대기한다CSM에서 찍은, 달에 착륙 중인 LM착륙 후 LM에 탄 사람들이 내려서 표면 미션을 수행한다최초 착륙인 아폴로 11호 때는 착륙에 의미를 두는 수준이었지만4번째인 아폴로 15호부터는 월면차까지 가져가 본격적으로 지질 조사, 실험 등을 수행했다표면 미션을 완료한 사람들은 다시 LM에 타서무거운 받침대를 남겨두고 상승한다여기서 착륙선인 LM은 달의 궤도를 탈출할 필요가 없다궤도를 돌고 있는 CSM까지만 가면 되니까LM이 CSM과 도킹하면 전부 CSM으로 옮겨탄 후, LM은 분리해서 버리고달 궤도 탈출은 CSM으로 하게 된다짤은 아폴로 11호 때 상승하여 다가오는 LM을 CSM에서 찍은 사진이다이 사진을 찍은 마이클 콜린스 빼고 모든 인류가 담긴 사진으로도 유명한데 암튼CSM이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는 SM도 분리하고 CM만 남는다그리고 지구로 복귀이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는 2개였다하나는 호감고닉마냥 도킹을 존나 해야 하는데우주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갖다붙이는 랑데부/도킹은 어려운 기술이라는 거그래서 도킹 기술 확보를 위한 제미니 계획도 같이 실행했다다른 하나는 "인간"의 달 착륙을 위해서는CSM, LM, 인간 3명, 3명의 식량과 산소 발생기, 이산화탄소 제거기 등등쏘아올려야 할 무게가 늘어났다는 것천조국 양키센스로 걍 존나 세고 큰 로켓 만들어서 해결했다당시 사용한 새턴 V가 어느 정도였냐면2020년 개발된 누리호의 1단용 엔진이 진공추력 75톤이고4개 묶어서 총 300톤 나오는데1960년대 개발된 새턴 V는 1단용 엔진 하나가 진공추력 790톤 뽑고이걸 또 5개 묶었다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항공우주 분야에서, 1960년대부터 작년까지반 세기 넘게 로켓 추력 1위를 유지했다참고로 부품이 아직 남아있어 3d 스캔 후 시뮬레이션도 돌려봤고달 착륙뿐만 아니라 우주정거장도 올리면서 성능을 증명했으니 조작 어쩌구는 불가능하다유튜브 이 새끼 때문에..."지구에서 달까지 38만km를 어케 감?" ㅇㅈㄹ하는 잼민이들이 넘쳐나는데위에서 말했듯이 무게를 궤도에 올리는 게 문제지, 그 이후의 거리는 상관없다지구에서 달까지는 40만km도 안 되지만지구에서 제일 가까울 때가 4000만km인 금성에도달 착륙 훨씬 전부터 미국 소련 둘 다 탐사선 잘만 보냈음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