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계 최고 수준 미사일연구소로!” 국방과학연구소의 대변신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5.13 14:26:02
조회 2079 추천 6 댓글 13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한 KTSSM(한국형전술지대지미사일)이 표적에 ‘홀인원’하듯 정확히 명중하는 모습. 세계 탄도미사일 개발사에서 보기 드문 사례로 꼽힌다.photo 국방과학연구소


2017년 6월 23일 문재인 대통령이 충남 태안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을 방문한 가운데 첫 사거리 800㎞ 국산 현무-2 탄도미사일(현무-2C) 시험발사가 이뤄졌다. 현무-2C 미사일은 바다 한가운데 목표지점에 정확히 떨어졌고 이를 지켜보던 이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문 대통령은 현무-2C 개발에 고생한 연구소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의 격려 중 미사일 개발 실무책임자인 박종승 제1기술연구본부장(1본부장)이 눈물을 훔치며 감격에 겨워하는 모습이 사진에 찍혀 화제가 됐다.


베테랑 미사일 전문가가 신임 소장으로

현무-2C는 이명박 정부 시절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에 따라 탄도미사일 사거리가 800㎞로 늘어나면서 개발돼 이날 시험에 성공한 것이었다. 사거리 800㎞는 남해안에서 북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수준이다.

국산 무기 개발의 총본산으로 불리는 ADD는 지난해 말 이후 신임 소장 임명을 놓고 상당한 내홍을 겪다가 지난 4월 22일 신임 소장이 공식 발표됐다. 신임 소장은 약 4년 전 현무-2C 성공에 감격의 눈물을 흘렸던 박종승 전 1본부장이다. 박 신임 소장은 현무 탄도미사일 개발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미사일 전문가다. KAIST 석·박사 출신으로 ADD에서 대지유도무기 체계실장, 대지유도무기 체계단장 등을 거쳐 지난 2월부터 부소장을 지냈다. 전임 남세규 소장도 현무 미사일 개발을 맡았던 미사일 전문가였다.

군 주변에선 박 소장의 임명에 대해 단순히 내부인사 발탁을 떠나 국내외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ADD의 ‘대변신’과 관련 있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박 소장 임명에 앞서 ADD는 지난 4월 1일 제102차 정기이사회를 열고 한반도 안보환경 변화 및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첨단 국방과학기술 선도를 위한 혁신방안을 결정했다.

ADD는 간략한 보도자료를 통해 “기존 무기체계 중심의 기술연구본부 조직을 국방첨단과학연구원 및 기술센터 체제로 재편키로 했다”며 “미래 도전 국방기술 등 소요창출형 첨단 국방과학기술 연구에 역량을 집중해 국방연구개발의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사회는 대외 안보환경 등을 고려해 기존의 여러 기술 연구본부 조직에 산재되어 있던 유도무기 연구개발 부서를 통합·개편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더 이상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방위사업청(방사청)과 ADD 등에 따르면 ADD는 비닉(비밀) 무기체계와 첨단 국방과학기술 등 크게 2개 분야 중심으로 조직과 역할이 바뀐다. 우선 ADD는 지난 4월 1본부 등 3개 본부에 나뉘어 있던 미사일 연구개발 조직을 통합·강화해 미사일연구원을 신설했다. 그동안 각종 미사일들을 역할·특성에 따라 3개 본부에서 나눠 개발했지만 이제는 미사일연구원이라는 단일 조직 아래 개발된다고 한다.

여기엔 전술핵 개발 등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에 대응할 수 있는 우리 수단은 기본적으로 비핵무기일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한계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졌다. 강력한 위력(고위력)을 갖는 정밀타격 미사일 등 각종 미사일이 유사시 북한과 김정은의 핵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 단 한 발로 평양 금수산태양궁전 등을 파괴할 수 있는 세계 최대 중량 탄두 ‘괴물 미사일’ 현무-4가 대표적인 대북 미사일 옵션으로 꼽힌다. 군 소식통은 “한국형미사일방어(KAMD)체계 강화와 전략목표 타격능력 고도화를 통해 북한 핵·WMD(대량살상무기) 대응을 위해 미사일연구원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2017년 6월 사거리 800㎞ 현무-2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한 뒤 미사일 개발 책임자인 박종승 1본부장이 문재인 대통령 앞에서 감격에 겨워하고 있다. 박 본부장은 지난 4월 국방과학연구소장으로 발탁됐다.photo 청와대 사진기자단


본부 체제에서 기술센터 체제로 탈바꿈

ADD의 미사일 중심 변신은 박 소장 외에 미사일 관련 고에너지 전문가가 첫 여성 부소장에 발탁된 데에도 나타난다는 평가다. ADD는 지난 4월 말 정진경 ADD 제4기술연구본부 2부장을 부소장에 임명했다. ADD 2인자인 부소장 여성 임명은 1970년 ADD가 창설된 이래 51년 만에 처음이다. 정 신임 부소장은 1995년 ADD에 입사한 뒤 고에너지기술 연구·개발 외길을 걸어온 국내 최고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미사일연구원에 이은 2차 조직개편으로 올 하반기 기존 무기체계 개발중심 조직이 첨단 국방과학기술 분야별 기술센터 체제로 재편된다. 급변하는 기술발전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본부 단위의 계층적 구조(본부-부-팀)에서 수평적 구조(센터-팀)로 재편하고, 기술센터의 자율·독립성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2단계 개편을 통해 ADD는 기존 7본부 중심 체제에서 미사일연구원, 국방첨단과학연구원, 6개 기술센터로 탈바꿈한다. 또 기존 지상·해양·항공기술 연구원은 현재 진행 중인 사업구조를 고려해 한시적으로 조직을 유지하되, 무인자율 무기, 극초음속 무기, 레이저 무기 등의 분야에 대해선 단계적으로 기술센터화가 이뤄질 예정이다.

ADD는 창설 이래 20여차례의 조직개편이 있었지만 이번 개편은 2000년 이후 20여년 만에 최대 규모다. 여기엔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국방 선진국들의 첨단 기술을 빠르게 쫓아가는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의 길을 걸어온 것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절박감이 반영돼 있다. 첨단 국방과학기술 연구에 역량을 집중해 국방연구개발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로 변신하겠다는 것이다.

방사청과 ADD는 향후 국방연구개발에 있어 미국과 이스라엘 모델을 벤치마킹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 DARPA(국방부 고등연구계획국)는 과제의 단계별 연구성과 검토를 통해 다음 단계로 지속 추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Go/No-Go’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구목표 성공률은 15% 정도로 비교적 높은 편이라고 한다. 이스라엘 산업무역노동부 산하 수석과학실(OCS) 주관 MGNET 프로그램의 경우 연구목표 성공률은 40~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DD 관계자는 “앞으로 창의적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성공/실패 개념을 탈피한 Go/No-Go 개념의 단계전환 평가 방식과 개발 노하우 축적·확산 중심의 과제 종결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앞으로 비닉 및 첨단 핵심기술 무기체계를 제외한 일반 무기체계 개발은 업체 주관을 원칙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방사청은 강조했다. 올해 착수할 ADD 주관 과제 29개 중 19개를 산학연 주관으로 변경하는 등 ADD는 핵심기술 연구개발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한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방전문위원회 위원장인 KAIST 방효충 교수는 이 같은 ADD 혁신방안에 대해 “ADD가 비닉 및 첨단 국방과학기술 선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쌓아온 ADD의 국방기술력에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민간의 우수 첨단 과학기술을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해야 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http://bemil.chosun.com/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0

1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98 가장 진보한 전투기 전자 광학 추적 시스템 F-35 전투기의 EOTS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2 604 3
297 AR과 네비게이션 기능까지 탑재된 첨단 야간투시경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1 2421 8
296 '궤도 이탈' 굴욕은 잊어다오.. 일본 최신형 전차의 '백발백중'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31 1019 6
295 전 세계가 놀란 최강의 수소폭탄 '차르 봄바'의 위력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8 4496 35
294 미국을 충격에 빠트린 F-117A 스텔스기 격추 사건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7 3294 19
293 소련 전투기의 충격적인 한국 민간 여객기 공격 사건들 [1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6 1631 13
292 ‘교도소보다 못하다’는 군 부실급식 5대 해법 (1) [7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5 3655 5
291 일본까지 달려온 프랑스 상륙함, 중국 앞에서 연합훈련 [10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3121 42
290 “순위 밀렸던 ‘아파치’를 왜 지금?” 모두 “내 것부터” 자군 이기주의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1 3017 9
289 중고 탱크에서 28억 원 상당의 금괴 발견한 영국 밀덕 [6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0 4715 35
288 <밀리터리 시크릿> 북한 신형 방사포 위협과 아이언 돔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8 1794 15
287 중국군에 맞설 인도 경전차 사업...국산 K21-105가 도전장 [2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7 2348 6
286 단 두 대만 생산된 비운의 마하 3 슈퍼 폭격기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4 2492 7
“세계 최고 수준 미사일연구소로!” 국방과학연구소의 대변신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3 2079 6
284 천연고무로 러시아 최신예 전투기를 샀다고?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2311 13
283 차기 이지스함 요격미사일, SM-3 대신 SM-6 도입 적극 검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1622 11
282 공군 KF-16의 폭탄 투하시험, 미국까지 가서 한 이유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2729 6
281 사우나, 수영장 등 호텔 부럽지 않은 러시아 핵잠수함 내부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4105 14
280 최고 존엄 앞에선 모두가 명배우 [3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6 3478 55
279 <밀리터리 시크릿> 인니 잠수함 침몰의 비극, 우리 잠수함은?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4 1455 8
278 발사 직후 바다에 풍덩… 러시아 최신형 미사일의 ‘굴욕’ [2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3 2419 13
277 러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실전에서 요격한 이스라엘 미사일 '바락 ER'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30 2199 14
276 공군 최정예 특수부대인 항공구조사의 실전적인 훈련 [1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9 2873 25
275 英 항모 전단, 中견제 위해 아시아로… 부산도 온다 [5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8 2362 50
274 여성징병제 실제로 도입될 수 있을까? [14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7 5187 38
273 美 해병대 레이저 공격에 드론이 불타다 빠지직… [2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6 2678 13
272 왜 미군은 군복 성조기를 거꾸로 달까? [4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3 6494 14
271 꺼꾸로 매달려서 사격하는 러시아 특수부대 [1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2 2784 9
270 개발에 48조 원 든 최신예 美 항공모함에 소변기가 없는 이유 [6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1 4972 8
269 <단독> 공군 F-15K 성능개량에 4조원이나 든다고? [46/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0 2462 11
268 색깔별 다른 항공모함 갑판 요원들의 임무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9 2083 14
267 건빵이 군대 전투식량이 된 이유 [18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6 4040 27
266 천조국 미국만이 보여줄 수 있는 공중지원기의 최대 순간 출격 훈련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2033 12
265 중동의 왕세자가 보고 반한 대한민국 특전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4 1043 4
264 94세 전직 공군총장까지 참석한 KF-21 출고식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3 2559 16
263 한국엔 못오는 美 랩터, 日 스텔스기와 첫 연합 훈련 [4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2 2868 31
262 6.25 때 맹활약한 美 해군 최후의 전함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9 2249 37
261 러시아 해군 최초 핵잠수함 3척 북극해 동시 부상 훈련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8 1799 5
260 20년만에 개발 성공한 KF-X, 요격 미사일 등 '독침무기' 장착한다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7 2423 17
259 총알보다 빠른 비행기? 세계에서 가장 빠른 항공기 TOP 10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6 2477 22
258 <단독> “현무-4 단 1발로 北 금수산태양궁전 완파 가능” [5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5 2878 27
257 한화디펜스 레드백 VS 독일 라인메탈 KF41 링스 보병전투장갑차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2 2318 3
256 북한이 현무-4 해킹해 더 센 미사일 개발? 실상은... [3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31 3094 12
255 IS 무기가 된 국산 상용트럭 [5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30 4741 55
254 드론·로켓 ‘벌떼공격' 다 막는다...이스라엘 아이언돔의 진화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9 2010 9
253 전부 여군으로 편성된 미 공군 F-15E 전폭기 출격훈련 [3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6 2536 11
252 선진국에 대규모 장갑차 첫 수출, 청신호 켜졌다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5 2533 8
251 <밀리터리 시크릿> “천안함 생존장병들은 패잔병이 아니다” [4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4 2147 22
250 1·2차대전 때 미국 식량문제 해결해 승리로 이끈 '비밀무기' [3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3 3439 45
249 중국 신형 폭격기보다 세다...‘전투기 끝판왕’ F-15EX 출격 [4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2 2794 4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