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살만해졌다는 SM6, 쏘나타랑 비교해보면 어떨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1.02 10:04:12
조회 275 추천 1 댓글 1
														



SM6는 르노삼성자동차의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써 SM5와 같은 세그먼트에 위치하지만, 출시 당시 이름을 달리해 별개의 라인업을 구축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실상 후속작이라고 해도 무방하고, 원래대로 하면 SM5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와야 정상인 그림이지만, 르노삼성 측은 기존 SM5의 상품성 개선이란 명목으로 이름을 달리했다.


이후 SM3, SM5, SM7의 단종이 연달아 이어지자 르노삼성의 유일한 중형 세단이 되었다. 그러나, 출시 초반에 극렬히도 비난받았던 토션빔과 AM 링크, 그리고 S-Link의 무자비한 사용 편의성은 SM6의 가치를 떨어트렸고, 중형 차에 걸맞지 않은 미션의 꿀렁임은 아무리 잘 몰고 다녀도 멀리를 유발했었다. 그런 SM6가 이번에 완전히 새롭게 변하여 출시하였다고 한다. 가격을 낮추고 승차감을 대폭 개선하였다고 하는데, 과연 얼마큼 변했을지 함께 알아보자.





출시 초반

엄청난 인기몰이

르노-닛산의 모듈형 FF 플랫폼 CMF를 활용한 SM6, 출시 초반은 그야말로 대단했다. 각종 미디어를 막론하고 일반인들에게도 디자인 하나는 가히 최고의 찬사를 받았던 녀석이었다. 출시 당시 2.0L 자연흡기 GDi 엔진과 일전에 SM5 TCE에서도 사용되었던 1.6L 터보 GDi 엔진이 적용되었고, 게트락제 습식 DCT 조합이 맞물려, 당시 출시했던 중형 차의 파워트레인 중 가장 독보적인 성능을 자랑했고, 동급 차량들이 C-MDPS를 장착했을 때 홀로 R-MDPS를 장착하여 존재감을 과시했다.


옵션과 NVH도 호평이 자자했다. 중형 차를 넘어 한 단계 윗급 준대형 차량과 비견될 정도라는 평이 지배적으로 많았고, 동급 최초로 LED 방향지시등, 나파 가죽 시트 등으로 확실히 동급 차량들보다 적용되는 옵션이며, 감성까지 모두 잡은 녀석임은 틀림없었다.


그리하여 2016년 3월 판매량에서 드디어 기아차의 K5를 무찌르는데 성공했고, 쏘나타를 필적하는 중형 차라는 타이틀까지 얻게 되는데 성공했다. 이후 2016년 4월에는 5,195대를 판매하면서 쏘나타가 월평균 7,000대를 웃도는 판매량을 볼 때 가히 고무적인 상황이었다.


한때 르노삼성의 생산계획에 미치지 못하는 부품 수급 문제로, 잠시 동안 생산이 미뤄지는 등 자잘한 사고가 발생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기몰이는 여전했었다.



품질 이슈와

중형 차에

걸맞지 않은 승차감

SM6의 흥행은 출시가 되고 1년이 조금 지난 시점인 2017년 6월이었다. 이 당시는 현대차가 중형차 베스트셀러의 왕관을 되찾기 위해 대대적인 페이스리프트를 감행하였고, 준대형 차인 그랜저 IG는 ‘젊어진 그랜저’를 슬로건으로 중형차 시장의 수요를 쏙쏙 빼가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하필 SM6의 품질 논란이 본격적으로 터지기 시작한 건 출시되고 반년이 넘은 2017년 초부터였다. 타이어 편마모 이슈부터 시작하여, S-Link의 잦은 오류, 공조기 컨트롤의 번거로움, 잦은 소프트웨어 리콜, 중형 찬데 뒷좌석이 좁고 통통 튀는 승차감, DCT 미션 특유의 직결감에서 나오는 꿀렁임은 굉장한 치명타가 되었다.


대한민국 중형차 시장에 새로운 돌풍을 예고했던 SM6의 찬란한 순간은 이 순간부터 막을 내렸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구형 엔진의 재고 처리 겸 미션 특유의 꿀렁임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고 비싼 가격을 잡은 SM6 프라임도 2018년 10월 잠시 출시했지만, 월 300대씩만 생산한 탓과 더불어 크게 찾는 이들이 없었다. 결국 2019년 10월 소리 소문 없이 단종되었고, 이 존재를 아는 사람들도 생각보다 많지 않다.



문제점을

대폭 개선한 뉴 SM6

각종 안 좋은 논란거리로 판매량에 있어 전전긍긍하던 SM6는 지난 2020년 7월 2차 페이스리프트를 실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전기형에서 문제 되었던 부분들을 대폭 개선해서 출시하였고, 파워 트레인은 총 3가지로 휘발유 엔진의 변화가 생겼다.


주력 엔진인 르노 개발의 1.3 터보 엔진 그리고 1.8 터보 엔진이 변경되었고, 각각 2.0L 자연흡기 엔진과 1.6L 터보 엔진을 대체하는 녀석들이다.


1.3 터보는 최대 출력 156마력에 최대 토크 26.5kg.m의 힘을 가졌으며, 2.0L GDe 엔진보다 훨씬 여유로운 출력을 자랑한다. 이는 벤츠의 A 클래스, B 클래스에서도 쓰이는 엔진으로 교묘하게 ‘벤츠 엔진’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1.8L 엔진 또한 르노의 고성능 라인업을 담당하는 엔진을 디튠한것이다. 태생이 레이싱에 포커스가 맞춰진 녀석답게 엔진 회전 질감은 나무랄 게 없을 정도로 부드럽고 반응성이 좋다. 그러나 2.0L와는 세금 차이의 격차가 크질 않아 대한민국에선 자취를 감춘 배기량인 만큼 애매하단 의견이 많다.


드디어 빠진

AM 링크

하체셋팅에도 변화가 생겨났다. 드디어 AM 링크가 빠지면서 승차감을 살려냈고, 리어 서스펜션에 모듈러 밸브 시스템을 사용해 충격 흡수능력을 높였으며 대용량 하이드로 부싱을 써서 노면 진동을 걸러냈다는 게 르노삼성의 설명이다.


그러나 역시 하드웨어의 태생 한계상 토션빔의 구조를 갖춘 서스펜션은, 상하운동 스트로크가 짧아 승차감이 동급 대비 쿵쾅 거린다는 의견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염원했던 4WS도 결국 빠졌다. 휠베이스가 긴 중형 차에 토션빔을 적용한 탓에 코너에서 임계치까지 몰아붙일 경우 (사실 언더스티어가 굉장히 심한 차라서 임계치까지 가는 것도 힘들다.) 리어 쪽 그립이 흘러버리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그러다 보니 일부 미디어에선 4WS는 선택적 옵션이라도 꼭 들여와야 한다며 지적한 바 있었고, 실질적으로 운행해 본 이들도 한마음 한뜻으로 입을 모았다.


그러나, 이미 300 TCe 기준으로 3,387만 원이라는 가격과 함께 무게가 증가하여 승차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르노삼성은 선을 그었지만, 그다지 와닿지 않는 의견이다. 트랙션의 변화가 생길 경우 하체 셋팅 (얼라이먼트, 부싱의 강도, 댐핑 압력 셋팅)을 다시 손보면 해결된 문제지만, 전술한 발표 내용을 해석해 보면, 아무것도 건들지 않고 적용하여 테스트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반박하는 각종 옹호론도 존재하지만, 탈리스만의 경우 2016년 첫 출시할 당시에도 4WS가 존재했다.



’가성비 감성’

머신을 원한다면

추천해볼만

그렇다면 오늘날의 SM6는 현행 나오는 DN8 쏘나타와 견줘도 손색이 없을까? 결과적으로 ‘스포츠 감성’과 내장제의 고급진 감성을 원한다면 SM6를 추천해 줄 만하다. 그 외적인 승차감, 거주공간, 추후 따져볼 감가상각을 따져본다면 SM6는 적절한 선택지가 되지 못한다. 


과거 LF 쏘나타 1.6 터보 모델에서 DCT를 사용했다가, 현행 DN8 센슈어스 모델에서 자동 8단 미션으로 돌아온 점을 바라보면 현대 측에서도 데일리카로서 DCT 미션은 실효성이 없다는 판단이었던 것이다. 아무리 높은 트림으로 올라가더라도 상대적으로 부실한 자율주행 관련 옵션, 과속방지턱과 잦은 출발 감속이 많은 도로 여건에 어울리지 않은 변속기는 여전히 SM6의 가치를 낮추는데 일조한다. 


더욱이 현행 나오고 있는 쏘나타는 플랫폼이 바뀌어 덩치가 한결 더 커졌다. 그리고 바디 강성 또한 비약적으로 높아진 탓에 SM6만의 날렵한 맛을 원한다면 대응할 수 있는 라인업인 1.6 터보 센슈어스 혹은 N 라인이 존재한다.


결국 쏘나타냐 SM6냐의 싸움은 SM6가 열세인 상황에서 어떤 식으로 대처하냐에 따라 달렸다. 하지만 현재로서 SM6의 메리트는 충분하다고 보인다. 뒷좌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패밀리카의 성향보단 1~2인의 인원만 수용할 목적인 싱글인 사람들에게 적합하다고 볼 수 있겠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686 현대기아 노조의 끝은 어디일까? 내년에도 험난한 일정 예고됐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219 0
685 무단횡단하는 사람 치었는데 운전자가 잘못한거라고요?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306 4
684 500만 원짜리 중국 전기차가 국내에 들어오면 벌어지는 일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364 0
679 진짜 답없는 한국...내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한숨만 나오는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332 0
678 진짜....현대기아차 나오자마자 사면 호구되는 이유 알려드립니다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2014 11
677 10년째 한국에도 출시해 달라지만 막상 나오면 아무도 안살 차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2462 1
676 아우디 2천여대 떨이 나온다, 이거 진짜 사도 괜찮을까요?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2253 8
675 대기만 6개월 걸린다는 카니발, 바로 출고하는 방법이 있다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196 0
674 현조하는 전기차 끝판왕 타이칸 VS E트론 GT 비교해보니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648 0
673 결국 참던 대기업들 폭발, 중고차 시장 진출 진짜 한다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2342 21
672 결국 단종될까? 좌핸들 포착된 베뉴 페이스리프트 테스트카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307 0
671 디자인 실화냐? 모두가 입을 모아 걱정된다며 한탄한 수입차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2201 5
670 결국 회장님 큰 결단 내렸다. 현대차 이제 엔진 개발 안합니다 [1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2336 8
669 끝판왕 먹을 생각인가? 아우디가 공개한 전기차의 놀라운 스펙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1176 6
668 자꾸 망했다고 놀리는데... K9은 정말 망한 세단일까?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2374 4
667 앞으로 중국에서만 생산된다는 일본차, 이렇게 변합니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435 2
666 완전 양아치들 아닌가? 테슬라 가격 1,000만 원이나 올렸다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1719 2
665 제네시스 대신 살만해? 국내 공개된 폴스타, 제대로 비교해보니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318 0
664 몇년째 소문만 무성하던 현대기아 택시, 드디어 나옵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7 391 0
663 결국 한국 회장님들 지갑 찢었다, 신형 G90 초대박나버린 상황 [3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7 3113 14
662 "최초 포착" 셀토스 부분변경에서 발견한 변화 포인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7 230 1
661 역시 벤츠는 벤츠다, 결국엔 S클래스가 끝판왕인 이유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7 2701 2
660 전기차 보조금 정책 개편 소식에 제조사들이 행할 가능성 있는 꼼수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7 813 0
659 전기차가 몰려온다, 올해 지나기 전 차주들은 꼭 챙겨야 할 한가지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4 942 0
658 하늘이 무너져도 한국에서 준중형 세단 최강자는 아반떼인 이유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4 1824 1
657 "디자인이 다가 아니죠" 어떻게 나오던 잘팔리는 국산차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4 453 1
656 이걸 돈주고 왜 사냐? 라는 반응 쏟아진 QM6, 굳건한 인기비결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4 491 1
655 이게 말이 되는 소리? 5만명 호구로 만들어버린 기아 노조 근황 [2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4 2406 28
654 전기차 차주분들은 꼭 봐야합니다, 싸다고 아무거나 그냥 막 샀다간...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187 0
653 해치백의 전설, 폭스바겐 골프 출시 소식에 또 논란 터졌다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1262 0
652 쉐보레가 작정하고 준비중인 SUV 신차 도로에서 포착됐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305 0
651 "적용된다 했는데..." G90 풀체인지 빠진 기능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337 1
650 종류가 왜 이렇게 많은거야? 911 입문자들이 보면 좋은 글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2973 18
649 요즘 힘든 쌍용차가 그때 그 시절 대체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는 차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1808 4
648 현대차 일본 재진출한다는 소식 전해지자 네티즌들 난리났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280 1
647 내년 전기차 보조금 확정, 또 현토부 논란 터졌다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134 0
646 테슬라 이제 긴장해야....더이상 최강자가 아니다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1722 3
645 캐스퍼가 잘나간다고? 경차시장 판도 바뀌었다는데 실제로 보면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1795 4
644 세계가 감탄했다? 드디어 공개된 G90 풀체인지 사양정리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222 0
643 "드디어 들어갔다" 신형 G90에서 발견한 놀라운 사양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1458 10
642 미국서 도난률 1위 기아 불명예, 결국 고발까지 당할 위기?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2074 24
641 전기차가 더 빨라서 별로? 그래도 내연기관차가 더 좋은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275 0
640 아니 대체 왜...미니쿠퍼 이 디자인 실화냐? 라는 반응 쏟아졌다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2126 1
639 이게 현토부라고요? 내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공개됐다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1307 1
638 팰리세이드 페이스리프트 변화포인트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371 1
637 진짜 안타깝습니다...겨우 출시했는데 아무도 안 살거같은 전기차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2744 14
636 4050 아재들 마음 휩쓸었다, 요즘 잘 나가는 이 자동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567 0
635 요즘 어디가도 안꿀리죠, 소위 말하는 하차감 좋은 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382 0
634 이 정도면 싸우자는건가? 대놓고 말 안듣겠다고 선언한 현대차 노조 [4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3501 55
633 역대급 할인 내세웠다는데 어느정도길래?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1463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