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주거냐 혁명이냐

ㅇㅇ(210.100) 2025.07.24 19:08:33
조회 74 추천 0 댓글 0

지난 2월3일, 블룸버그가 발표한 ‘국가별 혁신지수’에서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생산성이나 연구개발, 첨단기술 등을 따지는 모양인데 지난 9년동안 일곱번이나 1위를 차지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튿날,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나라를 “완전한 민주국가”의 그룹으로 발표하였다. 시민의 권리, 선거절차, 정부기능, 정치참여 등을 따져 전세계 167개국을 4개등급으로 분류하고 민주주의의 모범이라고 강조해 온 미국을 2등급인 “결함있는 민주주의”로 매겼다니, 민주주의 성취를 위한 투쟁의 역사가 아직도 생생한 우리로서는 참으로 감개무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실 우리나라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선진적이라고 하는 증표가 요즘 들어 속속 나타난다. 특히 코로나와 관련해서 소위 선진국들에서 벌어지는 수준 이하의 행태는 우리가 생각하는 선진국 지도가 얼마나 허상이었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고,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는 K방역은 세계 표준모델로 추진된다고도 하여 우리의 자긍심을 한껏 높인다.





viewimage.php?id=27a8de21f6dd28a2&no=24b0d769e1d32ca73ce880fa11d02831314381a88393e0627f820a8131e7c5dc352c2f7cd1bbb9ea85327129fe0a93de9f4113415a08cfec63055410586225b034b1df64





외신에 의하면 경제지수도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대단히 좋은 소식이 많다. 블룸버그는, 우리나라의 작년 1인당 국민총소득은 이탈리아를 넘어 처음으로 G7의 수준에 이를 것이라 전했다. 사실 오래전부터 우리는 세계 상위권의 경제지수를 기록하여 왔다. 도시별로 따지는 모리재단의 ‘세계도시 경쟁력지수’에 의하면 서울은 근래 6, 7위에 줄곧 랭크되어 있다. 지지리도 못살아 외국으로부터 구호물자를 받은 때가 내 학생시절이었으니 천지개벽도 이만저만 아닌 게다. 문제는, 이렇게 돈을 많이 벌어 ‘삐까뻔쩍’하게 잘사는 우리가 그 가난할 때보다 과연 행복한가이다.

유엔은 매년 3월20일을 행복의 날로 정하고 ‘지속가능발전 해법네트워크(SDSN)’를 통해 ‘세계행복보고서’를 발간하는데 작년의 경우 우리나라는 153개국 중 61위라고 한다. 돈은 잘 버는데 그 번 돈만큼 행복하지는 않다는 게다. 이 기관에서 행복을 따지는 기준 중에 ‘거주선택의 자유’라는 항목이 있는데 우리는 여기서 140위로 매겨졌다. 그냥 최하위인 셈이다. 또 있다. 서울의 경쟁력이 세계 선두권이라 했지만, ‘삶의 질’을 따지는 머셔컨설팅에 따르면 서울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77위를 기록했다. 7위의 경제력에 77위라는 삶의 질. 이 부끄러운 불균형을 이루게 한 중요한 판별기준의 하나는 역시 주거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니 이 주거문제는 우리의 모든 찬란한 성과를 격하시키는 주범인 셈이다.

주택문제가 사회의 이슈가 된 게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지난해 하반기 임대차보호법 제정 직후 이 이슈는 더욱 확산되어 우리 모두를 곤혹에 빠뜨렸다. 사실 이 법은 행복지수를 따지는 거주선택의 자유에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선진적 장치지만 후속조치가 미흡하여, 가진 자는 가지고 있어서, 없는 이는 없어서 폭발하고 만 것이다. 급기야 이를 공급의 부족으로 여긴 정부는 2025년까지 무려 83만채를 공급하겠다는 발표를 하기에 이른다. 특별히 공공에서 주도하여 규제나 절차를 간편히 하고 개발에 따른 이익을 공유하겠다는 진보적 내용이어서, 잘만하면 우리나라 주택건설의 역사에 전기가 될 수도 있을 게다.




그러나 그래도 나는 의문스럽다. 공급이 충분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까? 그리고 행복지수가 상승할까? 사실 우리나라의 전체주택수는 전체가구수를 넘은 지 오래고, 서울의 경우도 전체가구수에 불과 5%가 부족할 뿐이라 매년 증가하는 주택수를 감안하면 숫자적으로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의 이 오래된 주택문제는 물량이 아니라 주택 혹은 주거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부당한 공급방식에 보다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 나는 짙게 의심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진 집에 대한 주된 관념은 아무리 봐도 부동산이다. 아파트만 사면 몇 억씩 순식간에 올라가니 이런 불로소득이 없어 영끌이라는 단어까지 등장하며 모두들 이 부동산 사재기에 혈안이 되었다. 자기가 사는 아파트가 안전성이 위험해서 D등급 받았다고 경축 플래카드를 내거는 민족이 되었고, 집은 가족의 단란을 도모하는 곳이 아니라 시세차익을 남기고 떠나는 재물이 된 지가 오래여서 늘 유목민적 삶을 산다. 그러니 자신의 존재를 확인해야 할 삶터에 대한 애착이 도무지 없다.




아파트는 동네가 아니라 오로지 이익결사체가 되었으며, 임대아파트에 사는 이들을 불가촉천민처럼 취급하여 소셜믹스니 사회통합이란 말은 먼 나라 일이다. 사회공동체가 아니라 부동산공동체가 된 주택단지는 지금에도 전국 방방곳곳에 똑 같은 모습으로 들어차 여기가 저기 같고 저기가 여기 같아서 건축가인 나도 구별 못한다. 단지내에서는 아무리 넓어도 교통법규도 적용이 안되고 일반시민의 차량통행을 불허하며 고립을 오히려 자랑하는 도시의 섬, 그래서 아파트공화국이란 명칭도 얻었다.

또한 공급방식이 절대적으로 공급자 위주의 선분양제여서 사용자는 물건을 보지도 못하고 사게 한다. 그래도 잘 팔리니 고민할 일이 없는 아파트설계는 개선될 리가 없다. 그래서 마감재료만 바꿔 분양가만 올린 이 아파트단지는 겉모습만 번쩍일 뿐 4,50년전이나 지금이나 사는 모습이 똑 같다. 공동의 삶? 옆집에서 누가 죽어도 모르는 곳이라 공동주택이 아니라 그저 붙어만 사는 집합주택일 따름이다.

그런데 83만호를 이렇듯 공급하고 나면 어떤 몰골일까? 더구나 용적율을 몇배나 올린다고 하니 밀집 밀폐는 뻔한 일이라 코로나시대마저 역행하는데…… 불문가지다.





삶의 질에 대한 머셔컨설팅의 조사에서 10년째 1위의 자리를 지키는 비엔나는 자가보유율이 30%(서울은 48%)를 겨우 넘을 뿐이지만 주거의 안정성은 아마도 세계 최고일 게다. 임차인은 원하면 그 임대주택을 자식에게 넘겨줄 수도 있어, 자가나 임차에 대한 관념없이 편안히 거주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들의 주거정책을 ‘비엔나 모델’이라고 칭하며 자랑하는데 그 정책을 표현하는 단어가 ‘Soziales Wohnen’이다. 이를 우리는 사회주택이라고 번역하지만 이는 오역이다. 바르게 번역하면 사회적 거주라고 해야 한다. 어떤 사회를 이루며 어떻게 모여 살 것인가라는 뜻이어서 공동주거를 기획하고 건설할 때 거주자들의 의사가 늘 우선시 되며 그 타당성이 확인되면 시정부는 전폭적 지원으로 공동주거를 짓게 한다. 물량 우선인 ‘주택정책’이 아니라 거주자의 삶의 방식에 기반하는 ‘주거정책’을 그들은 무려 백년전부터 지속해 왔다는 것이니, 그 까닭에 그들이 짓는 공동주택들은 공간구조나 형식이 모두가 다 달라 늘 연구의 대상이 되어 ‘비엔나 모델’이라는 자부심 가득한 이름을 쓰고 있다.

왜 우리는 이런 정책을 쓰지 못하고 주거문제를 여전히 부동산정책으로만 취급할까? 몰라서? 토건 투기세력이 여전히 막강해서? 단임정부라 장기정책을 펴지 못해서? 그러나 우리도 이제 부동산의 주택정책이 아니라 삶에 대한 주거정책을 펴야 하는 것은 더구나 코로나시대에 필수적이며, 사람이 먼저인 이 정부라면 더욱 그래야 하지 않을까?





viewimage.php?id=27a8de21f6dd28a2&no=24b0d769e1d32ca73ce880fa11d02831314381a88393e0627f820a8131e7c5dc352c2f7cd1bbb9ea85327129fe069dd471ebffdebd225a99155e65438e177418182a543b





백년전 스페인독감의 참상이 비효율적 비위생적 도시환경 때문이라는 것을 파악한 건축가 르코르뷔제는 ‘건축이냐 혁명이냐’라는 말로 새로운 건축을 통한 혁명적 도시개조가 불가피함을 역설한 바 있었다. 그의 말을 빌어 이 글의 제목을 단다. ‘주거냐 혁명이냐’. 우리의 정책기조가 여전히 과거지향이라면, 실로 혁명이 필요한 때이다. 그렇지 않으면, 도무지 집이 가진 고유의 아름다운 정서를 회복할 길이 없고 결국 우리의 행복지수는 올라가지 못할 게다.


프랑스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흐(1884-1962)는 ‘공간의 시학’이란 책에서 집의 아름다움을 이렇게 기술했다.


“우리들이 태어난 집은 단순한 건물 이상의 것이다/ 그것은 꿈들의 집합체/ 옛날 그 집의 구석진 곳들 모두 하나하나가 몽상의 장소였으며/ 우리들은 거기서 특별한 몽상의 습관을 익혔다/ 우리들이 홀로 있었던 집, 방, 공간은/ 끝없는 몽상, 오직 시를 작품으로 끝내고 완성시킬 수 있을/ 그러한 몽상의 무대……”





- Iroje essay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구, 시축 했다가 이미지가 더 나빠진 스타는? 운영자 25/08/11 - -
AD 가전디지털, 휴대폰 액세서리 SALE 운영자 25/08/08 - -
2880328 다들 화나있음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3 22 0
2880323 루비가 ada하는 이유 프갤러(121.139) 07:33 36 1
2880322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9 0
2880315 단독) 러스트 빠돌이들이 Ada 언급하지 않는 이유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6 33 0
2880311 러스트 빠돌이들이 제일 싫어하는 글을 소개합니다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41 38 0
2880309 그래두 사람을 Ada 프로그래밍 글 많이들 봤네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5 0
2880308 크롬에 한글 입력 버그 생겼네 ㅎㅎ [3]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47 0
2880307 Ada 반복문 글 검토하고자 재작성했더니 더 모르는거 더 나오네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15 0
2880304 it 프리랜서 도전해보고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함? [1] 프갤러(223.38) 01:34 41 0
2880303 내가 쓴 Ada 프로그래밍 공부 중이다. 4.2 반복문 업뎃 중이다.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2 26 0
2880300 여러 disaggregation 전략을 보는중이에여 PyTorc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46 0
2880298 요새 폭탄테러가 많은 이유? 프갤러(211.234) 00:54 28 0
2880294 깃헙 코파일럿 같은거 개위험한것 같은데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4 50 0
2880293 Ada 프로그래밍: 부록: Clair 코딩 스타일 가이드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8 25 0
2880292 Ada 프로그래밍: 10. SPARK 소개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7 26 0
2880291 Ada 프로그래밍: 9. 계약에 의한 설계(DbC)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6 23 0
2880290 Ada 프로그래밍: 8. 동시성 및 실시간 프로그래밍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6 23 0
2880289 Ada 프로그래밍: 7.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24 0
2880288 Ada 프로그래밍: 6. 예외 처리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23 0
2880287 Ada 프로그래밍: 5. 서브프로그램과 패키지를 이용한 구조화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4 21 0
2880286 Ada 프로그래밍: 4. 제어 흐름과 문장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3 24 0
2880285 Ada 프로그래밍: 3. Ada 형식 시스템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2 26 0
2880284 Ada 프로그래밍: 2. 개발 환경과 첫걸음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1 34 0
2880283 Ada 프로그래밍: 1. Ada 언어 소개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0 55 0
2880282 Ada 프로그래밍: 머리말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9 34 0
2880281 오늘의 나는 분명 내일의 나보다 나은 사람이겠지 [1]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9 44 0
2880280 마갤쪽 관련은 아예 정보 자체의 필터링이 안돼 그게 문제임 [2] ㅆㅇㅆ(124.216) 00:19 42 0
2880279 러스트 빠들이 제일 싫어하는 Ada(에이다) 언어 연재 들어갑니다. ㅋㅋ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7 22 0
2880278 아니 원래 정갤은 오래되면 다 병신갤됨;; [4]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3 55 0
2880276 마갤은 너무 에코 챔버라 그냥 정갤이 편함 ㅆㅇㅆ(124.216) 00:05 23 0
2880275 개발 갤러리가 너무 많다 [4] 노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88 0
2880274 이번에 외주 받은거 게이트웨이 패턴으로 코드 짜고 있는데 생각보다 ㅆㅇㅆ(124.216) 08.10 36 1
2880273 나 노력인데 [4] 노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44 0
2880272 노드 js 이거 상당히 재밌네. [4] ㅆㅇㅆ(124.216) 08.10 72 0
2880268 자바는 씹좆입니다 [3] 루도그담당(58.239) 08.10 52 0
2880267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20 0
2880266 냥덩이 유동 또 무슨 일있었다고 저지랄하네 [2] ㅆㅇㅆ(124.216) 08.10 44 0
2880265 나님 잔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44 0
2880256 “교제살인 피해자들, 한국 아니었다면 살았을 것 [1]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32 0
2880254 저 악질 성희롱 스토커 [7]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77 0
2880251 calmeanarie.co.in 유명한 바이러스 악성코드 로 치료하자 [1] 도리스아넥도리아(220.74) 08.10 35 0
2880248 조경태, 김문수 향해 “문해력 떨어지시는지 모르겠다” [현장영상]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20 0
2880244 나님.. 어른으로 가는 계단을 오르기 시작했달깡? [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46 0
2880243 귀염❤+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27 0
2880241 회사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폰배경을 바꿔주는 기능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54 0
2880240 나님 생명의 가치에 대해 칼럼 하나 써야하눈데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47 0
2880239 윈도우 볼륨바 못끔? 프갤러(115.23) 08.10 29 0
2880238 일제가 숨통 끊으려 했던 우리말…이제 옥스퍼드 사전에도 실린다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24 0
2880237 국가가 딸배에 세금폭탄투하중 [4]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59 0
2880236 청춘이란 뭘깡..?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58 0
뉴스 백지영, 댓글 ‘남편놈’에 대폭발...“누가 남편 놈이라 그랬어?” 디시트렌드 08.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