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오늘의 소설, 영화, 작사 실마리: 지나친 경쟁은 전체적으로 손해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7.18 18:47:30
조회 55 추천 0 댓글 0

오늘의 소설, 영화, 작사 실마리: 지나친 경쟁은 전체적으로 서로에게 해가 된다는 이야기
사람이나 사람들이 경쟁을 심하게 하다가 결국 모두 다 해를 입는다는 이야기를 하면 흥행할 것이다. 노노갈등, 여자의 적은 여자란 이야기도 많이 한다.
배 위에서 싸우다가 배가 뒤집힌다거나 하는 이야기가 많다. 그러고보니 <타이타닉>도 비슷한 이야기다.

다음 내용 참고

경쟁의 치열함이 얼마인가 얼마가 적당하고 지나친 경쟁은 해가 되는지 그 정도에 대한 연구

챗지피티
경쟁의 "적당한 정도"와 "지나친 경쟁이 해가 되는 지점"은 심리학, 경제학, 교육학, 조직행동 연구 등에서 많이 다뤄진 주제입니다.
연구들은 주로 성과, 동기,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경쟁의 강도를 평가합니다.


---

1. 적당한 경쟁이 도움이 된다는 연구 (Yerkes–Dodson 법칙)

Yerkes–Dodson 법칙(1908):
긴장(혹은 각성, 경쟁) 수준과 성과는 역 U자형 곡선을 그린다고 설명합니다.

경쟁이 없으면 동기와 집중이 낮아 성과가 떨어지고,

적당한 경쟁은 동기 부여와 몰입을 유도하여 성과를 높이며,

지나친 경쟁은 불안, 스트레스, 번아웃으로 성과가 오히려 감소합니다.



이 법칙은 학습, 직장 성과, 스포츠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반복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 조직 및 경제학 연구

Tournament Theory (Edward Lazear, 1981):
경쟁적 보상 구조(예: 승자에게 큰 보상)가 효율성을 높이지만, 경쟁이 지나치면 협력 붕괴, 사기 저하, 윤리적 문제(사기, 속임수)를 유발한다고 분석.

기업 내 경쟁 연구 (Fletcher & Nusbaum, 2010):

적당한 경쟁은 창의성과 생산성을 증가.

지나친 경쟁은 팀워크와 심리적 안전성(psychological safety) 저하, 직원 이직률 상승.




---

3. 교육 및 아동 발달 연구

Alfie Kohn (1986):
지나친 경쟁은 아동의 내재적 동기를 약화시키고, 실패 공포와 회피 행동을 증가시킴.

Johnson & Johnson (2005):
협동과 경쟁의 균형을 맞춘 수업이 학습 효과와 사회성 발달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결론.



---

4.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

연구들이 제시하는 "적당한 경쟁"의 조건:

1. 개인 목표와 성장에 초점 – 단순 승패보다 자기 개선을 평가.


2. 협력과 병행 – 경쟁이 있어도 팀워크나 공동 목표가 유지될 것.


3. 스트레스 지표 – 불안, 수면장애, 번아웃 등이 증가하면 과도한 경쟁.


4. 성과 곡선 – 성취도가 정체·하락하거나, 규칙 위반·비윤리적 행위 증가 시 경쟁 과잉.




---

5. 수치로 된 연구 사례

직장 연구 (Podsakoff, 2007):
업무 경쟁 강도가 **중간 수준(상위 50~70%)**에서 생산성이 최대치.
상위 90% 이상의 경쟁 강도에서는 이직률이 30% 이상 급증.

스포츠 심리학 (Gould et al., 1996):
선수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긴장도 6~7/10 구간이 경기력 최고, 8 이상이면 수행력 저하.



---

원한다면,

이런 연구들의 원문·데이터 링크

"경쟁 강도 측정 방법" (심리학적 척도, HR 도구)

한국 사회나 교육 환경에서 적용된 사례
도 더 찾아줄까요?
어느 쪽으로 확장해드릴까요? (원문 자료 중심 vs 실제 활용 방법 vs 두 가지 다?)


경쟁 강도(competitive intensity)를 직접적으로 수치나 지표로 측정하려는 시도는 심리학, 경영학, 스포츠, 교육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뤄집니다.
보통 **주관적 설문(심리척도)**과 **객관적 지표(성과, 시장 데이터)**로 나눠서 측정합니다.


---

1. 심리학·조직행동에서의 경쟁 강도 측정

개인과 집단이 느끼는 경쟁 압박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주로 **Likert 척도(17점)**를 사용합니다.

(1) Workplace Competitiveness Scale (Brown, Cron, & Slocum, 1998)

5~10개 문항으로 직원이 느끼는 경쟁 압박과 태도 측정.

예시 문항:

"동료와 나를 비교하는 일이 업무 동기 부여에 중요하다."

"이 조직은 성과 순위로 사람을 평가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경쟁 강도가 높은 환경.


(2) Perceived Competitive Climate Scale (Fletcher & Nusbaum, 2010)

팀/조직 수준의 경쟁 분위기를 측정.

"내 동료들은 승리보다 협동을 중시한다" (역문항) 같은 항목 포함.

경쟁이 협력보다 우위일수록 강도 ↑.


(3)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와 결합

경쟁 강도는 직접 수치화가 어렵기 때문에, 불안·스트레스 수준으로 간접 측정하기도 함.

Yerkes-Dodson 법칙 분석 시 주로 사용.



---

2. 경영학/경제학적 경쟁 강도 측정 (시장·조직)

기업이나 시장 수준에서 경쟁 강도를 정량화할 때 사용하는 지표들:

(1)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시장 집중도 지표. 기업별 시장점유율을 제곱해서 합산.

HHI 낮음 = 경쟁 심함, HHI 높음 = 독점·경쟁 완화.


미국 FTC는 HHI 2,500 이상을 "집중적 시장"(경쟁 약함)으로 봄.


(2) Number of Rivals & Market Growth

특정 산업에서 경쟁사 수, 진입장벽, 성장률 등으로 경쟁 강도 산출.

Porter의 5 Forces 모델이 자주 사용.


(3) 조직 내 경쟁 강도 지표

성과 차등 지급률(Performance-Based Pay Ratio): 성과 보너스나 승진 기회의 상위 10%와 하위 10% 간 격차.

직원 이직률과 협력 점수(조직 심리 설문)로 보정.



---

3. 교육·스포츠 분야의 경쟁 강도 측정

(1)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

운동선수들의 인지적 불안, 신체적 긴장, 자신감을 3개 하위척도로 나눠 27문항 평가.

경쟁 전후 긴장도 1~10 스케일로 측정, 경기력과 연계 분석.


(2) 학교/학업 경쟁 강도

학생 설문으로 학업 스트레스, 시험 경쟁 압박, 등수 공개 여부 등을 1~5점 척도로 평가.

한국 교육학계에서는 **학업 스트레스 척도(K-ASSI)**를 경쟁 강도 분석과 함께 사용.



---

4. 실제 활용 예시

HR 컨설팅: **경쟁 강도 지수(CCI)**를 만들 때,

조직 설문(경쟁·협력 인식),

보상제도 분석(성과차등),

직원 이직률,

팀 성과 분포
등을 종합해 0~100 점수로 변환.




---

원하면,

각 척도의 구체적 문항(연구 논문 기반)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설문지 PDF/논문 링크

경쟁 강도-성과/스트레스 관계 분석 그래프


중 어떤 걸 더 깊게 정리해줄까요?
또는 개인/조직용으로 바로 쓸 수 있는 10문항짜리 간단 설문지를 만들어드릴까요? 어느 쪽이 필요하세요?

지나친 경쟁은 모두에게 해가 된다는 게임이론

게임이론에서 “지나친 경쟁이 모두에게 해롭다”는 결과는 주로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계열이나 경쟁적 레이스 모델(Rat Race Game),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 같은 모형으로 설명됩니다.
핵심은 개인이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경쟁을 심화할수록, 집단 전체 효용이 오히려 낮아진다는 점입니다.


---

1. 죄수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각 개인이 **이기적 선택(배신)**을 하면 단기적 이득은 있지만, 둘 다 배신할 경우 협력했을 때보다 모두가 더 나쁜 결과를 얻음.

경쟁 환경에서 “남보다 앞서기 위해 투자/노력 과잉”이 나타날 때 이 구조가 성립.


예:
두 회사가 광고 경쟁을 할 때,

둘 다 광고 안 하면: 각자 10 이익.

한쪽만 하면: 한쪽 15, 다른 쪽 5.

둘 다 하면: 각자 6 (광고비 때문에).
→ **둘 다 과열 경쟁(광고)**을 선택하면 총이익이 줄어듦.



---

2. Rat Race Game (Shapiro & Stiglitz, 1984)

구성원들이 상대적 성과로 보상을 받는 조직/사회에서, 모두가 경쟁적으로 과도한 노력과 비용을 들여도 순위만 바뀌고 집단 총효율은 증가하지 않음.

모두가 더 많이 일하거나 공부하지만, 휴식 감소·건강 악화로 사회적 손실 발생.



---

3. 공유지의 비극 (Tragedy of the Commons, Hardin, 1968)

경쟁적으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개인은 즉시 이득, 하지만 집단 전체가 자원을 고갈시켜 피해.

현대 조직에선 “승자 독식형 성과 경쟁”이 사람들을 번아웃시켜, 팀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무너뜨리는 현상과 비슷.



---

4. Rent-Seeking Game (Tullock Contest, 1980)

사람들이 상금을 얻기 위해 경쟁적으로 자원(돈, 시간)을 투자할 때,
투입된 자원의 총합이 상금 가치 이상으로 커져 사회적 낭비가 발생.

예: 한 직책을 두고 지원자들이 모두 과도한 스펙 경쟁을 벌이는 경우.



---

5. 나쉬 균형(Nash Equilibrium)과 “지나친 경쟁”

위 게임들에서 각자의 최적 전략이 **집단 최적(파레토 효율)**과 불일치.

즉, **경쟁을 줄이고 협력하거나 규칙을 바꾸는 메커니즘(세금, 상한제, 협약)**이 없으면, 모두 더 많은 비용을 들이고 더 나쁜 결과에 도달.



---

연구 예시

Frank & Cook, The Winner-Take-All Society (1995):
소수 승자에게 과도한 보상이 몰리는 시장에서는, 참가자들이 막대한 노력/비용을 투입해도 대부분 손해, 사회 전체 효율성 하락.

Lazear & Rosen, Tournament Theory (1981):
경쟁 강도가 높을수록 단기 성과는 오르지만, 사기 저하, 협력 붕괴, 비윤리적 행위로 장기적으로 집단 효율성 감소.



---

원하면:

1. Rat Race Game이나 Tullock Contest의 실제 payoff 수식과 그래프


2. 이런 게임을 완화하는 제도적 해법(세금, 공동 보상, 규제)의 게임이론 모델


3. 교육/기업 사례로 단순화한 예제 (숫자 넣어 시뮬레이션)



중 어느 쪽으로 더 깊게 풀어드릴까요?
아니면 **직접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경쟁-효율 시뮬레이션 코드(Python)**도 같이 드릴까요?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AD 휴대폰 액세서리 세일 중임! 운영자 25/07/28 - -
2874519 개발자는 영어잘하면 해외취업 쉬워? [1] 프갤러(118.235) 07.25 65 0
2874518 요즘 왜 다 런닝화같은 비새는 신발뿐?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41 0
2874517 핵전쟁 나면 우선 it산업은 개박살이고 뭘 준비해할까? ♥팬티스타킹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35 0
2874516 첫 출근 뭐해야하노 [1] 세상아덤벼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50 0
2874515 원종이가 꿈꾸던 스카이넷 가동 도입중.. [2] ♥팬티스타킹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57 0
2874514 ai 가 인류를 위협한다는 시나리오 봐라 프갤러(183.101) 07.25 42 0
2874513 핵전쟁 3차세계대전 임박(미-러 핵무기제한 협정 내년 2월 종료) ♥팬티스타킹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68 0
2874512 종교가 없어져도 종교 대체물은 나오기 마련임 [3]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88 0
2874511 어떤 프로그래밍 방법도, 프로그래밍 모델도 반드시 새는 부분이 존재함 ㅆㅇㅆ(124.216) 07.25 44 0
2874509 내가 좋아하는 프로그래밍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다. [1] ㅆㅇㅆ(124.216) 07.25 76 0
2874508 종교 =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부드러운곰탱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45 1
2874507 코딩을 좋아하긴 했지 [4] 프갤러(106.101) 07.25 104 2
2874506 븅신들아 프갤러(211.36) 07.25 46 0
2874505 스위치 라이트 샀는데 이어서 진행하기로 했는데 세이즈데이터 없다. 넥도리아(220.74) 07.25 33 0
2874504 종교라는 모델도 리팩토링이 필요하다고 보임. ㅆㅇㅆ(124.216) 07.25 41 2
2874503 프론트 백엔드 요약 ㅇㅇ(118.235) 07.25 62 0
2874502 종교를 가진다는 것은 복잡성에서 눈을 돌린다는 것. [1] ㅆㅇㅆ(124.216) 07.25 48 0
2874501 난 솔직하게 정신병 있음 프갤러(106.101) 07.25 78 0
2874500 공수처 검찰청 경찰청 국제수사 과학수사 포랜식수사 기무사 국정원 존재이유 뒷통수한방(1.213) 07.25 26 0
2874499 대체 왜 종교라는 정신병에서 헤어나올질 못할까 [8]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80 0
2874498 유니티 메카님 솔직히 좆구림 [3] 루도그담당(58.239) 07.25 61 0
2874496 코딩 공부할려고 책 미리 알아둠 프갤러(106.102) 07.25 51 0
2874494 유니티로 모션 싱크 같은거 맞춰보는데 [1] 루도그담당(58.239) 07.25 39 0
2874493 난 채수빈이랑 결혼 안 한다 발명도둑잡기(118.235) 07.25 64 0
2874492 일반적으로 프론트가 클린코드랑 아키텍팅이 더 쉬움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62 0
2874489 자 오늘 일 끝이다 [3]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52 0
2874488 프로그래머의 가장 큰 미덕은 끈기라고 생각함 [3]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74 0
2874485 유라랑 ㅆㅇㅆ 햄들은 모해????? [11] 프갤러(1.235) 07.25 79 0
2874484 개발머리 없어서 전산직 이직함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105 0
2874483 방구가 들끓는다 [2]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60 0
2874482 진짜너무덥다 [2]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56 0
2874480 30분 뒤 생 어금니 뽑을 예정 [4] 발명도둑잡기(211.246) 07.25 62 0
2874479 전설의 로스트미디어 ♥팬티스타킹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48 0
2874477 통장에 1억 있는 개새끼들은 봐라 [8]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110 0
2874476 다들 뉴프로에 글남겨서 피드백받자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47 0
2874475 wix 로 사이트 제작중인데 팝업기능 어딨어? 헬프! 헬프!! 삑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50 0
2874474 제습기 사고 인생이 달라졌다 [8]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72 0
2874473 현실적인 비전공자 루트 프갤러(121.145) 07.25 134 0
2874472 성냥사세양..성냥사세양.. 성냥말구 다른것두 팔아양.. [2] ♥팬티스타킹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63 0
2874471 프갤 망했다 [2] 프갤러(211.210) 07.25 71 0
2874470 좆소월급들어왔다. [9]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101 0
2874469 나님 회복 시나리오 돌리고 있는데 성공할지 모르겠음 ♥팬티스타킹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40 0
2874468 개발자 취업,,, [5] 프갤러(210.126) 07.25 167 0
2874467 양키의 에반게리온 전체 요약 특촬물 ㅋㅋㅋ 프갤러(183.101) 07.25 44 0
2874466 아패로 윈도 돌리구 싶당 ♥팬티스타킹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35 0
2874465 스마트폰 버튼 키 기능 할당 질문 [1] ㅇㅇ(14.35) 07.25 44 0
2874462 새 umpc 발명도둑잡기(118.235) 07.25 40 0
2874461 적금 붓고 주식 사니까 [7]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98 0
2874460 월급 입갤!!!!!!!!!!!!!!!!! [1]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77 0
2874459 CT 찍어야 하냐 자꾸 불운이 많지 .. 넥도리아(223.38) 07.25 33 0
뉴스 [인터뷰]K팝 추는 할머니 이정은 "웃기지만 울컥, 가족이니까" 디시트렌드 07.2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