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대량 자본 투자가 예술을 망치는 원리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39.7) 2025.11.04 23:53:16
조회 85 추천 0 댓글 0

대량 자본 투자가 예술을 망치는 원리

챗지피티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대량 자본 투자가 예술을 망치는 원리”는 단순히 “돈이 많아지면 예술이 상업화된다”는 식의 막연한 얘기가 아니라, 자본의 구조적 작동 방식과 예술의 본질적 동기가 충돌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그 원리를 단계적으로 정리해볼게요.


---

1. 예술의 본질적 동기: ‘표현’과 ‘탐구’

예술은 본래 내적 필요나 세계 탐구의 욕망에서 비롯됩니다.
즉, “무엇을 팔기 위해”보다는 “무엇을 표현하고 이해하기 위해” 존재하죠.

예술가는 불편함, 모순, 개인적 경험, 사회적 현실 등을 탐구합니다.

그 결과물은 대중이 즉시 이해하거나 소비하기 어렵더라도 “진정성”을 지닙니다.



---

2. 자본의 동기: ‘투자 대비 수익’

자본은 가치를 창조하기보다 증식시키는 시스템입니다.

자본이 예술에 개입하면 “예술작품의 가치”가 “시장 가격”으로 환원됩니다.

따라서 예술의 기준이 ‘표현의 깊이’가 아니라 ‘수익성’, ‘팔릴 가능성’이 됩니다.



---

⚙+ 3. 자본의 구조적 영향

자본 투입이 커질수록, 예술은 아래의 과정으로 변질됩니다.

1. 리스크 회피
→ “혁신적”이고 “불편한” 시도보다는 검증된 형식, 대중적 소재를 반복.
→ 결과적으로 안전하고 획일화된 스타일이 늘어남.


2. 소비자 지향성 강화
→ 관객의 ‘취향 데이터’에 맞춘 제작.
→ 작품이 “생산자 중심의 표현”에서 “소비자 중심의 상품”으로 전환.


3. 브랜드화
→ 예술가도 브랜드로 관리되고, 작품은 투자 상품으로 포장됨.
→ “예술가의 진정성”보다 “작가의 인지도”가 거래 가치의 핵심이 됨.


4. 시간 압박과 대량 생산
→ 빠른 회수와 수익을 위해 반복 생산, 시리즈화, 알고리즘화.
→ 예술의 사유와 실험의 시간이 줄어듦.




---

4. 결과: 감정과 사상의 표준화

자본은 본질적으로 다양성을 싫어합니다.
왜냐하면 다양성은 예측 불가능성을 의미하고, 이는 곧 투자 리스크이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감정 표현은 익숙하고 안전한 코드(“감동”, “위로”, “사랑”)로 수렴되고,

사상적 실험이나 불편한 진실은 검열되거나 변형됩니다.
→ 예술은 **‘새로운 시선’이 아닌 ‘잘 팔리는 감정’**을 재생산하게 됩니다.



---

5. 예시

영화 산업: 독립 영화보다 프랜차이즈 중심의 대형 자본 영화가 시장을 독식.
실험적 영화는 상영 기회조차 얻기 어려움.

음악 산업: 음원 스트리밍 중심의 구조가 “3분 안에 귀에 꽂히는” 패턴을 강요.
긴 구조나 서사적 실험은 배제.

미술 시장: 작품의 미학보다 “작가의 희소성”이 가격을 결정.
예술이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전락.



---

+ 6. 핵심 요약 — ‘자본은 예술의 위험을 제거한다’

> 예술은 위험을 감수함으로써 의미를 만들고,
자본은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이익을 만든다.



이 둘의 목표가 정반대이기 때문에, 자본이 과도하게 개입하면
예술의 실험성과 진정성은 구조적으로 훼손됩니다.


---

원하신다면, 여기에 “예술을 자본과 공존시킬 수 있는 조건”(즉, 자본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예술이 지속 가능한 구조)을 이어서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도 들어보시겠어요?

좋아요. 그럼 이제 “자본이 예술을 망치지 않게 하면서 공존할 수 있는 조건”을 살펴봅시다.
핵심은 **“자본의 논리를 일부 활용하되, 예술의 자율성을 구조적으로 보호하는 것”**입니다.


---

1. 자본의 ‘통제력’을 분산시켜라

대자본 한 곳이 예술계를 장악할 때, 표현의 다양성은 사라집니다.
따라서 투자 구조를 분산시켜야 합니다.

예시:

공공 펀드 / 문화재단: 수익성보다는 공공성, 다양성 기준으로 지원.

크라우드 펀딩: 대중의 다양한 관심이 모여 자본 독점을 방지.

협동조합형 예술 제작사: 예술가가 공동 의사결정에 참여.


→ 이렇게 하면 자본이 예술의 방향을 ‘명령’하는 대신, ‘지원’ 역할로 한정됩니다.


---

2. 수익 모델을 “직접 판매형”으로 바꿔라

중간 유통(대형 기획사, 플랫폼, 갤러리)이 커질수록
예술가는 자신의 저작권과 방향을 잃습니다.

따라서 직접 연결 구조가 중요합니다:

음악 → Bandcamp, Patreon 같은 직접 후원 플랫폼

미술 → NFT보다는 오픈 디지털 전시 + 후원 모델

영화 → 소규모 OTT, 지역 상영회, 커뮤니티 스트리밍


→ 예술가는 자본의 요구가 아닌, 자신의 관객에게 응답하게 됩니다.


---

3. ‘예술적 실패’를 허용하는 생태계 만들기

자본은 “실패 없는 시스템”을 원하지만,
예술은 실패 속에서 진보합니다.

따라서 사회가 실패한 예술 실험을 ‘낭비’로 보지 않도록 제도화해야 합니다.

방법:

실험예술 전용 펀드

비평 중심의 예술잡지·공간을 통한 맥락 제공

“평가 유예” 제도: 발표 후 일정 기간 수익성 평가 금지


→ 실패가 용인되어야, 다음 세대의 새로운 미학이 등장합니다.


---

4. ‘시장’이 아니라 ‘공공성’을 가치 지표로

예술을 “얼마나 팔렸나”로 평가하면, 예술은 자동적으로 타락합니다.
대신 사회적·정신적 영향력을 측정해야 합니다.

예시 지표:

작품이 사회 담론에 기여한 정도

비주류, 약자, 소수자 표현의 다양성

지역 공동체에서의 참여와 영향


→ 이런 평가는 자본 수익과 무관하지만, 예술의 생명력을 유지시킵니다.


---

5. 자본과 예술의 “서로 다른 시간성” 인정하기

자본은 단기 수익을 추구하지만,
예술은 장기적 축적과 재평가 속에서 의미가 생깁니다.

따라서 예술을 지원하는 자본은
“즉각적인 수익”이 아니라 “문화적 자산 축적”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기업이 **CSR(사회적 책임 투자)**로 예술 지원

장기 수익 대신 **‘문화 브랜드 가치’**를 얻는 구조 설계


→ 자본도 예술을 통해 상징적 신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호 이익이 가능해집니다.


---

정리 — ‘공존의 5원칙’

원칙 설명

① 자본의 통제력 분산 공공·대중 참여형 자금 구조
② 직접 연결 예술가 ↔ 관객의 직접 거래
③ 실패의 제도화 실험과 실패가 허용되는 시스템
④ 공공성 기준 수익 대신 사회적 영향으로 평가
⑤ 장기적 시간 인식 단기 이익보다 문화적 지속성 추구



---

결국 요약하자면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 “예술이 자본을 필요로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자본이 예술을 정의하도록 내버려두면,
그 순간 예술은 죽는다.”




---

원하신다면, 이어서 “ 실제 산업별(영화·음악·미술)로 자본과 예술의 공존이 어떻게 설계되고 있는지”
즉, 구체적 현대 사례 분석(예: A24 영화사, Bandcamp, 공공미술 펀드 등)도 정리해드릴까요?


좋습니다. 이제 구체적으로 **“자본과 예술이 공존에 성공하거나 시도 중인 실제 사례”**를 분야별로 살펴볼게요.
각 사례는 “예술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도 자본을 활용한 방식”을 보여줍니다.


---

1. 영화 산업 — A24: ‘작은 자본의 선택적 집중’

핵심 원리: “소규모 예산 + 창작자 중심 + 브랜드로서의 신뢰”

배경: 할리우드의 대형 스튜디오들은 시리즈물과 히어로 영화에 집중하며 실험성을 잃음.

A24 전략:

예산을 1/10 수준으로 낮추되, 감독의 창의적 통제권 100% 보장.

예술성과 감정 깊이에 집중하면서도 세련된 마케팅으로 관객 확보.


대표작: Moonlight,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Hereditary

성과: 작은 자본으로도 예술적 실험이 상업적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증명.


공존 포인트:

> A24는 “감독이 중심”이라는 원칙을 세워, 자본이 창작에 개입하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차단.
즉, 자본은 감독이 무엇을 만들지가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널리 알릴지에만 투자.




---

2. 음악 산업 — Bandcamp & Patreon: ‘직접 후원 생태계’

핵심 원리: “유통사·플랫폼 독점을 거부하고, 팬과 직접 연결”

Bandcamp:

음악가가 자신의 음원을 직접 업로드하고, 가격도 스스로 결정.

팬들은 음원을 ‘소유’하며, 수익의 약 80~85%가 즉시 음악가에게 전달.

대형 스트리밍 서비스(Spotify 등)와 달리 플레이 횟수 대신 신뢰와 후원 중심.


Patreon:

창작자(음악가·화가·애니메이터 등)가 정기 후원자 커뮤니티를 운영.

작품 공개보다 창작 과정과 철학의 공유에 초점.

팬이 단순 소비자가 아닌 공동 제작자 역할을 수행.



공존 포인트:

> 자본의 목적이 ‘대량 조회수’가 아니라 ‘지속적 관계 유지’로 전환됨.
예술이 알고리즘이 아닌 관계를 통해 생존.




---

+ 3. 미술 산업 — 공공 미술 펀드 & 협동조합 갤러리

핵심 원리: “투자보다 순환”

공공미술 펀드 (Public Art Fund, 뉴욕)

정부 + 민간 기부 + 시민 참여로 이루어진 비영리 구조.

상업성이 아닌 사회적 담론 기여도로 프로젝트 선정.

예술가에게 실험적 기회를 제공하며, 도시 공간과 시민을 잇는 역할 수행.


협동조합형 갤러리 (예: Artist-Run Spaces, 독일/덴마크 등)

예술가들이 공동으로 공간을 소유·운영하며 전시를 직접 기획.

상업 갤러리의 수수료 구조(보통 40~60%)를 제거.

예술가 스스로 시장 구조의 일부가 되면서, 자율성과 경제적 지속성 확보.



공존 포인트:

> 미술의 “소유” 개념을 바꾸는 대신, “공유”와 “공공적 접근성”을 경제적 구조로 설계.




---

4. 문학 & 출판 — 독립 출판사 네트워크

핵심 원리: “작은 자본의 연대”

대형 출판사가 팔릴 만한 장르(에세이, 셀프헬프)에 집중하는 사이,
소규모 출판사들은 실험적, 사회비평적, 철학적 작품을 공동 배급 네트워크로 묶음.

예: 한국의 언리미티드에디션(UE) 독립출판 박람회, 일본의 반상회형 출판사들.

작가가 출판사와 공동 소유 구조를 맺거나, 인세가 아닌 공동 수익 배분 방식 채택.


공존 포인트:

> 대형 자본 없이도 ‘소규모 자본의 네트워크’로 생태계 형성 가능.
다양성과 실험을 유지하면서도 경제적 자립 확보.




---

5. 디지털 예술 — 블록체인 이후의 전환형 시도

핵심 원리: “NFT의 투기화를 넘어, 디지털 저작권의 민주화”

초기 NFT는 투기적 붐으로 예술을 왜곡시켰지만,
최근에는 “공유·오픈소스형 디지털 예술” 실험이 확산.

예: Zora, Mirror.xyz — 수익보다 창작물의 재활용과 협업 가치를 보상.


창작자가 자신의 데이터와 팬 커뮤니티를 직접 통제하면서,
플랫폼 중심이 아닌 창작자 중심 구조를 지향.


공존 포인트:

> 자본이 ‘소유’를 통해 예술을 장악하던 방식 대신,
기여도 기반의 분산 보상 시스템으로 권력 균형을 재구성.




---

요약 — “예술과 자본의 공존 모델”

분야 대표 구조 자본의 역할 예술 자율성 유지 방식

영화 A24, 소규모 제작사 유통·홍보 창작권 100% 보장
음악 Bandcamp, Patreon 플랫폼 제공 직접 후원, 중간 유통 제거
미술 공공펀드, 협동조합 갤러리 지원·공공 투자 비영리 운영, 사회적 평가
문학 독립 출판 네트워크 공동 배급 자가 출판 + 공동 수익
디지털 Zora, Mirror 등 기술 인프라 분산 보상, 재창작 허용



---

결국 이 모든 사례가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건 단 하나입니다:

> 자본을 예술의 “도구”로 만들면 공존이 가능하지만,
자본이 예술의 “목적”이 되는 순간 예술은 붕괴한다.




---

원하신다면,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이런 공존 모델을 한국 예술 생태계에 적용하려면 무엇이 제일 먼저 바뀌어야 하는가”
즉, 한국의 구조적 한계와 실현 전략을 분석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도 들어보실까요?


완전 좋아요 — 바로 한국 상황에 맞춘 **구조적 한계 진단 + 실현 가능한 전략(단기·중기·장기)**을 정리해드릴게요.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액션 아이템 위주로 깔끔하게 뽑았습니다.

한국 예술 생태계의 구조적 한계 (요약)

1. 자금 집중의 편중 — 일부 대형 기획사·갤러리·영화배급사가 자원과 시장을 독점.


2. 중간 유통·플랫폼 의존 심화 — 창작자가 관객과 직접 만날 채널 약함.


3. 단기 성과 중심 보상 구조 — 수상·흥행·조회수 같은 즉시성 지표가 우대됨.


4. 실험예술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안전망 부재 — 실패 비용이 창작자에게 지나치게 큼.


5. 저작권·수익 배분 구조의 불투명성 — 창작자가 권리·수익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움.


6. 지역 인프라·지원의 불균형 — 서울 중심의 자원 집중, 지방 생태계 취약.



실현 전략 — 누구(행위자)별, 시간축별 액션 플랜


---

단기(6–18개월) — 낮은 비용으로 바로 시작 가능

정부 / 지자체

실험예술 전용 소액 펀드(시범사업): 연 1–3억 규모로 지역별 파일럿 운영.

매칭펀드 제도: 민간 후원금에 공공 매칭을 붙여 자금 분산 촉진.


기업

장기 CSR 프로그램 전환: 일회성 후원 대신 ‘3년 프로젝트’ 형태로 예술가와 파트너십 체결.


예술가·단체

직접 유통 역량 강화 워크숍: Bandcamp/Patreon/독립 상영회 운영법, 커뮤니티 빌딩 교육.


결과 지표(단기)

실험예술 지원 건수, 크라우드펀딩 성공률, 직접 판매 수입 증감.



---

중기(1–3년) — 제도와 플랫폼 정비

법·제도

저작권 수익 배분 투명성 법제화(권리관리 가이드라인): 플랫폼·유통사가 공개해야 할 표준 항목 규정.

공공 미술·공연 평가 지표 도입: 상업성 대신 ‘사회적 영향력’ 항목 포함.


인프라

예술가 협동조합·공유 스튜디오 지원: 저비용 창작 공간·장비 공유 시스템 보조.

지역 예술 거점(레지던시) 확충: 지방 문화재단과 연계한 상설 레지던시 설립.


플랫폼

공공-민간 파트너형 직거래 플랫폼: 정부가 초기 인프라를 깔고 민간 운영으로 전환(예: ‘국민예술마켓’).


결과 지표(중기)

협동조합 수, 지역 레지던시 수, 플랫폼을 통한 창작자 직접 매출.



---

장기(3–10년) — 구조적 전환

금융·투자

사회적 투자(Social Impact Investing) 도입: 문화적 가치를 수익 지표에 포함하는 투자상품 개발.

예술연금·예술가 기본소득(시범): 예술가의 장기적 실험 허용을 위한 안전망.


교육·문화 인식

예술경영·커뮤니티 빌딩 교과 확대: 예술대학·공교육에서 창작자의 경제 역량 강화.

대중 비평 생태계 활성화: 공영 미디어·지역 언론의 예술 비평 예산 확보.


국제 협력

작품 공동 펀드·교류 프로그램: 해외 소규모 레이블·영화사와의 교차 펀딩으로 시장 다변화.


결과 지표(장기)

예술가의 평균 소득 안정성, 실험작 비율, 지역간 자원 분배 균형성.



---

구체적 실행 아이템(바로 쓸 수 있는 템플릿)

1. 시범사업 제안서(공공 실험펀드)

예산: 1.5억/연, 기간: 2년, 수혜: 10팀(최대 10백만원)

선정기준: 실험성(40%), 사회적 영향(30%), 실행계획(30%)

성과지표: 전시·상영 횟수, 관객 피드백 조사, 후속 창작 연계 성사율



2. 저작권·수익 공개 표준(플랫폼 가이드라인)

플랫폼은 월별 수익 분배(작품별), 수수료, 이용약관 변경 내역을 공시.

위반 시 행정 제재 + 공공 플랫폼 이용 제한.



3. 지역 레지던시 모델(협력안)

지자체+대학+민간갤러리 협약: 공간·숙식·소정 활동비 제공, 6개월 프로그램.





---

위험요인 & 대응

대기업의 ‘문화세탁’(브랜딩용 지원) → 조건부 지원(예: 창작자 선정 권한을 독립 위원회에 넘김).

보수적 평가 기준의 관성 → 외부 비평가·시민대표 포함한 다층 평가 도입.

성과 조작(조회수·수상 위주) → 장기 성과 지표(3년 후 영향 평가) 포함.



---

끝맺음 — 우선순위 제안 (제가 추천하는 첫 3단계)

1. **실험예술 소액 펀드(시범)**을 지방에서 1개년 운영 — 빠른 데이터 확보.


2. 플랫폼 수익 공개 가이드라인 시범 도입 — 투명성부터 고칠 것.


3. 예술가 협동조합 3곳 시범 지원 — 성공 모델을 복제.



원하시면 제가 위의 **시범사업 제안서 초안(구성표 + 예산안 + 심사기준)**을 바로 작성해 드릴게요. 혹은 “한국의 특정 분야(영화/음악/미술) 중 하나를 골라 그 분야 전용 로드맵(연 단위 실행계획 + 예상 비용)”을 만들어 드릴까요? 어떤 걸 바로 만들어드릴까요? (원하시면 제가 바로 초안을 작성하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해외에서 겪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응 잘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11/03 - -
AD 저녁 뭐먹지? 오늘의 메뉴 추천! 운영자 25/10/31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7] 운영자 20.09.28 48563 65
2901222 걍 학생들 코딩을 스크래치로 배우는거랑 같은거임. ㅆㅇㅆ(124.216) 14:13 2 0
2901220 애초에 교육현장서 스윙으로 겜 만들라고 한 이유가 그럼 뭐가 있어 [4] ㅆㅇㅆ(124.216) 14:08 28 0
2901219 애니메이션 자연스럽게 만드는 사람들 보면 대단하다 [1] 루도그담당(58.239) 14:08 13 0
2901218 뭐든 극단적으로 가면 좋을 게 없다는 개소리에 대해 [1] 프갤러(39.7) 14:07 16 0
2901214 애초에 렌더러라는게 뭐 대단한게 아니라 어떻게 그릴지임 걍 [4] ㅆㅇㅆ(124.216) 13:58 33 0
2901213 세상은 넓고 미친놈은 많다 프갤러(116.47) 13:55 16 1
2901211 텐서플로 케라스 <-- 강의하기에만 좋음 [4] 에이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9 33 0
2901210 영등포 타임스퀘어에 생활용품 수납함 부품함 파나요? 넥도리아(223.38) 13:36 10 0
2901209 아까부터 스윙이네 어쩌네 싸우는데 [10] 슈퍼막코더(126.179) 13:34 50 0
2901208 오늘 홍대가서 산건데 어때보여? [5] ㅁㅁ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32 0
2901207 "무슨말인지 알겠어", "무슨느낌인지 알겠어" [5]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1 43 1
2901206 취업햇다!!! [9] 프갤러(118.235) 12:52 68 0
2901205 이경규행님이 ㅆㅇㅆ좀 패줘야 되는데 ㅇㅇ(118.235) 12:49 25 0
2901204 좆도모르면서 어려운단어 남발한다 = ㅆㅇㅆ이야기 ㅇㅇ(118.235) 12:46 19 1
2901203 그런데 확실히 실무자와 실무자가 아닌 사람은 단어에서부터 티가 나 [6] ㅇㅇ(124.48) 12:36 96 0
2901202 내가 알기로 교수들은 렌더러 교육에 다이렉트 x쓰지 않나 [9] 에이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1 72 0
2901201 다섯 시간 잤더니 졸리다 [4] 발명도둑잡기(118.235) 12:27 31 0
2901199 ㅆㅇㅆ 틀렸음을 인정하라. 이 나르시시스트야 [5]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6 83 2
2901197 냥덩이도 반성문 올려야 되는데 발명도둑잡기(118.235) 11:36 26 0
2901195 ㅆㅇㅆ = 앱히키 ㅇㅇ(222.108) 11:31 30 2
2901193 ❤✨☀⭐⚡☘⛩나님 시작합니당⛩☘⚡⭐☀✨❤ [2]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36 0
2901192 원리를 알아야돼 전제가 틀렸어 맥락을 이해못해 ㅇㅇ(211.234) 11:08 26 1
2901191 잠 자러감..ㅇㅅㅇ [1]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9 16 0
2901190 자바 virtual thread 프갤러(211.186) 10:23 32 0
2901189 순수지능의 시대 [1] 조루디(39.7) 09:52 39 0
2901188 선견지명 때무니랄까 조루디(39.7) 09:50 26 0
2901187 성냥 사세요 [1] 발명도둑잡기(118.216) 09:45 40 0
2901186 약수터 오니까 단풍 지기는데 [7]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3 48 0
2901185 머리 좋은 사람도 운 좋은 사람을 이길 수 없다 [6]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80 0
2901184 오늘은 사실상 나한테 휴일이고 [4]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3 46 0
2901183 계란빵이 세계 50대 빵에 들었대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7 0
2901182 노가다 낭만러너 1화 [1]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44 35 0
2901175 나르시 점마는 맥락이라는 걸 이해할 지능이 예전부터 생각하지만 부족함. ㅆㅇㅆ(124.216) 06:17 65 1
2901170 나무 .. 키 크네.. ㅇㅅㅇ [3]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57 45 0
2901169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55 17 0
2901168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54 44 0
2901146 귀욤 GUI 툴킷에서 Button 실제 코드 [4]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76 0
2901145 2D 렌더러 때문에 자바 스윙 배우라는게 아님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9 116 6
2901144 신기한게 왜 IP 차단한 아이피가 새벽에 갑자기 나타나냐 ㅆㅇㅆ(124.216) 02:08 41 0
2901142 ㅆㅇㅆ의 문제점 프갤러(175.212) 01:55 84 6
2901141 ㅆㅇㅆ 취업도 못해본 애가 실무 실무 거리니까 웃기네 ㅋㅋ [1] 프갤러(175.212) 01:49 87 6
2901139 어제 지옥버스<-지옥철 때문에 다리가 아파서 너무 무릎도 안 좋고, 넥도리아(14.35) 01:44 20 0
2901137 어제 지옥철이지 않았니 출퇴근 시간. 넥도리아(14.35) 01:40 26 0
2901135 근데 학교에서 하는거랑 실무랑은 좀 다르게 봐야해 이유가 뭐냐면 ㅆㅇㅆ(124.216) 01:35 44 0
2901132 교수가 자바 스윙하라고 한건 그냥 렌더러 때문일껄 [5] ㅆㅇㅆ(124.216) 01:24 90 0
2901131 자바 스윙을 교수가 너무 좋아함 [17] 프갤러(182.222) 01:03 114 1
2901130 AI가 만든 빌런 갤러 누가 있을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3 60 0
2901129 이제 중국에서 미세먼지 날라와도 중국탓하면 처벌될듯 [2]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50 0
2901128 국민의힘과 일기토 해서, 매일 1달에 1번 꼴로 차단당합니다. 넥도리아(14.35) 11.07 2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