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오늘의 소설, 영화, 작사 실마리: 지나친 경쟁은 전체적으로 손해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7.18 18:47:30
조회 57 추천 0 댓글 0

오늘의 소설, 영화, 작사 실마리: 지나친 경쟁은 전체적으로 서로에게 해가 된다는 이야기
사람이나 사람들이 경쟁을 심하게 하다가 결국 모두 다 해를 입는다는 이야기를 하면 흥행할 것이다. 노노갈등, 여자의 적은 여자란 이야기도 많이 한다.
배 위에서 싸우다가 배가 뒤집힌다거나 하는 이야기가 많다. 그러고보니 <타이타닉>도 비슷한 이야기다.

다음 내용 참고

경쟁의 치열함이 얼마인가 얼마가 적당하고 지나친 경쟁은 해가 되는지 그 정도에 대한 연구

챗지피티
경쟁의 "적당한 정도"와 "지나친 경쟁이 해가 되는 지점"은 심리학, 경제학, 교육학, 조직행동 연구 등에서 많이 다뤄진 주제입니다.
연구들은 주로 성과, 동기,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경쟁의 강도를 평가합니다.


---

1. 적당한 경쟁이 도움이 된다는 연구 (Yerkes–Dodson 법칙)

Yerkes–Dodson 법칙(1908):
긴장(혹은 각성, 경쟁) 수준과 성과는 역 U자형 곡선을 그린다고 설명합니다.

경쟁이 없으면 동기와 집중이 낮아 성과가 떨어지고,

적당한 경쟁은 동기 부여와 몰입을 유도하여 성과를 높이며,

지나친 경쟁은 불안, 스트레스, 번아웃으로 성과가 오히려 감소합니다.



이 법칙은 학습, 직장 성과, 스포츠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반복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 조직 및 경제학 연구

Tournament Theory (Edward Lazear, 1981):
경쟁적 보상 구조(예: 승자에게 큰 보상)가 효율성을 높이지만, 경쟁이 지나치면 협력 붕괴, 사기 저하, 윤리적 문제(사기, 속임수)를 유발한다고 분석.

기업 내 경쟁 연구 (Fletcher & Nusbaum, 2010):

적당한 경쟁은 창의성과 생산성을 증가.

지나친 경쟁은 팀워크와 심리적 안전성(psychological safety) 저하, 직원 이직률 상승.




---

3. 교육 및 아동 발달 연구

Alfie Kohn (1986):
지나친 경쟁은 아동의 내재적 동기를 약화시키고, 실패 공포와 회피 행동을 증가시킴.

Johnson & Johnson (2005):
협동과 경쟁의 균형을 맞춘 수업이 학습 효과와 사회성 발달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결론.



---

4.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

연구들이 제시하는 "적당한 경쟁"의 조건:

1. 개인 목표와 성장에 초점 – 단순 승패보다 자기 개선을 평가.


2. 협력과 병행 – 경쟁이 있어도 팀워크나 공동 목표가 유지될 것.


3. 스트레스 지표 – 불안, 수면장애, 번아웃 등이 증가하면 과도한 경쟁.


4. 성과 곡선 – 성취도가 정체·하락하거나, 규칙 위반·비윤리적 행위 증가 시 경쟁 과잉.




---

5. 수치로 된 연구 사례

직장 연구 (Podsakoff, 2007):
업무 경쟁 강도가 **중간 수준(상위 50~70%)**에서 생산성이 최대치.
상위 90% 이상의 경쟁 강도에서는 이직률이 30% 이상 급증.

스포츠 심리학 (Gould et al., 1996):
선수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긴장도 6~7/10 구간이 경기력 최고, 8 이상이면 수행력 저하.



---

원한다면,

이런 연구들의 원문·데이터 링크

"경쟁 강도 측정 방법" (심리학적 척도, HR 도구)

한국 사회나 교육 환경에서 적용된 사례
도 더 찾아줄까요?
어느 쪽으로 확장해드릴까요? (원문 자료 중심 vs 실제 활용 방법 vs 두 가지 다?)


경쟁 강도(competitive intensity)를 직접적으로 수치나 지표로 측정하려는 시도는 심리학, 경영학, 스포츠, 교육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뤄집니다.
보통 **주관적 설문(심리척도)**과 **객관적 지표(성과, 시장 데이터)**로 나눠서 측정합니다.


---

1. 심리학·조직행동에서의 경쟁 강도 측정

개인과 집단이 느끼는 경쟁 압박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주로 **Likert 척도(17점)**를 사용합니다.

(1) Workplace Competitiveness Scale (Brown, Cron, & Slocum, 1998)

5~10개 문항으로 직원이 느끼는 경쟁 압박과 태도 측정.

예시 문항:

"동료와 나를 비교하는 일이 업무 동기 부여에 중요하다."

"이 조직은 성과 순위로 사람을 평가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경쟁 강도가 높은 환경.


(2) Perceived Competitive Climate Scale (Fletcher & Nusbaum, 2010)

팀/조직 수준의 경쟁 분위기를 측정.

"내 동료들은 승리보다 협동을 중시한다" (역문항) 같은 항목 포함.

경쟁이 협력보다 우위일수록 강도 ↑.


(3)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와 결합

경쟁 강도는 직접 수치화가 어렵기 때문에, 불안·스트레스 수준으로 간접 측정하기도 함.

Yerkes-Dodson 법칙 분석 시 주로 사용.



---

2. 경영학/경제학적 경쟁 강도 측정 (시장·조직)

기업이나 시장 수준에서 경쟁 강도를 정량화할 때 사용하는 지표들:

(1)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시장 집중도 지표. 기업별 시장점유율을 제곱해서 합산.

HHI 낮음 = 경쟁 심함, HHI 높음 = 독점·경쟁 완화.


미국 FTC는 HHI 2,500 이상을 "집중적 시장"(경쟁 약함)으로 봄.


(2) Number of Rivals & Market Growth

특정 산업에서 경쟁사 수, 진입장벽, 성장률 등으로 경쟁 강도 산출.

Porter의 5 Forces 모델이 자주 사용.


(3) 조직 내 경쟁 강도 지표

성과 차등 지급률(Performance-Based Pay Ratio): 성과 보너스나 승진 기회의 상위 10%와 하위 10% 간 격차.

직원 이직률과 협력 점수(조직 심리 설문)로 보정.



---

3. 교육·스포츠 분야의 경쟁 강도 측정

(1)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

운동선수들의 인지적 불안, 신체적 긴장, 자신감을 3개 하위척도로 나눠 27문항 평가.

경쟁 전후 긴장도 1~10 스케일로 측정, 경기력과 연계 분석.


(2) 학교/학업 경쟁 강도

학생 설문으로 학업 스트레스, 시험 경쟁 압박, 등수 공개 여부 등을 1~5점 척도로 평가.

한국 교육학계에서는 **학업 스트레스 척도(K-ASSI)**를 경쟁 강도 분석과 함께 사용.



---

4. 실제 활용 예시

HR 컨설팅: **경쟁 강도 지수(CCI)**를 만들 때,

조직 설문(경쟁·협력 인식),

보상제도 분석(성과차등),

직원 이직률,

팀 성과 분포
등을 종합해 0~100 점수로 변환.




---

원하면,

각 척도의 구체적 문항(연구 논문 기반)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설문지 PDF/논문 링크

경쟁 강도-성과/스트레스 관계 분석 그래프


중 어떤 걸 더 깊게 정리해줄까요?
또는 개인/조직용으로 바로 쓸 수 있는 10문항짜리 간단 설문지를 만들어드릴까요? 어느 쪽이 필요하세요?

지나친 경쟁은 모두에게 해가 된다는 게임이론

게임이론에서 “지나친 경쟁이 모두에게 해롭다”는 결과는 주로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계열이나 경쟁적 레이스 모델(Rat Race Game),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 같은 모형으로 설명됩니다.
핵심은 개인이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경쟁을 심화할수록, 집단 전체 효용이 오히려 낮아진다는 점입니다.


---

1. 죄수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각 개인이 **이기적 선택(배신)**을 하면 단기적 이득은 있지만, 둘 다 배신할 경우 협력했을 때보다 모두가 더 나쁜 결과를 얻음.

경쟁 환경에서 “남보다 앞서기 위해 투자/노력 과잉”이 나타날 때 이 구조가 성립.


예:
두 회사가 광고 경쟁을 할 때,

둘 다 광고 안 하면: 각자 10 이익.

한쪽만 하면: 한쪽 15, 다른 쪽 5.

둘 다 하면: 각자 6 (광고비 때문에).
→ **둘 다 과열 경쟁(광고)**을 선택하면 총이익이 줄어듦.



---

2. Rat Race Game (Shapiro & Stiglitz, 1984)

구성원들이 상대적 성과로 보상을 받는 조직/사회에서, 모두가 경쟁적으로 과도한 노력과 비용을 들여도 순위만 바뀌고 집단 총효율은 증가하지 않음.

모두가 더 많이 일하거나 공부하지만, 휴식 감소·건강 악화로 사회적 손실 발생.



---

3. 공유지의 비극 (Tragedy of the Commons, Hardin, 1968)

경쟁적으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개인은 즉시 이득, 하지만 집단 전체가 자원을 고갈시켜 피해.

현대 조직에선 “승자 독식형 성과 경쟁”이 사람들을 번아웃시켜, 팀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무너뜨리는 현상과 비슷.



---

4. Rent-Seeking Game (Tullock Contest, 1980)

사람들이 상금을 얻기 위해 경쟁적으로 자원(돈, 시간)을 투자할 때,
투입된 자원의 총합이 상금 가치 이상으로 커져 사회적 낭비가 발생.

예: 한 직책을 두고 지원자들이 모두 과도한 스펙 경쟁을 벌이는 경우.



---

5. 나쉬 균형(Nash Equilibrium)과 “지나친 경쟁”

위 게임들에서 각자의 최적 전략이 **집단 최적(파레토 효율)**과 불일치.

즉, **경쟁을 줄이고 협력하거나 규칙을 바꾸는 메커니즘(세금, 상한제, 협약)**이 없으면, 모두 더 많은 비용을 들이고 더 나쁜 결과에 도달.



---

연구 예시

Frank & Cook, The Winner-Take-All Society (1995):
소수 승자에게 과도한 보상이 몰리는 시장에서는, 참가자들이 막대한 노력/비용을 투입해도 대부분 손해, 사회 전체 효율성 하락.

Lazear & Rosen, Tournament Theory (1981):
경쟁 강도가 높을수록 단기 성과는 오르지만, 사기 저하, 협력 붕괴, 비윤리적 행위로 장기적으로 집단 효율성 감소.



---

원하면:

1. Rat Race Game이나 Tullock Contest의 실제 payoff 수식과 그래프


2. 이런 게임을 완화하는 제도적 해법(세금, 공동 보상, 규제)의 게임이론 모델


3. 교육/기업 사례로 단순화한 예제 (숫자 넣어 시뮬레이션)



중 어느 쪽으로 더 깊게 풀어드릴까요?
아니면 **직접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경쟁-효율 시뮬레이션 코드(Python)**도 같이 드릴까요?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AD 휴대폰 액세서리 세일 중임! 운영자 25/07/28 - -
2875230 햐 이런 날씨에 고졸들 상하차 야가다 시켜야되는데 ㅇㅅㅇ 류류(118.235) 07.27 34 1
2875229 날씨 지옥인데 ㅇㅅㅇ 류류(118.235) 07.27 29 1
2875228 밑에 깃이야기나와서 말인데 울회사는 원래 svn쓰는데 어떤놈이 깃이 최신 ㅇㅇ(211.234) 07.27 34 0
2875227 내 방 34.8도 발명도둑잡기(118.216) 07.27 28 0
2875226 JVM이 망할 일은 없겠다 프갤러(125.179) 07.27 68 0
2875223 프로그래밍 독학으로 잘해지고싶은데 [7] 프갤러(133.114) 07.27 88 0
2875222 혹시 추천해주실수있나요? [1] 프갤러(121.185) 07.27 84 0
2875221 [대한민국] 신뢰할 수 없는 대한민국 - 북한화 심화 프갤러(121.172) 07.27 27 0
2875218 츄❤+❤+ 어린이노무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46 0
2875216 오션 뷰 카페에서 일하고 싶댱❤+ 어린이노무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48 0
2875206 샤오미 온습도계시계 동기화가 안된다 발명도둑잡기(118.235) 07.27 32 0
2875205 조센에서 서열을 왜 매기는거 같냐?? 버거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30 0
2875203 점심 뭐 먹지 [1] 발명도둑잡기(118.235) 07.27 34 0
2875198 여성차별이 심하면 음기가 부족해서 지구가 가열된다 [1] 발명도둑잡기(118.235) 07.27 40 0
2875197 이재명 관세때문에 나라 망했다 [4] 초코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86 0
2875190 에어컨없는 바깥세상 천연사우나네요 [1]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45 0
2875186 내가 10년전부터 말함 기득권재벌들 해쳐먹는 좇집실험장쓰레기장이라고 뒷통수한방(1.213) 07.27 37 0
2875185 dc 악성 광고 낚시 링크 무력화하는 방법 프갤러(121.162) 07.27 35 1
2875184 개좃센에서 상위 10%니 1%니 하는거 의미 없음 ㅇㅅㅁ 류류(118.235) 07.27 41 0
2875183 음기 충전이 필요한 요즘 발명도둑잡기(118.235) 07.27 30 0
2875182 뭐 해보려고 하지만, 막상 해 볼만한게 없다. 프갤러(59.16) 07.27 31 0
2875178 좇센에서 태어난게 어떤 뇌구조를 가져야 상위20%인거임?? [1] 뒷통수한방(1.213) 07.27 49 0
2875174 숏컷 vs 단발 [2] 배구공(119.202) 07.27 69 0
2875172 좇센이 병신같은게 코로나때 개나소나취업한다면서 뒷통수한방(1.213) 07.27 55 0
2875135 공장일하다 개발자로 전직했는데 살만하다 ㄹㅇ [5] ㅇㅇ(14.51) 07.27 287 0
2875128 피곤해 조루디(118.235) 07.27 34 0
2875122 리버싱 핵심 원리 책 pc로 볼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2] 프갤러(220.72) 07.27 49 0
2875121 오픈AI가 찾는 인재는? "AI 전문가는 필요 없다…포커선수도 지원" ㅇㅇ(211.36) 07.27 50 0
2875115 커피 한 잔 마시고 자야긋다..ㅇㅅㅇ [2]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30 0
2875114 과천 현대미술관 ㅇㅅㅇ [1]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72 0
2875112 고졸 앰생이면 개발자가 최고다 [1] 프갤러(27.239) 07.27 135 0
2875111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33 0
2875110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31 0
2875109 오히려 고졸 무스팩 앰생일수록 개발자가 맞다 [2] ㅇㅇ(14.51) 07.27 73 0
2875108 재벌 해체가 답인 이유 [1] 배구공(119.202) 07.27 46 0
2875076 민생지원금 뿌리는게 물가상승이랑 상관없는 이유 (팩트체크) [6]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129 1
2875064 재벌해체가 답인 이유 [7]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343 9
2875063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118.216) 07.27 40 0
2875056 와 나 순간 await 문법 여는법이 안 떠올라서 헤맸다 [2] ㅆㅇㅆ(124.216) 07.27 92 0
2875053 역성혁명 발명도둑잡기(39.7) 07.27 25 0
2875049 “리박스쿨은 빙산의 일각…‘밈 전쟁’에서 놀이가 된 혐오 발명도둑잡기(39.7) 07.27 43 0
2875048 홍준표 "신천지 10만 명 국힘 입당…교주가 尹 돕는다더라" [1] 발명도둑잡기(39.7) 07.27 72 0
2875044 1978년 7월 서울 남산동에서 무더운 여름 밤이계속되자 발명도둑잡기(39.7) 07.27 44 0
2875043 일본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 [1] 발명도둑잡기(39.7) 07.27 57 0
2875041 40도가 넘는 천막에서 민주노총과 진보당은 발명도둑잡기(39.7) 07.27 40 0
2875040 C #은 마이크로소프트 소속언어인데 왜이렇개 병신같을까 뒷통수한방(1.213) 07.27 55 0
2875038 공수처 검찰청 경찰청 국제수사 과학수사 포랜식수사 기무사 국정원 존재이유 뒷통수한방(1.213) 07.27 29 0
2875037 전기 모기채 발명한 사람이 번 돈 발명도둑잡기(39.7) 07.27 40 0
2875034 지잡대 컴공 한국나이 28살 졸업이면 많이 늦은거냐 [1] 프갤러(119.193) 07.26 130 0
2875033 에반게리온 구극장판에서 달콤한죽음대신 이노래 어떰? ㅇㅇ(183.101) 07.26 42 0
뉴스 차은우, 군 입대전 마지막 셀카에 남자들 더 난리...“머리빨 부정하는 유일한 연예인”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