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스트리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스트리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나나니와 A의 일그러진 청춘 에필로그(후기).manhwa 나나니
- 버려진 강아지는 무슨 생각을 할까 ㅇㅇ
- 대서양 무역전쟁 전면전 피할 수 있을까...우리 정부도 '촉각' 마스널
- 싱글벙글 일녀 사진 보고 환장하는 양남들 ㄷㄷ rtOS
- 나사가 촬영한 목성의 극지방.jpg 네거티장애
- 어느 미국팬의 케이팝콘서트여정, 그리고 벌어진 일 ㅇㅇ
- 싱글벙글 이라크 남자친구를 반대하는 부모님 수인갤러리
- 이진숙 "대의에 목숨 걸어본 자만 내게 돌 던져라"…'휴가' 논 ㅇㅇ
- 헤그세스, 콜비가 트럼프 승인 없이 우크라 무기지원 중단 세티르
- 中 '초대형 댐' 건설에...하류 국가들 엄습하는 공포 마스널
- 사진 찍은거 평가좀 이런엔딩
- '트럼프 돌풍' 빼다박은 日 참정당의 대약진 묘냥이
- 파리! 아침에 파리 찍어왔어!!! 불교맨
- 간단하게 바쇼 후기 용가리치킨
- 킹찬대 지귀연 카톡 폭로 입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반윤연대
최근 전 세계적인 인기로 '녹색 금'으로 불린다는 일본의 말차
최근 일본의 맛차(MATCHA)가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는 외신들의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맛차는 말차의 일본식 발음(まっちゃ)으로 이미 서구권에서는 맛차가 가장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표현으로 자리잡은 상태다. 일견 녹차와 다를게 없어 보이지만 알고보면 전혀 다르다는 말차(抹茶), 사실 이 말차의 기원은 중국에 있다. 그렇다면, 일본의 맛차(MATCHA)는 중국의 말차와 무엇이 다른가.중국의 말차 문화는 당나라(7~9세기 무렵)시기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당시 중국에서는 가루차(말차)가 유행했는데, 12세기경 일본의 선종(禪) 승려, 에이사이(栄西)가 송나라로부터 차의 재배와 가공 기술, 그리고 차의 종자를 들여오면서 일본에 가루차 문화가 뿌리내리게 되었다.한편, 중국에서는 송나라 이후 가루차 문화가 쇠퇴하면서 잎차 문화가 주류가 되었다. 반면 일본은 맛차 문화를 소중히 간직하며 독자적으로 발전시켜 나갔는데, 일본의 맛차는 그들만의 독특한 재배법인 차광재배(遮光栽培)를 통해 우마미(감칠맛)을 끌어올리고 잎사귀만을 채취해 일정한 입자크기를 유지하는 가공기술, 독자적인 다도문화 등을 통해 현대적 말차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성공했다. 요컨대, 말차의 원조는 중국이지만 현대적 말차는 일본의 맛차가 원조인 셈이다.전 세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있는 맛차(MATCHA)팬데믹 이후 수천만의 관광객들이 일본을 방문하였고, 맛차를 처음 맛 본 뒤로도 그 맛을 잊지 못하게 됐다고하지만 안타깝게도 맛차의 원료가 되는 텐차(碾茶)의 재배는 일본 내에서도 극히 한정돼 있다. 더욱이 맛차의 고향으로 불리는 교토, 그 중에서도 우지시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텐차 재배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이렇듯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게 되자, 맛차의 가격은 1년새 3배가량 상승하였고 '녹색 금'이라는 말까지 생겨나게 됐다.한편, 맛차가 돈이 된다는 걸 알게 된 중국과 조선이 일본의 방식을 흉내내어 모조품들을 생산하거나 맛차라는 이름으로 버젓이 수출하는 일이 생겨났다.슈퍼말차라는 브랜드를 운영하는 주식회사 힛더티는 조선기업이다.보성에서 생산된 프리미엄 말차를 사용한다고 한다. 브랜드명으로 조선식 발음인 MALCHA 대신 일본식 발음 MATCHA를 사용한게 인상적이다. 그만큼 MATCHA가 고유명사화 됐다는 증거다.맛차는 이미 미국 내에서 이미지 고급화에 성공했다.차 한잔에 거의 9유로라니 말 다 했다.맛차의 인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마냥 안심할 수 없다. 현대적 말차(맛차)의 원조는 일본이 분명하나 말차라는 문화 자체는 일본, 중국, 조선 세 나라가 모두 공유하고 있다. 이미 서양인의 대부분은 맛차를 일본 것으로 인지하고 있지만 누가 알겠는가 나중가면 어떤 기가막힌 일이 벌어질지, 미리미리 방비해서 나쁠 건 없다. 맛차=일본이라는 이미지를 고착시키는 게 중요할 것 같다.
작성자 : 센뽕대학살고정닉
2025년 현재 전세계 왕위 계승자
1. 네덜란드오라녀 여공 카타리나아밀리아2003년 12월 7일 생 (21세)2. 노르웨이노르웨이 왕세자 호콘1973년 7월 20일 생 (52세)3. 덴마크덴마크 왕세자 크리스티안2005년 10월 15일 생 (19세)4. 레소토레로톨리 세이소 왕자2007년 4월 8일 생 (18세)5.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대공세자 기욤1981년 11월 11일 생 (43세)올해 10월 3일 대공 즉위 예정6. 리히텐슈타인리히텐슈타인 대공세자 알로이스1968년 6월 11일 생 (57세)2004년부터 섭정 재위 중7. 말레이시아페락 주 술탄 나즈린 샤1956년 11월 27일 생 (68세)말레이시아는 각 주의 술탄들이 돌아가면서 말레이시아 국왕(아공)을 맡음8. 모나코모나코 대공세자 자크2014년 12월 10일 생 (10세)누나 가브리엘라가 있지만 남아 우선 상속9. 모로코몰레이 하산 빈 무함마드 왕세자2003년 5월 8일 생 (22세)10. 바레인살만 빈 하마드 알 할리파 왕세자1969년 10월 21일 생 (55세)11. 벨기에브라반트 여공 엘리자베트2001년 10월 25일 생 (23세)12. 부탄지그메 남기엘 왕축 왕세자2016년 2월 5일 생 (9세)13. 브루나이알무흐타디 빌라 왕세자1974년 2월 17일 생 (51세)14. 사우디아라비아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1985년 8월 31일 생 (39세)15. 스웨덴스웨덴의 빅토리아 왕세녀1977년 7월 14일 생 (48세)16. 스페인아스투리아스 여공 레오노르2005년 10월 31일 생 (19세)17. UAE(아부다비)칼레드 빈 무함마드 알나얀 왕세자1982년 1월 18일 생 (43세)UAE 국가원수 = 아부다비 왕가가 세습하기에 아부다비 왕세자 = UAE 국가원수 후계자18. 영국과 영연방 왕국웨일스 공 윌리엄1982년 6월 21일 생 (43세)19. 오만테야진 빈 하이삼 알사이드 왕세자1990년 8월 21일 생 (34세)20. 요르단후세인 빈 압둘라 왕세자1994년 6월 28일 생 (31세)21. 일본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황사1965년 11월 30일 생 (59세)황실전범에 따라 현 나루히토 천황의 딸 아이코 공주는 천황 자리를 세습하지 못하기에 동생인 후미히토가 황사의 자격으로 계승 서열 1위22. 카타르 압둘라 빈 하마드 빈 칼리파 알 사니 왕자1988년 2월 9일 생 (37세)현 타밈 국왕의 자녀들이 아직 어린 관계로 동생인 압둘라 왕자가 비공식 추정 승계자23. 쿠웨이트사바 알 칼리드 알 사바 왕세자1953년 3월 3일 생 (72세)왕세자 직함이기는 하나 현 국왕의 먼 방계 친척동생, 즉위할 시 쿠웨이트 역사상 최초의 방계 가문 출신 국왕이 될 예정24. 태국티빵꼰 랏사미촛 왕세자2005년 4월 29일 생 (20세)25. 통가투포우토아 울루칼라라 왕세자(좌측)1985년 9월 17일 생 (40세)
작성자 : 싱글벙글참치캔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ㄹㅇ
스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