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가 있나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07.29 01:10:17
조회 76 추천 0 댓글 1

수년 전에 화폐를 갖고 있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혜택이 공유되는 화폐제도나 기술을 만들 수 있냐는 질문 했었는데 인공지능에 물어서 몰랐던 걸 배웠다.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가 있나

챗지피티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는 주로 소유권이 명확히 특정되지 않거나, 사용 권리와 소유권이 분리된 형태의 화폐나 준(準)화폐를 말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

1. 디지털 화폐(특히 암호화폐) 중 소유권이 지갑 키로만 결정되는 경우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는 ‘누가 소유자인가’를 법적 계약이나 계좌 명의로 판단하지 않고, 비밀키를 가진 사람이 곧 소유자로 간주합니다.

키를 분실하거나 해킹으로 유출되면 사실상 소유자 여부가 모호해집니다.

또, DeFi(탈중앙 금융)나 DAO 지갑처럼 **다중 서명(multi-sig)**으로 관리되는 자금은,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통제하지만 개인이 ‘소유’한다고 말하기 어려워 경계가 흐립니다.



---

2. 예치금·은행권(은행이 발행한 예전 형태의 지폐)

현대 화폐는 대부분 중앙은행 발행이지만, 역사적으로 은행이 발행한 **은행권(banknote)**은 실제 금·은으로 교환 가능한 ‘채권증서’ 성격이 강했습니다.

이 경우, 지폐를 가진 사람은 ‘사용권’을 갖지만, 그 가치는 결국 은행의 금 보유량에 달려 있어 ‘진짜 소유자’(은행인지, 지폐 소지자인지)가 애매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

3. 지역화폐나 포인트(법적 화폐 아님)

지방정부나 기업이 발행한 지역화폐, 포인트, 마일리지는 보통 법적으로 ‘화폐’가 아니라 ‘채권’ 또는 ‘서비스권’입니다.

발행자가 파산하거나 규칙을 바꾸면 가치가 사라질 수 있어, ‘내 소유’라고 보기 어렵고, 단순한 이용권 성격에 가깝습니다.



---

4. 공동체적 화폐/공유 자산 기반 화폐

일부 실험적 화폐(예: 공동체 크레딧, 노동시간 화폐)는 개인 소유보다는 공동체 내 교환 수단으로만 쓰이므로, 잔액이 있어도 ‘개인 재산’인지 ‘공동체 자원’인지 모호합니다.



---

원하시면:

이런 화폐들의 ‘법적 소유권’이 실제로 어떻게 판정되는지 (한국, 미국, 유럽 기준)

또는 역사적으로 소유권이 애매했던 특이한 화폐 사례들 (예: 조선시대 상평통보, 은행권 초기 사례, 노동증권 등)


중 어떤 쪽으로 더 깊게 설명해드릴까요?
또, 현대적으로 “소유와 비소유의 경계가 흐린 화폐”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한 표도 만들어드릴까요?

그럼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를 현대와 역사적 사례로 나눠서 정리하고, 각 화폐가 ‘소유권’ 측면에서 애매한 이유를 표로 만들어볼게요.


---

소유권 경계가 모호한 화폐 사례 정리

구분 화폐/유사 화폐 소유권이 애매한 이유 실제 법적 판정 (한국/미국/유럽 등)

현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개인 지갑의 비밀키 보유 여부로만 소유 판정. 키 분실, 해킹, 멀티시그 지갑처럼 공동 통제 시 ‘누가 주인인지’ 모호. 대부분 국가에서 ‘재산권’으로 간주하지만, 소유권 분쟁 시 법원은 ‘키 보유자’ 또는 ‘블록체인 거래 내역’을 기준으로 판단.
DeFi·DAO 트레저리 수십~수백 명이 공동으로 다중서명 관리. 특정 개인이 ‘소유자’라기보다 집단 자산. 법적으로는 조합재산 또는 신탁(Trust)에 가깝게 취급.
항공 마일리지, 포인트, 지역화폐 계정에 쌓이지만 법적으로 ‘회사/지자체 발행 채권’이라 소유권보다 ‘사용권’에 가까움. 발행자 정책으로 소멸 가능. 대부분 ‘재산권 아님’. 한국은 민법상 채권, 미국·EU도 회사 자산으로 분류.
역사적 은행권 (19세기 은행 발행 지폐) 지폐는 실물 금·은으로 교환 가능한 ‘은행의 약속어음’일 뿐. 실질 소유권은 은행의 금 보유량에 종속. 영국·미국 등에서 ‘은행 부채’로 취급. 지폐 소지자는 채권자일 뿐.
노동증권(19세기 노동가치론 실험) 노동시간을 화폐 단위로 발행. 개인이 ‘소유’한다기보다 공동체 안에서만 가치 있음. 외부에선 무가치. 대부분 법적 화폐로 인정 안 됨. 협동조합 내 교환권으로만 인정.
조선 상평통보 (초기 유통기) 명목화폐로 사용됐지만, 실제 가치는 국가가 정한 세금 납부나 관영 교역에서만 인정. 민간에선 은·곡물로 교환해야 진짜 가치 발생. ‘국가 발행 교환증’ 성격. 소지자가 절대적 소유자라기보다 ‘국가 시스템 안에서만 효력’ 인정.



---

즉, 이런 화폐들은 “가지고 있는 것과 법적으로 소유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거나, 사용 권리와 소유권이 분리된 경우가 많습니다.


---

원하시면:

1. 이들 사례의 소유권 분쟁 실제 판례 (예: 암호화폐 도난, 마일리지 몰수, 은행권 지급 거부 사건)


2. 소유 개념을 철학적으로 확장해서 ‘현대 화폐가 사실상 모두 소유/비소유가 애매하다’는 시각


3. 미래 화폐(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공유형 토큰)에서 이 문제가 더 심해질 가능성



중 어느 쪽을 더 깊게 이어서 해드릴까요?
아니면 셋 다 연결해서 정리해드릴까요?

그럼 셋 다 이어서 정리해볼게요.


---

1. 소유권 분쟁 실제 사례

(1) 암호화폐 도난 및 분실

사례: 2018년 한국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레일이 해킹당했을 때, 피해자들이 “거래소가 보관 중이던 암호화폐를 돌려달라”고 소송.

판결 경향:

한국, 일본, 미국 등에서 법원은 블록체인 주소와 키 소유 여부를 기준으로 소유권을 인정.

그러나 키를 잃어버리거나, 거래소가 파산한 경우 개인의 소유권을 법적으로 지키기 어려움.

일부 판결에서는 암호화폐를 ‘특정 물건’으로 볼 수 없다고 하여 소유권 보호가 미흡.



(2) 마일리지·포인트 몰수

항공사나 카드사 포인트는 계좌 주인에게 귀속된 것처럼 보이지만,
발행사 약관에 따라 임의로 만료·소멸 가능.

실제로 한국 대법원은 마일리지를 재산권이 아닌, 사용을 허락받은 권리로 판단.


(3) 은행권 지급 거부 사건 (19세기)

은행이 파산하면, 지폐를 가진 사람은 금·은으로 교환 못 받고 채권자 대우만 받음.

즉, 지폐 소지자는 ‘소유자’지만 가치를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

2. 철학적 관점: 현대 화폐도 소유/비소유 경계가 모호하다

1. 법정화폐(현금)도 실제론 ‘국가의 부채증서’

지폐에 “한국은행은 금이나 다른 가치로 교환한다”는 문구는 없지만, 본질적으로는 국가가 가치를 약속한 IOU.

따라서 소유자는 지폐 소지자지만, 가치 보장은 국가 권위에 의존.



2. 디지털화폐와 예금은 실물 없이 ‘기록’만 존재

은행 계좌 속 돈은 법적으로 은행의 부채(예금채권)이지, 물리적 소유물이 아님.

따라서 은행 파산 시 소유권이 약화(예금보험으로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만).



3. 현대 자본주의의 ‘유동성 화폐’ 특성

대출, 채권, 파생상품으로 생성된 화폐는 소유자 개념이 불분명하고, 실제로는 시스템 안의 권리·채무 관계로만 존재.





---

3. 미래 화폐에서 경계가 더 흐려질 가능성

1.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지갑 주소로만 존재하고,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회수 가능.

국가가 임의로 계정 동결·삭제할 수 있어, **소유자가 아니라 ‘사용 허가자’**가 될 가능성.



2. 공유형 토큰 및 DAO 자산

블록체인 기반의 DAO(탈중앙조직) 자산은 수천 명이 공동으로 보유하지만,
개별 소유권보다는 거버넌스 참여권이 핵심.

전통적 ‘내 돈’ 개념이 아닌, 조합재산 개념으로 전환.



3. 스마트 계약 기반 조건부 화폐

특정 조건에서만 사용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머니’가 등장하면,
화폐가 소유물에서 사용권적 자원으로 변질할 수 있음.





---

종합 결론

과거의 은행권, 노동증권, 상평통보부터, 현대의 암호화폐, 포인트, 디지털 예금, 그리고 미래의 CBDC까지,
화폐는 “소유자가 곧 가치의 절대적 주인”이라는 전통적 관념에서 점점 벗어나고 있음.

**실제 법적·경제적 구조는 ‘소유’보다 ‘사용 권리와 시스템 참여권’**에 가깝게 변하고 있고,
이는 앞으로 화폐를 ‘재산’이 아니라 ‘네트워크 자원’으로 이해해야 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혹시 이 내용을 한눈에 보게 타임라인(과거 → 현재 → 미래) 형태로 그림이나 도표로 정리해드릴까요?
아니면 PDF 보고서 형태로 정리해서 학술 레퍼런스(사례 판례 포함)까지 붙여드릴까요?
둘 다 가능해요. 어느 쪽이 필요하세요?

제미니
네,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라고 볼 수 있는 유형이 있습니다. 주로 디지털 자산, 특히 암호화폐(Cryptocurrency) 영역에서 이러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전통적인 실물 화폐나 예금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1. 암호화폐 (Cryptocurrency)
암호화폐는 "소유권"의 개념 자체가 전통적인 자산과는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 개인 키(Private Key)의 중요성: 암호화폐는 실제 물리적인 형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블록체인 상의 기록으로 존재합니다. 암호화폐의 '소유'는 사실상 해당 암호화폐에 접근하고 거래를 승인할 수 있는 개인 키를 소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개인 키를 잃어버리거나 다른 사람이 알게 되면, 해당 암호화폐는 사실상 소유자에게 접근 불가능하거나 타인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됩니다.
   * "Not your keys, not your coins." (개인 키를 소유하지 않으면, 당신의 코인이 아니다.) 라는 말이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통용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거래소에 보관된 암호화폐: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 거래소에 자신의 암호화폐를 보관합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개인 키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소가 개인 키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는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청구권"이 주어집니다. 만약 거래소가 해킹을 당하거나 파산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암호화폐를 잃을 수 있습니다. 이때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논란의 여지가 생깁니다. 거래소에 보관된 암호화폐는 엄밀히 말해 '거래소 소유의 암호화폐에 대한 이용자의 권리'에 가깝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 스테이킹(Staking) 등: 특정 암호화폐는 스테이킹(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는 방식)을 통해 잠겨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여전히 소유권을 주장하지만, 일정 기간 동안 자신의 의지대로 자산을 움직일 수 없는 제약이 따릅니다.
2.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CBDC -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미래에 도입될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도 소유권의 개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및 통제 가능성: CBDC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통제하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이는 정부가 개인의 금융 거래를 직접 감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만약 중앙은행이 특정 행위를 금지하거나, 심지어 특정 사용자의 자산을 동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면, CBDC 보유자의 "완전한 소유권"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프로그래밍 가능한 화폐 (Programmable Money): 일부 CBDC 모델에서는 화폐에 특정 조건을 프로그래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논의도 있습니다 (예: 특정 기간 내에만 사용 가능, 특정 용도로만 사용 가능 등). 만약 이러한 기능이 도입된다면, 화폐를 소유하더라도 온전한 재량권이 없을 수 있어 소유권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3.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논란과 유사성
화폐는 아니지만, 전자책, 디지털 음원,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논란도 비슷한 맥락에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했지만, 실제로는 '영구적인 이용 라이선스'를 구매한 것에 불과하고, 플랫폼 제공자가 언제든지 서비스 중단이나 콘텐츠 삭제를 할 수 있다면 소유권은 애매해집니다. 화폐도 디지털 형태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통제 가능성이 소유권 개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물리적 실체가 없는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법적, 사회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암호화폐나 미래의 CBDC는 이러한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딥씨크
네,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 또는 자산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현대의 디지털 경제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통적인 소유권 개념이 흐려지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시입니다:

### 1. **암호화폐 (DeFi, 스테이킹, 유동성 풀)**
   - **DeFi (탈중앙화 금융)**: 사용자가 유동성 풀(Liquidity Pool)에 자산을 예치하면, 해당 자산은 스마트 계약에 의해 관리되며 소유권이 애매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동성 공급자(LP)는 풀에 토큰을 넣고 LP 토큰을 받지만, 실제 자산의 사용권은 플랫폼이 임시로 가지게 됩니다.
   - **스테이킹**: 코인을 스테이킹하면 네트워크에 "잠금"되며, 소유권은 사용자에게 있지만 실제 사용은 제한됩니다. 일부 플랫폼에서는 스테이킹된 자산을 대표하는 파생 토큰(예: stETH)을 발행해 소유권을 분리하기도 합니다.

### 2. **중앙화 거래소(CEX)의 자산**
   - 거래소에 예치된 암호화폐는 기술적으로 사용자의 소유이지만, 실제로는 거래소의 지갑에 보관됩니다. 만약 거래소가 해킹되거나 파산하면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예: FTX 사태).

### 3. **NFT (대체 불가능 토큰)**
   - NFT는 블록체인상에서 소유권이 증명되지만, 실제로 연결된 디지털 콘텐츠(예: 이미지)는 외부 서버(IPFS 등)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만약 콘텐츠가 삭제되면 NFT는 "소유"하지만 그 가치는 사라집니다.

### 4. **디지털 화폐 (CBDC)**
   -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는 소유권이 국가나 중앙은행의 시스템에 종속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범죄 조치 등)에서 자산 동결이 가능해지면 소유권의 절대성이 약화됩니다.

### 5. **공유 자원 (커먼즈)**
   - 일부 커뮤니티 기반 암호화폐(예: DAO)는 소유권이 집단적으로 관리됩니다. 개인의 지분이 있지만 의사 결정은 분산되어 있어 소유권 행사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6. **게임 내 화폐/아이템**
   - 온라인 게임의 가상 화폐나 아이템은 사용자가 "소유"한다고 느끼지만, 실제로는 서비스 약관에 따라 플랫폼이 삭제 또는 조정할 수 있습니다(예: 메타버스 자산).

### **소유권 애매성의 핵심 원인**
- **기술적 중간자**: 스마트 계약, 플랫폼, 중앙화 기관 등이 소유권 행사를 방해합니다.
- **법적 불명확성**: 디지털 자산에 대한 법적 정의가 국가마다 다릅니다.
- **사용권 vs 소유권**: 자산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처분" 권한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전통적인 물리적 자산과 달리 디지털 시대의 소유권 개념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구, 시축 했다가 이미지가 더 나빠진 스타는? 운영자 25/08/11 - -
AD 가전디지털, 휴대폰 액세서리 SALE 운영자 25/08/08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2] 운영자 20.09.28 46279 65
2881076 '후방 ) 권은비 일본 공연 중 꼭노 프갤러(59.15) 07:21 1 0
2881075 ㅇㅅㅇ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1 0
2881074 '틱톡에 우아, 태이 떡방박제됨 ㅋ 짤리기 전에 봐ㄱㄱ [1] 프갤러(59.15) 07:17 2 0
2881066 하루에 0=99줄 감사의 코딩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8 12 0
2881065 뀨?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7 11 0
2881064 좆소라 연봉낮은 애들만 지원하는건가 [1] 프갤러(222.239) 06:27 16 0
2881059 요즘 조직관리론에 빠짐 프갤러(61.79) 05:29 16 0
2881051 권은비 레전드 과거사진 프갤러(106.101) 04:20 32 0
2881049 UN 제2차 세계대전 80주년 특별 엄숙 회의 (1)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57 26 0
2881047 넷플릭스 모솔 vs 나는솔로 모솔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7 22 0
2881040 힙합 갤러리에 올렸다가 2일 차단당한 글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17 0
2881039 ai쪽으로 취업 어케하노 [1] ㅇㅇ(1.235) 03:26 33 0
2881035 보여주는 것이 다가 아니다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21 0
2881034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15 0
2881033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22 0
2881032 청년들은 왜 먼 나라에 가서 총을 들고 싸워야 했나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17 0
2881031 막스베버 비판 업데이트좀 하자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20 0
2881020 자기주식 ‘처분’, 왜 한국만 유별날까 [자본시장 이야기]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9 16 0
2881019 자사주 매입, 내부자 배만 불리고 장기 성장에 발목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8 13 0
2881018 아베 암살 최대 성과 한미일 정상회의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8 0
2881016 [이해영의 지정학 산책] 트럼프2.0의 외교안보 전략과 한반도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13 0
2881013 트럼프 셰셰 중국 관세 유예 미국의 뉴노말 동맹궁핍화전략대로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7 0
2881011 와 갤 똥내 씨발 [1]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6 39 0
2881009 송영길이 이제와 말하는 이재명 안도와준 문재인 정부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9 17 0
2881006 이게 바로 법치주의고 정의지 [3]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41 2
2881004 美의회, '中밀수 막겠다' 엔비디아 AI칩 위치추적 추진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4 24 0
2880990 윤석열 개병신새끼네 ㅋㅋ 류류(118.235) 00:56 27 1
2880987 주주 권리 강화하는 상법개정안, 치명적 약점 있다 [소셜 코리아]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1 15 0
2880980 "돈 안 쓰는 대학, 연구자 해외로 내몰아···잘할 수 있는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1 17 0
2880978 미향이 정신세계 좀 소름끼칠듯..? [5]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8 33 0
2880976 장하준 교수 “현 경제학 교육은 중세 가톨릭 신학···교육아닌 세뇌"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14 0
2880971 장하준 교수 "주주환원 76%로 높이면···한국증시도 美처럼 ATM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6 20 0
2880970 클린턴 예측 뒤집혔다…“트럼프, 시진핑 국가자본주의 벤치마킹”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18 0
2880969 폴란드 콘서트장에 우크라 네오나치 깃발…정치권 격분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3 17 0
2880966 우리 모두 사랑해요 [6]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40 0
2880964 ㅋㅅㅋ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15 0
2880963 회사 오너가 개 빡쳐 있는 이유. [1] 프갤러(59.16) 08.12 55 0
2880961 왜 임베디드 취업은 ai영향이 적은거임 ㅇㅇ(175.119) 08.12 49 0
2880959 요즘 너무 바빠서 [2]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38 0
2880958 윤미향 "내가 A급 체포 대상? 덤으로 사는 인생, 더 힘차게 발명도둑잡기(118.216) 08.12 16 0
2880957 나님 조금 허기진둣..?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33 0
2880955 넥도리아 야식 콩국물 + 오뚜기 라면 사리 [2] 넥도리아(220.74) 08.12 49 0
2880953 전한길씨가 그래도 차단은 안하더라 [4]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59 0
2880951 전라남도 대피수칙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22 0
2880949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36 0
2880948 김건희 구속 드가자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38 0
2880947 코딩과 개발은 은 프로그래밍이 아니다. 프갤러(121.139) 08.12 45 1
2880946 네이버는 그나마 사람 새끼들 집합이겠지. 프갤러(211.234) 08.12 52 0
2880945 코딩은 알고리즘실력보다 중요한건 프갤러(118.219) 08.12 47 0
뉴스 '은수 좋은 날' 이영애X김영광, 상상초월 ‘위험한 공모’가 시작된다! 디시트렌드 08.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