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게 제 아버지의 얼굴이네요…” 6·25전사자 얼굴 복원 사업 첫 성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19 17:14:41
조회 255 추천 0 댓글 0

“이게 제 아버지의 얼굴이네요…” 6·25전사자 얼굴 복원 사업 첫 번째 성과


- 6·25전사자 유해 CT 촬영부터 얼굴 복원 완료까지의 과정 최초 공개
- 238번째 신원확인 ‘고(故) 송영환 일병’ 표준영정 딸 송재숙 씨에게 전달
- 국과수 이원준 수석법의관 “호국영웅 넋 기리는 데 협력할 수 있어 보람 느껴”



□ 5월 8일(금), 부모님의 은혜에 감사를 전하는 ‘어버이날’에 특별한 순간을 보내는 노년의 한 여성이 있습니다. ‘고(故) 송영환 일병’의 외동딸인 송재숙 씨(76세)는 평생 처음으로 아버지의 영정 앞에 카네이션을 놓았습니다.

◦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한 6·25전사자 유해(두개골) 얼굴 복원의 첫 번째 완료 사례를 공개합니다. 주인공은 바로 2013년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에서 발굴돼 지난해 10월 238번째로 신원이 확인된 9사단 소속의 고 송영환 일병입니다.

* 국유단은 2013년 9월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에서 총 7구의 유해를 수습했으며, 이 중에서 2014년 고 김영탁 일병(100번째)과 고 이종용 일병(101번째), 2024년 고 송영환 일병의 신원을 확인함.





◦ 국유단은 부모님의 은혜에 감사를 전하는 어버이날을 맞이해 유가족 송재숙 씨를 기관으로 초청해 아버지 고 송영환 일병의 유해를 바탕으로 완성한 ‘2D 표준영정’과 함께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고인의 헌신을 기리는 감사패를 전달했습니다. 수개월간 고심을 거듭하며 얼굴 복원 작업을 진행한 국과수 관계자에게도 표창을 수여했습니다.

◦ 한편, 고인의 딸인 송 씨는 1951년 3월 고인이 스물여섯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을 당시 겨우 세 살배기에 불과해 아버지를 기억하지 못합니다. 생전 사진 또한 없어 상상으로나마 그리운 얼굴을 그려왔습니다. 지난 2020년 아버지를 찾겠다는 일념으로 직접 국유단을 방문해 유전자 시료를 제공한 지 5년 만에 다시 아버지의 얼굴을 보기 위해 국유단을 찾았습니다. 그렇게 태어나 처음으로 아버지를 마주하면서 영정 앞에 카네이션을 놓았습니다.


□ 국유단은 이번 행사를 고인의 신원확인과 얼굴 복원 과정에 참여한 관계자들의 이야기를 유가족에게 생생하게 전하는 데 초점을 맞춰 기획했습니다.

◦ 송 씨는 자택으로 모시러 가겠다는 국유단의 요청도 마다하고 아버지를 보기 위해 이번에도 직접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여동생과 함께 국유단 본청 앞에 이르자 함성제 상사와 심영순 감식관이 다가가 왼쪽 가슴에 카네이션을 달아주며 환영의 인사를 전했습니다.

◦ 함 상사는 지난 2013년에 발굴팀장으로서 고인의 유해를 직접 발굴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에서의 발굴은 한 주민의 제보로부터 시작됐습니다. 해당 지역은 제보자 집안의 선산이 있는 개인 사유지로, 제보자의 부친이 국군 전사자를 매장했다고 한 곳이었습니다. 그런데 여러 사정상 발굴에 주어진 시간은 단 2일에 불과했습니다. 함 상사를 비롯한 8명의 장병은 호국영웅의 흔적을 찾기 위해 잠도 줄이며 밤새도록 발굴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고인을 비롯한 7구의 유해를 수습할 수 있었습니다.

◦ 함 상사와 함께 발굴 현장에서 활약한 신영순 감식관도 행사를 함께했습니다. 신 감식관은 당시 강원도 인제군의 현장감식소에 업무를 보던 중 유해가 노출됐다는 연락을 받고 현장으로 이동해 감식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인식표와 함께 발굴된 유해 2구(고 김영탁 일병과 고 이종용 일병)를 보면서 이들의 유해는 신원확인이 빠르게 이뤄질텐데 나머지도 어서 빨리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 신 감식관은 유해를 보관하기 전 세척 과정을 거치지만 모래사장과 방풍림(防風林) 바로 뒤쪽에서 발견된 동해시 망상동의 유해들에서는 지금도 가늘고 고운 입자의 모래가 조금씩 묻어 나온다며 그때의
기억을 떠올렸습니다.




◦ 국유단 이규상 중앙감식소장과 국과수 이원준 수석법의관은 양 기관에서 업무협약을 추진한 당사자입니다. 지난해 6월 두 사람은 협약 체결 전 사전토의 단계에서 상태가 양호해 복원이 가능한 두개골 4구를 선정했습니다. 그중 첫 번째로 복원을 시도할 1구를 추가로 정했습니다. 그 때까지만 해도 모두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유해들이었습니다.

◦ 동년 8월 유해의 컴퓨터단층촬영(CT)를 마치고 복원을 시작한 지 얼마되지 않았을 때 우연하게도 첫 번째로 복원하기로 한 유해의 주인이 밝혀졌습니다. 이 소장은 이와 같은 유해 선정부터 복원 완료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유가족 앞에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국과수 유준열 연구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고인의 얼굴을 복원한 실무자입니다. 컴퓨터단층촬영 이후 최초 두개골 상태에서 근육을 하나하나 붙여가며 얼굴의 만드는 과정에는 모두 그의 손길이 담겨 있습니다.

◦ 누군가는 생전 사진이 없어 복원된 결과물의 정확성에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유 연구원은 본인이 과거 복원했던 유해 중 생전 사진이 존재했던 실종자들의 사례를 행사 참석자들에게 보이면서 높은 수준으로의 복원이 가능함을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고인의 명예를 실추시키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을 자신 있게 밝혔습니다.

◦ 6·25전쟁에 참전한 고 송영환 일병이 전사한 후 흙 속에 묻힌 유해가 다시 세상의 빛을 보기까지는 62년, 그로부터 신원확인까지는 11년이 걸렸습니다. 그리고 국유단과 국과수가 함께한 11개월간의 노력 끝에 생전의 얼굴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 유가족(딸 송재숙 씨)의 현장 소감
- "(아버지 영정을 처음 본 순간) 가슴이 멍하면서...이분이었구나 순간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전에 작은 아버지가 아버지하고 비슷하다고 들었는데 정말 그런 것 같습니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게 이런 건가 싶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저 세살 때 아버지가 군에 들어 가셨는데 그때 아버지의 발이 떨어졌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임종하셨을 때는 또 어떤 심정이었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아버지 영정 에 카네이션을 올려두었을 때 밑에서 올라오는 슬픔을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아버지가 나라를 위해 헌신해서 내게 이런 영광을 주시는 구나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여러분의 고생하시는 거 보면서 아버지가 나라에 좋은 역할을 하셨구나 합니다."


□ 국유단과 국과수는 잠시 숨을 고르고 두 번째 유해에 대한 복원 작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나머지 3구 모두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 이근원 국유단장은 “호국영웅의 얼굴을 복원하는 것은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켜낸 분의 명예를 선양하는 것을 물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한 방식입니다. 앞으로도 6·25전사자가 생전의 얼굴을 되찾을 수 있도록 국과수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이원준 국과수 수석법의관은 “고 송영환 일병님의 얼굴 복원과 이를 바탕으로 한 2D 표준영정을 제작해 유가족분께 전달할 수 있게 돼 기쁩니다. 한 분의 6·25전사자 유해라도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국유단 모든 구성원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국과수가 얼굴 복원 감정을 통해 국유단의 6·25전사자 신원확인과 그 넋을 기리는 데 협력할 수 있어 큰 보람을 느끼며, 계속해서 6· 25전사자가 생전 얼굴을 되찾는 일에 국유단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6ㆍ25 전사자(호국영웅)에 대한 감사ㆍ보답ㆍ존경의 시작은 '유해 발굴'입니다. 유가족 여러분의 유전자(DNA) 시료채취가 호국영웅을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1577-5625 <끝>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의외로 연애 못할 것 같은 연애 하수 스타는? 운영자 25/08/04 - -
1360 주한미군 A-10 공격기 '라스트 댄스'… 2025 오산 에어파워데이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078 1
1359 지작사, '2025년 전반기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03 1
1358 김명수 합참의장, 정조대왕함·잠수함사·진해기지사·특전단 대비태세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96 0
1357 육군, 'UN 평화유지활동 삼각협력 공병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57 0
1356 국방부, 군인 사칭 사기 적극 대응… “국방헬프콜 1303으로 확인하세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58 0
1355 정전 이틀 앞두고 전사… 72년 만에 아들 품에 안긴 ‘고 함상섭 하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38 0
1354 해군, 전·평시 상용 무인체계 작전 운용 가능성 검증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02 0
1353 방위사업청장, 중동지역 K-방산 주도권 확보를 위해 사우디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01 0
1352 합동참모본부, 제3차 한-NATO 군사참모대화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9 0
1351 한미 해군, 동해상 연합 해상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65 0
1350 합참의장, 영공 수호의 최일선… 제20전투비행단 대비태세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7 0
“이게 제 아버지의 얼굴이네요…” 6·25전사자 얼굴 복원 사업 첫 성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5 0
1348 레바논 현지인, 대한민국을 체험하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24 0
1347 육군, 비호복합 및 천호 대공 실사격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72 0
1346 한미, 우주위협 대응 위해 손맞잡다「한미 연합 우주위협 대응연습」첫 시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4 0
1345 범정부·기업 방산협력 사절단, 멕시코 등 중남미에서 K방산 세일즈 활동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8 0
1344 최태성과 국방부·보훈부 2030 자문단, 호국영웅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5 0
1343 한화시스템, ‘수도권 최후의 방패’ LAMD 레이더 개발 맡는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68 0
1342 <방산UP> “중국 기술 없다” 우리 기술로 만든 자폭드론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48 0
1341 HD현대重, 해군 발주 ‘전투용 무인수상정’ 개념설계 사업 수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0 0
1340 KF-21 전자전기 개발 시동!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결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7 0
1339 방사청, 페루에 KF-21 차기 전투기 도입사업 참여 요청할 것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7 0
1338 해군, 군사대비태세 확립을 위한 함대종합전투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77 0
1337 AI·반도체·로봇 차세대 방산기술 개발에 박차 가한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79 0
1336 합참의장, "서북도서는 적의 비수(匕首), 적 도발 시 처절하게 응징"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62 0
1335 민·관·군이 함께 미래 기반통신체계 발전 논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63 0
1334 2025년 MZ병사들의 ‘군통령’ 2위는 프로미스나인, 1위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29 0
1333 해군·해병대, 상륙작전 수행능력 향상 위한 합동상륙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62 0
1332 NATO 회원국 튀르키예와 군사교류협력 강화 방안 논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40 0
1331 아크부대와 첫 합동 고공강하·화물투하·비포장 착륙 등 데저트플래그 풀사진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94 0
1330 “국군의 생명과 건강, 우리가 지킨다” 692명의 신임 의무장교 임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30 0
1329 천무 유도탄 수명연장 사업 협업회의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68 0
1328 해군·해병대, 2025년 합동상륙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43 0
1327 김명수 합참의장, KTSSM사격대와 중부지역 미사일우주감시대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77 0
1326 방위사업청, EU·NATO와 글로벌 공급망 파트너십 구상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41 0
1325 육군 저격수팀, '미 국제 저격수대회' 국제부문 1위!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55 0
1324 이라크 방산전시회 참가, K-방산 중동 진출 정조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52 0
1323 수km 밖 소형 드론 잡아내는 ‘AI 기반 광자 레이더 기술’ 개발 성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79 0
1322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 더욱 강화된 대북 감시정찰역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6 0
1320 육군, 스토리표적지 7년 만에 포탄 사격훈련 재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25 0
1319 한미공군, 프리덤 플래그 훈련 미디어데이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14 0
1318 육군, 화력대비태세 확립 '야간 해상사격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51 0
1317 미 해병 F-35B 가상 적기로 참가… 한미 공군 프리덤 플래그 현장취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17 0
1316 한미 공군, ’프리덤 플래그(Freedom Flag)‘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3 0
1314 軍, 자폭드론 막는 ‘전차용 국산 재머’ 신속사업으로 개발한다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298 2
1313 공군-UAE공군 KF-21 포괄적 협력에 관한 의향서 체결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556 2
1312 ‘천무 유도탄’ 폴란드서 생산한다…한화에어로, 유럽 재무장 계획 선제대응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750 2
1311 기뢰부설에서부터 탐색·식별 및 제거까지… 한·미 해군 연합 기뢰전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623 3
1310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해군 제2함대사령부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570 1
1309 미국 B-1B 전략폭격기 전개 하 한미 연합공중훈련 시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686 3
뉴스 “뭐가 진짜야”, “책임져라”…보아, ‘이것’ 사기에 분노, 무슨 일 디시트렌드 08.0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