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몇명 이상 모여야 뇌가 그 집단을 사람이 아닌 사물로 인지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8.10 05:14:19
조회 92 추천 0 댓글 0

뇌과학적으로 사람이 몇명 이상 모여야 뇌가 그 집단을 사람이 아닌 사물이나 개념으로 인지하나

챗지피티
흥미로운 질문이에요! 사람이 몇 명 이상 모여야 ‘집단’으로 인식하면서, 뇌가 그 집단을 ‘사람’이 아니라 ‘사물’이나 ‘개념’으로 인지하는지에 관한 뇌과학 연구는 명확한 숫자 기준이 딱 정해져 있지는 않아요. 하지만 관련된 심리·뇌과학적 개념과 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

1. 인간 뇌가 ‘사회적 집단’을 인지하는 방식

인간 뇌는 사회적 뇌라고 불릴 만큼,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뇌는 ‘개인’과 ‘집단’을 구분하는 능력이 있고, 집단의 크기나 맥락에 따라 인지 방식이 달라집니다.



---

2. 인간 집단 인지와 ‘마음 이론’(Theory of Mind)

소수의 사람(예: 2~5명)은 개별적인 ‘마음’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여 각각의 감정, 의도, 생각을 구분해서 이해.

집단이 커질수록(약 150명 이상) 개인 개별 인식보다는 ‘집단’이라는 하나의 단위나 개념으로 뇌가 처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150명 정도 규모는 **“던바의 숫자(Dunbar’s number)”**로 불리며, 인간이 사회적으로 안정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최대 인원수로 알려져 있습니다.



---

3. 던바의 숫자와 집단 인지

던바의 연구에 따르면, 약 150명을 넘어서면 개인별로 세세하게 인지하기 어려워지고, 뇌는 그 집단을 추상적인 개념, 집단 혹은 ‘사물’처럼 인지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즉, 뇌는 150명 이상부터는 ‘사람’ 개별보다 ‘집단’이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처리한다 볼 수 있어요.



---

4. 뇌 영역 관련 연구

소규모 집단 인지 시에는 **측두엽(temporal lobe)**과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등에서 개별 사람의 행동과 마음을 분석하는 신경 활동이 활발.

대규모 집단에 대해선 **두정엽(parietal lobe)**과 **내측 전전두엽(medial prefrontal cortex)**이 집단 정체성, 규범, 개념적 사고를 담당하며, 개인보다는 집단 단위로 인식.

뇌는 정보 처리 한계 때문에 크고 복잡한 집단을 ‘하나의 덩어리’ 또는 ‘개념적 단위’로 효율적으로 인지하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

5. 요약

인원수 인지 방식

2~5명 개별 인간 인지, 마음 이론 작동
5~50명 개인과 집단을 혼합 인지, 친밀도에 따라 차이
50~150명 집단 단위 인지 시작, 개별 인지 한계 증가
150명 이상 집단을 추상적 개념이나 하나의 단위로 인지



---

결론

사람 뇌가 ‘사람’이 아닌 ‘사물’ 또는 ‘개념’으로 집단을 인지하기 시작하는 경계는 약 150명 전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뇌의 인지 처리 한계와 사회적 관계 유지 능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확한 수치는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

궁금한 점 있으면 더 구체적인 뇌과학적 설명이나 사회심리학적 사례도 알려드릴게요!

던바의 수 150명에 대한 비판적 연구

던바의 숫자(약 150명)가 인간 사회적 관계의 인지적 한계라는 주장은 매우 영향력 있지만, 여러 면에서 비판과 재검토가 있었습니다. 비판적 연구들을 정리해 드릴게요.


---

1. 던바의 숫자 개념 요약

로빈 던바(Robin Dunbar)는 인간 두뇌의 신피질 크기와 사회집단 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인간이 안정적이고 친밀한 사회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인원수가 약 150명이라고 제안함.

이 숫자는 소규모 부족 사회부터 현대 사회까지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고 주장.



---

2. 비판 및 한계

(1) 사회적 관계의 복잡성과 질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

던바의 숫자는 단순히 ‘사회적 관계 수’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관계의 질과 종류가 매우 다양함.

예를 들어,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 관계 유형별로 다르게 인지될 수 있고, 이들 모두를 ‘150명’에 동일선상에서 집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


(2) 문화와 환경 차이 무시

던바의 연구는 주로 서구 및 일부 문화권에 기반한 데이터에 의존.

다른 문화권, 특히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사회관계의 폭과 깊이가 달라 던바 숫자가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음.


(3)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변화

SNS, 온라인 커뮤니티 등 디지털 매체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물리적 만남 없이도 수백~수천 명과 관계를 유지하거나 인지하는 사례가 늘어남.

이에 따라 인지적 한계가 확장되었거나, ‘관계’의 정의 자체가 변했다는 주장도 있음.


(4) 신피질 크기와 사회 규모의 단순 상관 관계 문제

던바는 영장류 뇌 크기와 사회 집단 크기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했으나, 인간의 경우 복잡한 사회·문화적 요인이 크게 작용해 단순한 뇌 크기 지표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견해.


(5) 집단 규모는 유동적이고 상황에 따라 다름

인간이 맺는 사회관계 수는 개인의 성격, 직업, 사회적 역할, 환경 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짐.

따라서 고정된 숫자 150명보다 ‘관계의 다층 구조’(core, casual, peripheral 관계 등)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의견.



---

3. 최근 연구 경향

사회적 관계를 단일 숫자로 정의하기보다는, 관계의 다양성, 질, 매체별 소통 방식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연구가 늘고 있음.

예를 들어, 친밀한 핵심 관계는 소수(5~15명)로 유지하면서, SNS 등을 통해 넓은 주변 인맥(수백 명)도 인지하는 복합적 사회망 모델 제시.

뇌영상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 처리와 관련된 뇌 영역이 다양하고 유연하게 작동한다는 점을 강조.



---

4. 결론

찬성 입장 비판 입장

뇌 신피질 크기와 사회관계 수에 상관관계 있음 관계의 질과 문화적 차이 무시
약 150명 정도가 안정적 사회관계 유지 한계 디지털 시대 관계 개념 변화, 고정 숫자 부적절
사회적 뇌 가설의 대표적 근거 단순 상관관계 넘어선 복합적 사회현상 필요



---

필요하면 던바 숫자와 관련된 구체적 연구 논문이나, 디지털 시대 사회관계 변화에 관한 최신 연구 자료도 소개해 드릴 수 있습니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대물보다 사극에서 더 빛나는 남자 배우는? 운영자 25/09/08 - -
AD 신학기 레벨업~!! 운영자 25/09/05 - -
2883680 Nimf의 역사) 러빨러가 나를 비난하는 이유: 나르시시즘적 분노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93 0
2883679 Ada의 신뢰성과 안전성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112 0
2883678 러스트 쓰면 안 되는 이유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75 0
2883676 서버 방식 다국어 IME 만들 줄이나 아냐?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8 0
2883675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Ar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68 0
2883674 청년세대가 극좌 기득권에 분노하는 이유 ♥냥덩Ar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5 0
2883673 친중매국 이재명 때문에 IMF 경제공항 오는즁;; [2] ♥냥덩Ar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96 0
2883672 ㅋㅅㅋ ♥냥덩Ar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72 0
2883671 끙야기운 오다가셧당 ♥냥덩Ar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70 0
2883670 물로켓 시절에 ime 하나 만든거 가지고 벗어나질 못하는구나. [2] 프갤러(110.8) 08.23 112 0
2883668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Ar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3 0
2883667 ㄹㅇ 요즘 짱깨 맛 없더라 ♥냥덩Ar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5 0
2883665 피해자없길바란다 프갤러(211.253) 08.23 103 0
2883664 이종각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2 0
2883663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77 0
2883662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90 0
2883661 플머의 유일한 장점은 국가에 제한받지 않는다는거 아니겟냐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97 0
2883660 Ada와 Rust는 그 점에서 흥미로운 대조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6 0
2883659 착 달라붙는 흰 티 입은 여자들 볼때마다 예쁘네 메쿠이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91 0
2883658 프외자 이사람 ㄹㅇ 진짜 인생이 궁금함 ㅇㅇ(211.176) 08.23 130 0
2883657 도미노피자 예약 주문햇다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117 0
2883655 외국년 소주먹이고 반응 ㅇㅇ ㅇㅇ(58.229) 08.23 121 0
2883653 r&d예산 세계최고 또 증액 경재성장률은 씹운지 ㅋㅋㅋㅋ 뒷통수한방(1.213) 08.23 76 0
2883651 아마 2026년즘 Ada로 만든 Nimf 출시 예정이시다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8 0
2883649 IME(입력기)도 아키텍쳐가 얼마나 중요한데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102 0
2883647 역시 러스트로는 대규모 플젝 못해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93 0
2883646 뭐 대단한거 만든다고 아키텍처를 따지냐? 대충 해라 [1] 프갤러(110.8) 08.23 122 0
2883645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2 0
2883644 좋은 일본노래 듣고갑시다 프로외노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109 0
2883642 제 조립 릴스 보심? 방금 인스타그램. 넥도리아(223.38) 08.23 79 0
2883641 아키텍쳐 설계는 기술보단 노하우임 에이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88 0
2883640 초보가 가장 많이 격는 노드 에러 정리 프갤러(121.133) 08.22 97 0
2883639 그냥 달리고 걸어... 재활용. [1] 넥도리아(223.38) 08.22 97 0
2883637 구름 뭐냐 그냥 연기지. 넥도리아(222.233) 08.22 83 0
2883636 요즘 술 안먹는사람들 존나 많아진듯 ㅇㅅㅇ 유전자가 약해졌나 ㅇㅇ(124.60) 08.22 84 0
2883635 ㅆㅇㅆ이랑 술마시고 싶다 [5]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185 0
2883634 일이 다 일이지 그냥 돈벌이여 프갤러(61.79) 08.22 84 0
2883633 개발 어느정도 짬 먹은 애들은 [7] 루도그담당(58.239) 08.22 170 0
2883631 컴공애들 존나불쌍하네 [2] ㅇㅇ(223.38) 08.22 182 0
2883627 헬조센에선 헬조센대로 생존법이 있다 프갤러(61.79) 08.22 85 0
2883626 컴퓨터랑 섹스하시기 위해 [1] 루도그담당(58.239) 08.22 97 0
2883625 여자랑 이야기 해본지 약 9년전 [4] ㅆㅇㅆ(124.216) 08.22 140 0
2883624 근데 확실히 LLM 쓰기 시작하면서 아키테쳐적으로 시각이 바뀜 [4] ㅆㅇㅆ(124.216) 08.22 141 0
2883623 유튜브댓글에 수학으로 선민사상 느끼는 놈들 많네 [2] ㅇㅇ(106.102) 08.22 111 0
2883622 아키텍쳐에 정답은 없고 그순간의 답이 있을뿐 [3] ㅆㅇㅆ(124.216) 08.22 144 0
2883621 firebase studio 덕분에 갤럭시10울트라로 개발 쉬워짐... 프갤러(121.128) 08.22 110 0
2883620 밑에 아키텍쳐 논쟁 딱 알려준다 [3] ㅆㅇㅆ(124.216) 08.22 126 0
2883619 넥슨 이 새끼들 소름이구나 루도그담당(58.239) 08.22 119 0
2883617 회사에서 아키텍쳐 설계 논쟁 있었는데 [16] 프갤러(39.117) 08.22 214 0
2883616 요 최근에 부업으로 바이브 코더들 구현 막힌거 고쳐주면서 사는데 [2] ㅆㅇㅆ(124.216) 08.22 141 0
뉴스 이펙스, 2년 연속 日 역대급 패션 페스타 Mynavi TGC 2025 A/W 무대 성료! 글로벌 파급력 증명 디시트렌드 09.0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