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일본이 공개 안하는 한글불화 ㅇㅇ
- 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Top15…jpg 타카기양
- 트럼프 일왕한테 ‘삿대질’ … 분노한 일본인들 ㅇㅇ
- 본인.. 어제 수원에서 일일 청소부 체험한 후기 레고좋아
- 친절한 로열 네이비.jpg ㅇㅇ
- 싱글벙글 아파트 표지사기 ㅇㅇ
- (만우절 레전드) 입석 비행기 대신 좌식 비행기 카가야키501호
- 한국내전 시나리오 에솦겜다녀온 만화..manhwa kain_y
- 내가 중증 장애인이 된 이유.jpg ㅇㅇ
- 비상금 모아 컴퓨터 업글한 영포티...jpg 몸파는낙태한녀
- 싱글벙글 드디어 나온 체인소맨 대항마 차단예정
- 꿀벌 소녀 대행진(내용 김) 크로옹
- 수지snb 플러팅 미소 따라하는 오해원 ㅋㅋㅋㅋㅋ ㅇㅇ
- 경기도 성남시 풍생고등학교 교사 박정희 탕탕절 논란 ㅇㅇ
- 벽산그룹 3세 김태식, ‘이재명 비방’ 혐의 벌금형 고닉팠
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186 - 최강자 설정이 게임에서 통하는 이유
안녕, 레붕이들. 이번 186번째 시간에는 소위 '세계관 최강자'라는 식상하디 식상한 설정이 게임이라는 매체에선 여전히 현역으로 통하는 까닭에 대한 개인적인 고찰을 짧게 갈겨볼까 함.https://youtu.be/XagSEjntClsBGM: Outlaw Inferno다들 잘 알다시피, 세계관 최강자라는 설정 자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비단 게임 뿐만 아니라 영화나 만화, 드라마, 소설,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거의 모든 대중매체에서 뻔질나게 나오고,(동양권의 '도사', '절대고수', '고금제일', 서양권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 '베스트 인 더 월드' 등등.) 그런 만큼 우리에게 익숙하고, 또 오늘날에 이르러선 아예 클리셰 덩어리로까지 굳어지며 "또 세계관 최강자임?" 비아냥까지 나올 만큼 흔하디 흔한데, 왜 <레드 데드 리뎀션> 시리즈의 아서처럼 그게 게임의 경우라면 이야기가 또 달라지는지, 우리는 어째서 그 익숙하다 못해 진부하기까지 한 세계관 최강자를 조작하면서도 여전히 도취감을 느끼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음직한데, 이에 대한 까닭은 실로 단순명쾌함. 여기엔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겠으나, 필자 개인의 견해로는 게임은 구조적으로 '간접 체험'보다는 '직접 체험'에 더 가까운 특성을 지녔기 때문이라고 이해될 수 있겠음.요컨대 영화에서 우리는 어디까지나 관객, 즉 작품 속 공간과는 철저히 분리된 외부인, 방관자, 구경꾼에 불과함. 그래서 영화 속 주인공이 수십, 수백 명을 순식간에 도륙내도, "와, 쟤 존나 세네ㅇㅇ" 하는 감탄에서 끝남. 왜냐? 이는 결국 '나'가 아닌 '남'의 무용(武勇)을 눈으로 보기만 한 수준에서 끝나기 때문임. 소설이나 만화 역시 마찬가지로 우리는 그저 활자와 그림을 읽으며 내가 아닌 타인의 서사를 잠자코 추적하기만 할 뿐임.이 때문에 우리가 영화나 만화, 소설 속 주인공에게 몰입하며 동화하려고 해도, 어쩔 수 없는 구조적 거리감이란 게 있기 때문에 한계가 느껴질 수밖에 없음. 고로 주인공이 제아무리 세계관 최강자라도, '남의 힘'은 결국 남의 힘일 뿐임. 잘 봐줘도 '동경하는 타인'이지, 그게 나 자신이 아니니까. 이른바 감흥은 있으나 동화는 없는, 대리만족은 가능하지만, 그게 나의 강함으로 느껴지진 않는다 이 말임.반면 게임은 플레이어가 곧 주인공이 되는 구조라서, 같은 장면, 같은 대리만족이라도 바로 이 '내가 직접, 내 손을 거쳐서, 능동적으로 개입했다'는 게 곧 몰입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고 하겠음. 게임은 영화나 소설과는 달리, '보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아서라는 캐릭터 역시 게임이라는 매체가 지닌 이러한 구조적 특성 덕분에 '내가 아서고, 내가 바로 세계관 최강자며, 아서의 강함은 곧 나의 강함'이라는 일체감이 완성되면서, 이미 질리도록 반복되어 온 진부한 클리셰임에도 게임에서만큼은 여전히 신선하게 느껴지게 되는 것임.특히 여기엔 아서의 권능을 구현한 '데드아이' 시스템이 크게 한 몫 했지.아서는 곧 플레이어의 분신(分身), 아서의 모든 행동은 전적으로 플레이어인 내 의지에 따라 수행되기에, 이른바 '아서를 본다'가 아니라, '아서로 산다', 고로 똑같은 세계관 최강자라도, 이는 오직 게임만이 구현할 수 있는 몰입감의 깊이이며, 더구나 <레드 데드 리뎀션> 시리즈는 오픈월드 장르 게임이라 내 좆대로 무지성 대량학살을 하든, 힘없는 소상공인들을 갈취하든, 선행을 하든, '그 최강의 힘으로 뭘 할지는 전적으로 내가 결정한다'는 방종적인 자유까지 주어지니, 플레이어들은 아서라는 캐릭터에게 더더욱 깊이 도취되고 동화되는 이유이기도 하겠음. 영화, 만화, 소설의 장점을 가져오면서도,(과장된 액션, 멋진 음악과 사운드, 깊은 서사, 입체적인 인물호(캐릭터 아크) 등등.) 게임만의 독자성(상호작용, 능동적 선택 등등.)을 더한다, 그래서 필자는 게임이 다른 그 어떤 매체들보다 세계관 최강자 설정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함.자, 이번 시간에 내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임. 사실 더 쓸 게 있었는데, 내용이 좀 산만해지는 느낌이 있어서, 짧지만 이쯤에서 끊고, 다음 편에서 새로운 주제로 이어서 써 볼까 함. 금방 써서 올릴 테니, 또 보자 게이들아!
작성자 : badassbilly고정닉
디즈니의 대형 IP 겨울왕국 수입
‘겨울왕국(Frozen)’은 디즈니의 창립 9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영화다. 2013년에 1편, 2019년에 2편이 개봉했다.★ 1편 수입: 약 1조 6천억원 ($1.28 billion / 환율 1300원 기준)★ 2편 수입: 약 1조 8천억원 ($1.45 billion)★ 한국 관객 수: 1편 1,030만명 / 2편 1,216만명현재까지 겨울왕국이 올린 수입은 약 18조 7백억원(139억 달러 / 환율 1300원 기준)이다. 전체 수입 중 상품(Merchandise / 엘사 등 캐릭터들의 의류, 인형, 장난감, 집(실내) 장식 등) 판매로 올린 수입이 약 13조원으로 영화 티켓 수입보다 훨씬 많다. ★ 18조원이 끝이 아니다!! 2027년 11월에 겨울왕국 3편이 개봉될 예정이다.★ 겨울왕국 4편은 2028년 또는 2029년에 개봉이 예상되고 있다.[미디어 프랜차이즈]는 하나의 원작 콘텐츠를 영화, 드라마, 게임, 소설, 캐릭터 상품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하여 수입을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하나의 성공적인 지식재산(IP)을 기반으로 여러 미디어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배급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이다.전세계 미디어 프랜차이즈 TOP 30 (환율 1,300원 기준)#1 포켓몬스터 147조원 ($113.7bn)#2 미키마우스 & 프렌즈 79조원 ($61.2bn)#3 곰돌이 푸 65조원 ($50.2bn)#4 스타워즈 60조원 ($46.7bn)#5 디즈니 프린세스 59조원 ($45.4bn)#6 앙팡맨(호빵맨) 49조원 ($38.4bn)#7 바비 47조원 ($36.3bn)#8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45.7조원 ($35.2bn)#9 위저딩 월드(해리포터) 45.1조원 ($34.7bn)#10 헬로키티 43조원 ($33.5bn) #11 콜 오브 듀티 40.3조원 ($31bn)#12 배트맨 40조원 ($30.8bn)#13 스파이더맨 34조원 ($26.8bn)#14 트랜스포머 32조원 ($25bn)#15 던전 파이터 온라인(DFO) 28조원 ($22bn)#16 카(Cars) 27조원 ($21.5bn)#17 캔디 크러쉬 사가 26조원 ($20bn)#18 루니 툰 22.69조원 ($17.46bn)#19 틴에이지 뮤턴트 닌자 거북이 22.62조원 ($17.4bn)#20 라이온 킹 20.6조원 ($15.9bn)#21 도라 디 익스플로러 20.5조원 ($15.8bn)#22 팩맨 20조원 ($15.43bn)#23 토이 스토리 19조원 ($14.8bn)#24 피너츠 18.7조원 ($14.4bn)#24 퍼피 구조대(PAW Patrol) 18.7조원 ($14.4bn)#26 어벤저스 18.5조원 ($14.3bn)#27 겨울왕국 18.07조원 ($13.9bn)#27 스페이스 인베이더 18.07조원 ($13.9bn)#29 네모바지 스폰지밥(SpongeBob SquarePants) 17.8조원 ($13.7bn)#30 워크래프트 16.1조원 ($12.4bn)자세한 순위 및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서 볼 수 있음.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media_franchises (이미지 출처)https://www.amazon.com/Disneys-Frozen-Double-Feature-Glossy/dp/B09WSN986N https://variety.com/2024/film/box-office/frozen-3-release-date-thanksgiving-2027-1236105394/https://screenrant.com/frozen-3-4-release-development-update-relief/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