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입자나 물체의 변화는 연속vs불연속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0.26 22:23:38
조회 95 추천 0 댓글 3

viewimage.php?id=3db5c935ecd139aa7dbcdfb018d221&no=24b0d769e1d32ca73de981fa11d02831c5c0f05347e0c24fad56a85fb85acc6c5ca9e4475612a7a007978c2d253d86af9e24295c640b480ead32454bfd70d751ce89a78acebfb87059824d


닥후


스스로 생각하고 결론을 내려보시길 바랍니다.


변화가 연속일 때의 이론과 불연속일 때의 이론이 같은가?를 잘 생각해보세요.




a65130aa1f0276b660b8f68b12d21a1d4b17bacce2


a65130aa1f026ae87eb1d19528d527034eb52c05c20d


a65130aa1f026be87eb1d19528d52703adf27e76b7fa


a65130aa1f026ce87eb1d19528d527032393f0605d9d


어떤 주장을 반박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저는 미시와 거시의 구분없이 변화가 불연속이라고 했습니다.


본인이 만약 변화가 연속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현상적 증거를 하나만 제시하면 됩니다.


본인이 만약 변화가 불연속이라고 생각하면서 제 주장이 틀렸다고 생각하면 다른 이론을 만들면 됩니다.


버러지들이 변화가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확실하게 알고자 하는 것이 잘못된 주장인 것처럼 몰기나 하고 있을 뿐이죠.


저는 물론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입장입니다. 변화가 불연속이기 때문에 빛이 절대속도라고 했었죠.


또 시간이 상대적일 때 질량이 절대적이니 그 대우인 시간이 절대적이면 질량이 상대적이다도 참이라고 했고요.


변화가 불연속이면 이동거리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지 않습니다. 그러니 시간이 절대적이게 되고 질량은 상대적이게 됩니다.


그런데 과연 누가 변화가 연속인 증거를 가져왔나요? 또 누가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저와 다른 이론을 제시했나요?


반대하는 의견의 댓글을 다는게 반박이 아니라고 했는데도 왜 자꾸 반박 코스프레를 하는걸까요?


대우도 모르는 사이비 전공자가 물리학과 수학의 대부분인 현실이 참으로 개탄스럽습니다.


부끄러운줄도 모르는 것들이 나 전공자라고 설치는걸 보면 역겹습니다.



* 본인이 생각을 다음의 보기에서 한번 골라봅시다.



1. 입자와 질량체의 변화는 연속인가 불연속인가?


① 미시(입자)는 불연속이고 거시는 연속이다.

② 미시와 거시 둘 다 연속이다.

③ 미시와 거시 둘 다 불연속이다.

④ 미시는 연속, 거시는 불연속이다.

⑤ 미시와 거시는 연속일 때도 있고 불연속일 때도 있다.



2. 빛이 절대속도라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① 자연이 그냥 그런거니 알 수 없거나 알 필요없다.

② 변화가 연속이라도 빛은 절대속도 일 수 있다(그렇다면 당신은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가?)

③ 모든 입자와 질량체의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빛은 절대속도이다.

④ 광속이 절대속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는 상대속도라고 생각한다.

⑤ 광속은 때에 따라 절대속도 일수도 상대속도 일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⑥ 변화의 연속, 불연속과 빛의 절대속도는 상관이 없다.



3. 상대론은 '시간이 상대적일 때 질량이 절대적이다.'라는 명제가 존재하는 이론입니다.

그럼 그 대우도 참이며 '질량이 상대적일 때 시간이 절대적이다.'란 명제도 참이 됩니다.

그런데 시간이 절대적이게 되려면 어떻게 되어야 할까요?(복수선택 가능)


① 변화가 연속이어야 한다.

② 변화가 불연속이어야 한다.

③ 변화가 어떻든 시간의 절대성과는 상관이 없다.

④ 확실한 건 결국 질문의 두 명제 중 하나만 맞고 상대론의 명제만 맞을 것 같다.

⑤ 확실한 건 결국 질문의 두 명제 중 하나만 맞고 두번째 명제만 맞을 것 같다.

⑥ 두 명제 모두 이론적으로 맞지만 하나만 현상적으로 옳다.



4.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각각 옳은 이론이라 생각하는가? 아니면 어느 한쪽이 다른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라 생각하는가?


① 상대론이 양자역학을 포함할 것이라 본다.

② 양자역학이 상대론을 포함할 것이라 본다.

③ 둘 다 틀렸고 제 3의 이론이 있을거라 본다.

④ 거시는 상대론 미시는 양자역학으로 각각 옳다.



5. 3번의 질문이 틀렸다면 현재의 물리학은 질량과 시간의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하는가?


① 질량도 시간도 모두 절대적이다.

② 질량도 시간도 모두 상대적이다.

③ 질량은 절대적 시간은 상대적이다.

④ 질량은 상대적 시간은 절대적이다.

⑤ 질량과 시간은 딱히 관계가 없다.



6. 뉴턴의 이론은 상대론이 나온 후에도 여전히 이론적으로 옳은가?


① 이론적으로 틀렸다.

② 이론적으로는 여전히 옳지만 현상적으로는 틀렸다.

③ 이론적으로 좀 더 보완할 필요가 있을분 여전히 옳다.

④ 이론적으로도 현상적으로도 틀렸다.


위의 문항을 만든 이유는 제 이론이 틀렸다는 사람이 있는데 그럼 그 사람들의 의견이 무엇인지 확인해보기 위해서입니다.


일단 저는 변화가 불연속이고 에너지가 불변이면 질량이 상대적 시간이 절대적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제가 틀렸다고 하려면 변화가 연속이거나 변화가 불연속이어도 시간이 여전히 상대적이고 질량이 절대적이거나,


변화가 어떻든 질량과 시간에 영향이 없다거나 하겠죠. 이것부터 확실히 하고 넘어가야 하는데 이걸 말을 안하니 대화가 의미가 없죠.


그러니 확실히 자신의 생각을 적어봅시다. 그럼 누가 사이비인지 알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문제는 업데이트가 될수도 있습니당.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192173 대우도 모르는 사이비들이 내이론이 틀렸다고? [30]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9 267 0
192172 비례 인자 구하기(수평과 수직 빛 시계 비교) [52] 물리기초(211.33) 24.12.18 190 0
192171 2024 새로운 물리학 발견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8 236 2
192170 입자나 물체의 변화는 연속vs불연속 [8]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8 149 0
192169 근데 미래에 광속으로 다닐수 있으면 [2] ㅇㅊㅇ(121.138) 24.12.17 101 0
192168 원룸인데 전기매트키고 벽 만지면 전기 느껴지고 우우웅 [1] ㅇㅇ(121.152) 24.12.17 123 0
192167 물리학 노베이스 찐문과인데 양자역학 공부 [2] 프로젝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7 162 0
192166 생각해보면 볼츠만이야말로 아인슈타인과 동급아님? [3] NIPP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7 151 0
192165 양자 엔트로피란게 정확히 뭘 의미하는거임? [12] NIPP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7 181 0
192161 아직도 길이수축으로 논쟁이냐 [8] 물갤러(211.235) 24.12.17 141 0
192159 아인슈타인 로런츠 인자의 비밀 [6] 물리기초(211.194) 24.12.17 131 0
192158 양자컴 관련해서 [1] 물갤러(112.170) 24.12.16 148 0
192157 수능같은 소리하고 자빠졌네ㅋㅋ [8]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6 334 1
192156 부기우님 수능 물리 시험봐서 2등급나오면 인정함 [1] (211.234) 24.12.16 150 4
192155 참 차암 물리기초(121.182) 24.12.16 60 0
192153 RC RL 회로 실험할때 오차율 [4] 물갤러(114.201) 24.12.16 142 0
192151 열전달 고수행님덜 도와주셈무... 물갤러(61.99) 24.12.15 70 0
192150 우리가 보는 건 다 환상임.. [1] 물갤러(223.38) 24.12.15 103 0
192149 질량 있는 빛 [2] ㅇㅇ(220.122) 24.12.15 114 0
192148 빛은 왜 안멈추냐 [2] ㅇㅇ(220.122) 24.12.15 101 0
192147 빛의속도로 달려 ㅇㅇ(220.122) 24.12.15 66 0
192146 입자나 물체의 변화는 연속vs불연속 [4]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5 133 0
192144 수증기는 물임??? 똑같은 H2O임? [4] ㅇㅇ(61.79) 24.12.14 138 0
192143 수학 잘하는 물리러 있음? [3] ㅇㅇ(106.101) 24.12.14 189 1
192142 물체에 힘을 가하는 원리는.. [1] 물갤러(218.155) 24.12.14 95 0
192141 기계과인데 일물실2에서 스트레스 받는데 [1] 물갤러(222.234) 24.12.14 116 0
192140 블랙홀 관련 궁금한 점 질문해도 됨?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3 160 0
192139 키팅 선생님의 명강의!) 물갤러(121.172) 24.12.13 73 2
192137 길이 수축의 오류 증명 [317] 물리기초(121.182) 24.12.13 666 0
192136 입자가 쌍생성을 하는 이유.. [2] 물갤러(218.155) 24.12.13 131 0
192135 오예!!! [6] ㅇㅇ(37.19) 24.12.13 138 3
192134 5만킬로미터 막대기 우주공간에서 돌리기 [2] ㅇㅇ(122.32) 24.12.13 100 0
192133 )MZ Mega Rush University!( 물갤러(121.172) 24.12.13 57 2
192132 입자나 물체의 변화는 연속vs불연속 [3]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2 93 0
192131 적분기호에 동그라미 있는거 이거 정의가 뭐였지 [3] ㅇㅇ(116.37) 24.12.12 187 0
192130 물리기초야 근데 너 빛시계로 뭘 증명하고 싶은거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2 103 0
192129 물체의 이동은 전부 밀도 차이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임.. [6] 물갤러(218.155) 24.12.12 129 0
192128 ct값의 동일 여부로 알아본 대칭성과 상대성 원리 [50] 물리기초(121.182) 24.12.12 283 0
192127 근데 니들 시공간 그래프에 자꾸 피타고라스 법칙 쓰는데 [1] 물갤러(118.235) 24.12.12 133 0
192126 최고 이론 입자 물리 대학 [1] 물갤러(211.215) 24.12.12 186 0
192125 사선 계 변환 [8] 물리기초(121.182) 24.12.11 114 0
192124 형상복원 종이에 쓰인 물질은 뭘까 [1] ㅇㅇ(39.7) 24.12.11 427 3
192123 슈뢰딩거의 고양이 이해불가.. [7] 물갤러(182.211) 24.12.11 179 0
192122 입자나 물체의 변화는 연속vs불연속 [3]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1 109 0
192121 1차원 뿌링클 정리 ㅇㅇ(220.122) 24.12.11 52 0
192120 깨달았다 ㄷㄷ 아벨두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1 87 0
192119 중력퍼텐셜을 4차원으로 확장시켰더니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1 193 0
192118 오우 양자컴도 진척이 꽤 됐구나 [9] ㅇㅇ(222.238) 24.12.11 253 1
192117 dimensions 2a by a [2] 물갤러(118.235) 24.12.10 79 0
192116 이 갤 온지 얼마 안됐는데 부기우 이 사람 뭐임? [2] 물갤러(211.234) 24.12.10 182 0
뉴스 '불꽃야구' 선발투수 유희관, 대구고 상대로 칼제구 자랑할까? 라이온즈 배찬승 동생 등장에 모이는 관심! 디시트렌드 08.0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