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Ada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앱에서 작성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8.05 11:08:09
조회 116 추천 0 댓글 0

# 제14장 에이다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14.1 서론: 명령형 언어와 함수형 패러다임의 조화

에이다(Ada)는 전통적으로 구조적, 명령형(Imperative)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기반을 둔 언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상태(State)를 변경하는 문장(Statement)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러나 에이다는 버전이 발전하면서, 특히 Ada 2012 표준 이후로 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 FP)의 여러 강력한 기능과 개념을 도입하여 두 패러다임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에이다의 목표는 하스켈(Haskell)이나 리스프(Lisp)와 같은 순수 함수형 언어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원칙인 **불변성(Immutability)**, **순수성(Purity)**, **표현식 기반 연산(Expression-based operation)** 등을 통해 코드의 명확성을 높이고, 부수 효과(Side Effect)를 최소화하여 프로그램의 신뢰성과 예측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장에서는 에이다에 내장된 주요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능들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여 어떻게 더 견고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지 논의합니다.

## 14.2 주요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능

### 14.2.1 표현식 함수 (Expression Functions)

Ada 2012에서 도입된 표현식 함수는 함수 본문을 단일 표현식(Expression)으로 정의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기존의 `begin-end` 블록과 `return` 문을 사용하는 방식보다 훨씬 간결하며, 함수의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냅니다.

**기존 방식:**

```ada
function factorial (n : in Natural) return Positive is
begin
   if n = 0 then
      return 1;
   else
      return n * factorial (n - 1);
   end if;
end factorial;
```

**표현식 함수 방식:**

```ada
function factorial (n : in Natural) return Positive is
  (if n = 0 then 1 else n * factorial (n - 1));
```

이처럼 표현식 함수는 함수의 동작이 '무엇을 계산하여 반환하는가'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함수형 스타일의 핵심입니다.

### 14.2.2 조건부 표현식 (Conditional Expressions)

표현식 함수와 더불어,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조건부 표현식(`if` 및 `case` 표현식)은 함수형 스타일을 강력하게 지원합니다. 문장이 아닌 표현식이기 때문에 다른 표현식 내부에 자연스럽게 포함될 수 있습니다.

```ada
-- if 표현식을 사용하여 변수 초기화
grade_message : constant String :=
  (if score >= 90 then "Excellent"
   elsif score >= 70 then "Good"
   else "Needs Improvement");

-- case 표현식을 사용하여 상수 정의
SECONDS_IN_DAY : constant Natural := 24;
day_type : Day_Of_Week := get_current_day ();

hours_in_day : constant Natural :=
  (case day_type is
      when Saturday | Sunday => 12, -- 주말 특별 근무 시간
      when others           => SECONDS_IN_DAY);
```

이 기능은 변수나 상수의 값을 결정하는 로직을 선언과 동시에 한 곳에서 처리하게 하여, 불필요한 상태 변경을 줄이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입니다.

### 14.2.3 고차 함수와 서브프로그램 접근 타입 (Higher-Order Functions and Access-to-Subprogram Types)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함수를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거나, 함수의 반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차 함수(Higher-Order Functions)\*\*입니다. 에이다는 \*\*서브프로그램 접근 타입(Access-to-Subprogram Types)\*\*을 통해 이를 지원합니다.

이는 C/C++의 함수 포인터와 유사한 개념으로, 서브프로그램(프로시저 또는 함수)의 '주소'를 저장하고 전달할 수 있게 합니다.

아래는 정수 배열의 모든 요소에 특정 연산을 적용하는 제네릭 `map` 프로시저의 예시입니다.

```ada
with Ada.Text_IO;

procedure Functional_Example is

   -- 정수 배열 타입 정의
   type Integer_Array is array (Integer range <>) of Integer;

   -- 고차 함수(Map)를 포함하는 제네릭 패키지
   generic
      type Index_Type is (<>);
      type Element_Array is array (Index_Type) of Integer;
      -- 함수 '포인터' 타입: Integer를 받아 Integer를 반환
      with function process (item : in Integer) return Integer;
   procedure generic_map (data : in out Element_Array);

   -- 제네릭 구현
   procedure generic_map (data : in out Element_Array) is
   begin
      for i in data'range loop
         data (i) := process (data (i));
      end loop;
   end generic_map;

   -- 적용할 함수 1: 각 요소에 2를 곱함
   function double (item : in Integer) return Integer is (item * 2);

   -- 적용할 함수 2: 각 요소를 제곱함
   function square (item : in Integer) return Integer is (item * item);

   -- 'double' 함수를 적용하는 map 프로시저 인스턴스화
   procedure map_double is new generic_map (
      Index_Type    => Integer,
      Element_Array => Integer_Array,
      process       => double'access); -- 'access 속성으로 함수 참조 전달

   -- 'square' 함수를 적용하는 map 프로시저 인스턴스화
   procedure map_square is new generic_map (
      Index_Type    => Integer,
      Element_Array => Integer_Array,
      process       => square'access);

   my_data : Integer_Array := (1, 2, 3, 4, 5);

begin
   Ada.Text_IO.Put_Line ("Original Data: " & my_data'Image);

   map_double (my_data);
   Ada.Text_IO.Put_Line ("After Doubling: " & my_data'Image);

   -- Reset data
   my_data := (1, 2, 3, 4, 5);
   map_square (my_data);
   Ada.Text_IO.Put_Line ("After Squaring: " & my_data'Image);
end Functional_Example;
```

이 예제에서 `generic_map`은 데이터 구조와 그 데이터를 처리할 동작(`process` 함수)을 분리함으로써 코드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합니다.

### 14.2.4 불변성 (Immutability)

불변성은 데이터가 생성된 후에 그 상태가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이다는 `constant` 키워드를 통해 강력한 불변성 지원을 제공합니다. 함수형 스타일에서는 부수 효과를 없애기 위해 가능한 한 모든 변수를 상수로 선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ada
-- 컴파일 타임 상수
MAX_CONNECTIONS : constant Positive := 100;

-- 런타임에 값이 결정되는 상수
start_time : constant Ada.Real_Time.Time := Ada.Real_Time.Clock;
final_message : constant String := "Process completed at " & start_time'Image;
```

상수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절대 변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어, 코드의 동작을 이해하고 예측하기가 훨씬 쉬워집니다.

### 14.2.5 순수성 (Purity)

순수 함수(Pure Function)는 부수 효과가 없고, 동일한 입력에 대해 항상 동일한 출력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에이다는 `pragma Pure`를 통해 패키지나 서브프로그램이 순수하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순수 패키지는 전역 변수나 상태를 변경할 수 없으며, 주로 안전이 중요한(Safety-Critical) 시스템에서 공유되는 상수나 타입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더 나아가, 계약 기반 설계(Design by Contract)를 위한 `Pre` 및 `Post` 애스펙트(Aspect)를 사용하여 함수의 동작을 명시적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특히 `Post` 조건은 함수의 반환 값이 오직 입력 값에 의해서만 결정됨을 명시하여 순수성을 강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ada
function is_even (value : in Integer) return Boolean with
  Post => (is_even'Result = (value mod 2 = 0));
-- Post 조건은 이 함수의 결과가 오직 입력 'value'에만 의존함을 보여준다.
```

## 14.3 함수형 스타일의 장점

에이다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채택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신뢰성 및 예측 가능성**: 불변성과 순수성은 부수 효과를 제거하여 코드의 동작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쉽게 만듭니다. 이는 동시성 프로그래밍에서 특히 중요하며, 경쟁 상태나 데드락과 같은 문제를 원천적으로 줄여줍니다.
  * **가독성 및 간결성**: 표현식 함수와 조건부 표현식은 복잡한 로직을 더 적은 코드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재사용성**: 고차 함수는 특정 데이터 타입에 종속되지 않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예: `map`, `filter`, `fold`)을 작성할 수 있게 하여 코드의 재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테스트 용이성**: 순수 함수는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입력과 출력만 검증하면 되어 단위 테스트(Unit Test)가 매우 간단해집니다.

## 14.4 결론

에이다는 순수 함수형 언어는 아니지만,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견고한 기반 위에 함수형 패러다임의 주요 장점들을 성공적으로 통합했습니다. 표현식 함수, 조건부 표현식, 고차 함수, 그리고 불변성 및 순수성에 대한 강력한 지원은 개발자가 더 안전하고, 명확하며,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단순히 언어적 편의를 넘어, 에이다의 핵심 철학인 **신뢰성(Reliability)** 과 **정확성(Correctness)** 을 달성하기 위한 실용적인 도구입니다. 따라서 현대 에이다 개발자는 명령형 스타일과 함수형 스타일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문제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솔루션을 구축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존재만으로도 웃음주는 최고의 '웃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8/25 - -
2880769 코테 문제 사이트 요즘 뭐가 좋아?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367 0
2880768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63 0
2880767 나님 왤케 특별한걸깡?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65 0
2880766 윈도우ui개발에서 중요한건 xaml같은 퍼블리싱이아님 네오커헠(211.234) 08.12 114 0
2880765 김건희를 보면 한녀들의 표독한 뒷모습을 알 수 있다 [5]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120 0
2880763 프갤 글젠이 처참하군요 [5] 루도그담당(211.184) 08.12 101 0
2880762 자러 감 잇다바 바바이~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59 0
2880761 요즘 asp.net도 vscode로 가르치더라 [4]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113 0
2880759 다리 몰카.ㅇㅅㅇ [1]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86 0
2880758 요즘 신입들 실력 어떰?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234 0
2880757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66 0
2880756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63 0
2880754 위안부 할머니들을 등쳐먹은 범죄자 극좌 윤미향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81 0
2880753 얘들아 깃헙 기여부탁행 [1] (119.202) 08.12 93 0
2880752 국제범죄조직 짱깨에 영혼을 판 친짱매국좌파들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74 0
2880734 선선하구낭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57 0
2880715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75 0
2880703 Ada 프로그래밍 명저를 만들 겁니다.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95 0
2880699 원점으로 되돌아가 Ada 책 목차 작성부터 다시하고 있습니다.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66 0
2880689 Ada 프로그래밍: 4.2.6 고급 반복자: 간략한 개요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108 0
2880687 Ada 프로그래밍: 4.2.5 병렬 루프 (Ada 202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101 0
2880685 Ada 프로그래밍: 4.2.4 루프 이름짓기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70 0
2880683 Ada 프로그래밍: 4.2.3 for 루프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110 0
2880678 vscode가 심각한 버그가 많구나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94 0
2880667 GPT 5 모델도 아첨이 너무 심하다 [1] ㅆㅇㅆ(124.216) 08.12 96 0
2880633 노트북으론 대규모 프로젝트 빌드가 안되네 프갤러(58.29) 08.12 79 0
2880602 라이브러리 만들었는데 평가해줄 프갤형 구함 프갤러(222.233) 08.12 102 3
2880601 와 생활비 다떨어졌는데 석사 논문 그래프 의뢰 겨우 받았다 ㅆㅇㅆ(124.216) 08.12 89 0
2880583 서울대 10개 만들기 한국대학교 서울 제 1 대학교 매머드 캠퍼스!# 프갤러(168.126) 08.12 104 1
2880580 개발자에게 정신병은 훈장과같다 [1] ㅇㅇ(211.234) 08.12 83 0
2880577 코테 준비하려면 어케 해야 하나? 프갤러(211.177) 08.12 359 0
2880565 그까짓 이유는 자바를 깔 이유가 못됩니다 [1]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122 0
2880562 근데 프로그래밍 하다보면 어차피 남도 잘 모르고 나도 잘 몰라서 [1] ㅆㅇㅆ(124.216) 08.12 123 0
2880559 블로그 쓰다보면 겸허해짐 [4]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125 0
2880548 애초에 MSA의 서비스는 도메인 단위의 독립 애플리케이션을 뜻함 [7] ㅆㅇㅆ(124.216) 08.11 142 0
2880546 애새끼들이 흔히 착각하는게 MSA의 서비스와 서비스 레이어의 서비스는 ㅆㅇㅆ(124.216) 08.11 92 0
2880545 요즘 중국에 대해 공부 중이다 [6]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124 0
2880541 항상 느끼지만 타스, 자스는 npm 빌드가 너무 힘들다 ㅆㅇㅆ(124.216) 08.11 78 0
2880521 asp.net core 사용중이시다. [2] 루도그담당(58.239) 08.11 82 0
2880517 이번에 nest.js로 서비스 여러개 묶어서 플랫폼 만드는거 의뢰받아서 [8] ㅆㅇㅆ(124.216) 08.11 131 0
2880516 자바는 일관성이 없는게 좆같음 루도그담당(58.239) 08.11 101 0
2880505 자바프로젝트 폴더 구시대의 닷컴버블의 잔재 아니냐? [2]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100 0
2880498 아래 대우 글 보니 드는 생각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87 0
2880494 트럼프 경제안보 수탈 반대 1만인 선언 서명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63 0
2880491 힙합 갤러리 작명 글 보니 드는 생각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70 0
2880490 얼굴에 문신했던 20대男, 결국 다 지운 이유는?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58 0
2880488 내가 자바를 극혐하는 이유. [3] 프갤러(59.16) 08.11 140 0
2880487 회사가 망해서 진짜 대리 운전 해야하네 ㅠㅠ [1] 프갤러(106.102) 08.11 115 0
2880485 아니 ㅅㅂ 대우 안한다 생각하면 ㅅㅂ 알아서 좀 잘해 프갤러(211.234) 08.11 141 0
2880484 아무에게도 방해받기 싫은 나님만의 소중한 시간⭐+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55 0
뉴스 김종국, ‘런닝맨’서 결혼 발표…송지효 ‘울컥’하며 한 말은 디시트렌드 08.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