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터뷰] 이인재 인천대 총장 “거점 국립대 역할 강화…인천 '브랜드 파

인갤러(211.202) 2025.06.30 08:45:51
조회 56 추천 1 댓글 0

[인터뷰] 이인재 인천대 총장 “거점 국립대 역할 강화…인천 '브랜드 파워' 극대화”

  • 기자명 정혜리 기자  
  •  입력 2025.06.29 17:53 
  •  수정 2025.06.29 18:00 
  • 지면 2025.06.30 12면 
  •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제물포캠퍼스 부지 공공의대 활용 구상
산학 콤플렉스 등 대체 방안도 검토 중

시 전략산업 연계·지역기업 동반 성장
바이오헬스 등 연구개발 허브 자리매김

단과대 자율성 제고 '학장 추천제' 도입
소통 플랫폼 실질화…정기 피드백 약속

🔼 이인재 인천대학교 신임 총장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대학교
🔼 이인재 인천대학교 신임 총장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인천대학교가 자타가 인정하는 명문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대학 구성원들과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인천대학교가 새 수장을 맞이하고, 변화의 신호탄을 쐈다.

지난달 10일 공식 임기를 시작한 이인재(62) 신임 인천대 총장은 ‘변화와 혁신을 통해 미래를 선도하는 국립대학’이란 비전을 제시하며,

더 새로운 인천대로의 변모를 예고했다.

오랜 과제인 캠퍼스 활용부터 ‘지역 거점국립대’로서의 정체성과 역할 확립 등, 풀어갈 과제가 많은 만큼 새 총장의 어깨가 가볍지만은 않다.

하지만 이 총장은 🔼혁신 교육 대학 🔼연구 중심 대학 🔼거점 국립대학이라는 지향점을 바탕으로 변화와 함께 도약을 이뤄내겠다는 각오다.

 

🔼캠퍼스별 특색 운영…'숙원' 제물포, 공공의대 전환 청사진도

인천대는 오랜 세월 캠퍼스 활용 문제를 비단 학교만이 아닌 지역사회 숙원으로 안고 있다. 이 총장은 송도와 미추홀, 제물포 등 흩어진 캠퍼스에 각자 맞는 색깔을 입히겠다는 구상을 언급했다.

그는 “송도·미추홀·제물포 캠퍼스마다 특색있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운영하려고 한다”며

“송도가 교육과 연구의 중심적 역할을 맡고,

미추홀캠퍼스는 산학협력 캠퍼스로 재편하는 식”이라고 말했다.

이중 항상 큰 관심을 끄는 '제물포캠퍼스' 활용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 총장은 지난 23일 미추홀구 제물포캠퍼스를 찾아 전반적인 시설 현황을 확인하고, 노후시설 정비와 개발계획의 내실 있는 추진 등을 당부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제물포캠퍼스는 인천대의 뿌리를 간직한 역사적 공간이자, 향후 복합 교육·문화 거점으로 개발될 전략적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장은 특히 제물포캠퍼스를 향후 '공공의대' 부지로 활용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는 “장기적으로는 제물포캠퍼스를 공공의대 캠퍼스로 전환하는 게 최선의 방안이라고 생각한다”며

“지난해 '공공의과대학 설립 방안 연구 결과 발표 및 토론회'를 열고, 제물포캠퍼스를 공공의대 부지로 활용하는 구체적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다만 이 방안이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산학 콤플렉스 조성 등 다양한 대체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지역 거점국립대' 정체성 제고 도모

인천대는 지역 유일의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지역의 문제를 고민하고 지역사회 및 시민과 함께해야 한다는 과제를 숙명으로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총장은 연구 강화와 캠퍼스 개방 등 지역 거점 국립대학으로서의 정체성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내놨다.

그는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를 강화하겠다”며 “인천시 전략 산업과 연계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대응,

인천테크노파크와의 협력 체계 구축, 기초학문 육성 지원 확대 등은 지역과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는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열린 캠퍼스' 정책을 확대해 시민들이 학교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 프로그램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특히 지역 거점 국립대의 역할을 위해 시와 군·구 등 지자체는 물론 지역 기업과의 '동반자' 관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봤다.

이 총장은 “시와의 관계는 공동 전략을 수립하는 수준으로 격상할 계획”이라며 “시가 추진 중인 바이오헬스, 스마트 물류,

탄소중립 기술 등 전략산업에 맞춰 인천대의 첨단 학과와 연구소를 매칭하고, 대학이 지역 산업의 연구·개발(R&D) 허브로 기능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그는 “연수구, 미추홀구 등 대학 인접 자치단체와는 청년 창업 지원, 평생학습 프로그램 공동 운영, 도시재생 연계 연구 등 생활밀착형 협력 사업을 확대할 수 있다”고도 했다.

지역 기업과의 협력을 위해 산학협력단 체계 전반을 혁신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 총장은 “대형 연구과제 유치 중심의 '톱다운(Top Down·하향식)' 방식과 지역 기업 수요를 반영한 '바텀업(Bottom Up·상향식)' 방식을 병행해 균형 잡힌 산학협력 구조를 구축할 것”이라며 “중소·중견기업들과의 공동 R&D,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인천대 졸업생의 지역 정착률 제고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 이인재 인천대학교 신임 총장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대학교
🔼 이인재 인천대학교 신임 총장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대학교

🔼대학 구성원 모두 '변화' 주체로…조직 문화 개선도 박차

이 총장은 대학 운영에 있어 '소통'에도 방점을 뒀다. 대학 발전을 위해서는 구성원들 모두가 변화의 주체로 참여하며, 서로 비전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실제로 이 총장은 임기를 시작한 직후인 지난달 26일, 교직원과의 공식 소통 자리인 '소통 동행 비전 설명회'를 마련하고 소통의 포문을 열었다.

이 총장은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참여 구조를 제도적으로 보완할 예정”이라며 “단과대학 학장 추천제를 도입해 각 단과대에서 추천한 인사를 총장이 임명하는 방식으로 단과대의 자율성과 의견 반영을 확대하고자 한다. 또 전체 학과장 회의를 정례화하는 등 학과 의견을 대학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공식 소통 채널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총장에게 바란다' 플랫폼을 실질화해 구성원의 의견이 총장에게 직접 전달되고, 주기적으로 피드백이 이뤄지는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직 문화 개선에도 힘을 싣는다.

이 총장은 “경쟁과 갈등이 아닌 협력과 신뢰의 조직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재 조직개편을 진행하고 있다.

혁신 교육을 위한 교육 부서의 재편,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발전을 위한 대학원 기능 강화, 캠퍼스 글로벌화를 위한 전담 부서 신설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시민들에게 학교를 향한 애정과 관심을 당부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인천대는 시민의 사랑과 지원으로 성장해 온 대학입니다. 인천대가 인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

🔼이인재 인천대학교 신임 총장은

인천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서울대 공법학 법학학사와 법과대학원 법학석사, 시카고대학교 로스쿨 법학석사, 뉴욕대 경제학박사를 취득했다. 지난 2008년부터 인천대 교수로 재직하며 대외협력부총장을 역임했다. 또 대외적으로는 한국노동연구원 원장과 한국노동경제학회 회장, 안민정책포럼 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등을 지냈다. 지난해 5월부터는 제13대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인터뷰] 이인재 인천대 총장 “거점 국립대 역할 강화…인천 '브랜드 파워' 극대화” < 인터뷰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인천일보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의외로 연애 못할 것 같은 연애 하수 스타는? 운영자 25/08/04 - -
AD LEET 예상 성적 발표! 모의지원으로 합격예측! 운영자 25/07/01 - -
AD 해커스풀서비스로 표점 확인하고 네페 3만원 무료받기! 운영자 25/07/23 - -
158993 박정희는 1970년대 당시 인기 탈렌트 안은숙을 강간한 후, ㅇㅇ(58.72) 07.27 45 3
158992 인천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총 10회 9년 연속 선정 인갤러(211.202) 07.27 40 1
158991 국립인천대학교, 예비 대학생 대상 『INU 전공탐험대』 프로그 인갤러(211.202) 07.27 41 0
158990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취·창 인갤러(211.202) 07.27 61 1
158989 인천대학교, 세계 혁신대학 9위… 국내 최고 혁신대학 등극 인갤러(211.202) 07.27 41 1
158988 인천대‘제5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수행기관 선정 인갤러(211.202) 07.27 130 1
158986 인천대, '2025 국가브랜드 대상' 거점국립대 부분 1위 수상 [1] 인갤러(211.202) 07.26 92 3
158984 인천대, '2025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 전당' 선정 인갤러(211.202) 07.26 81 3
158983 인천대입구역도 낚시역이네. 인천대 가려면 또 버스타야됨 [5] ㅇㅇ(172.225) 07.26 168 6
158982 [포토] 국립인천대, 2026학년도 수시 박람회 현장 인갤러(211.202) 07.25 58 0
158981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취·창업 인갤러(211.202) 07.25 61 0
158980 “관문도시, 감염병 대응 거점으로”…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속도 ! 인갤러(211.202) 07.25 59 6
158978 “관문도시, 감염병 대응 거점으로”…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속도 인갤러(211.202) 07.25 50 4
158977 인천대‘제5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수행기관 선정 인갤러(211.202) 07.25 128 0
158976 서명지 인천대 교수, 과기총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인갤러(211.202) 07.25 40 1
158975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취·창업 인갤러(211.202) 07.25 64 0
158974 2025 지방거점국립대 입시결과 jpg 인갤러(126.34) 07.25 112 3
158973 인천대학교, 세계 혁신대학 9위… 국내 최고 혁신대학 등극 인갤러(211.202) 07.25 45 0
158972 인천대 일본지역문화학과, 일본 니토리 국제장학재단 장학금 1억 원 유치 인갤러(211.202) 07.25 51 0
158970 인천대, 2024년도 4년제대 재학형 및 재직자 일학습병행 사업 성과 인갤러(211.202) 07.25 55 0
158969 [포토] 국립인천대, 2026학년도 수시 박람회 현장 인갤러(211.202) 07.25 54 2
158968 [2026 수시박람회] 인천대, 1758명 수시에서 선발… 학생부교과 인갤러(211.202) 07.25 70 1
158967 [와이드인터뷰] 이인재 인천대학교 총장 "공공의대 설립 공감대 충분… 의 인갤러(211.202) 07.25 80 3
158966 물류 박사 143명 배출한 인천대 동북아물류대학원 20주년 맞아 인갤러(211.202) 07.25 42 1
158964 [현장] 2026학년도 수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_인천대학교 인갤러(211.202) 07.24 75 1
158963 인천대 의대 · 섬지역 인프라 ‘다져지는 공공의료’ [李 대통령 인 인갤러(211.202) 07.24 50 0
158961 인천대학교, 세계 혁신대학 9위… 국내 최고 혁신대학 인갤러(211.202) 07.24 58 1
158960 인천대, 2024년도 4년제대 재학형 및 재직자 일학습병행 사업 성 인갤러(211.202) 07.24 61 1
158959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인갤러(211.202) 07.24 92 0
158957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취·창 인갤러(211.202) 07.24 94 1
158956 국립인천대 무역학부, 아시아전시컨벤션연맹(AFECA) 특별상 인갤러(211.202) 07.24 48 0
158954 인천대 일본지역문화학과, 일본 니토리 국제장학재단 장학금 1억 원 인갤러(211.202) 07.24 83 2
158953 인천대, '인문사회 HUSS 포용사회 구축 컨소시엄 주관대학' 선정 인갤러(211.202) 07.24 54 1
158952 인천대 의대 · 섬지역 인프라 ‘다져지는 공공의료’ [李 대통령 공약] 인갤러(211.202) 07.24 102 3
158950 인천대, RISE 사업 통해 지역 혁신 거점대학으로 도약 선언 인갤러(211.202) 07.23 47 1
158949 인천대학교, 세계 혁신대학 9위… 국내 최고 혁신대학 등극 [1] 인갤러(211.202) 07.23 78 1
158947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취· 인갤러(211.202) 07.23 70 0
158946 요즘 다 아이패드로 공부하던데 인갤러(106.101) 07.23 72 2
158945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추진 정책 제안서' 제출 인갤러(211.202) 07.23 54 1
158943 [아임 프롬 인천·(40)]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대학 1기 이상은입니다 인갤러(211.202) 07.23 80 1
158942 국립인천대학교, 예비 대학생 대상 『INU 전공탐험대』 프로그램 인갤러(211.202) 07.23 42 1
158941 인천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총 10회 9년 연속 선정 인갤러(211.202) 07.23 42 1
158940 인천대, '2025 국가브랜드 대상' 거점국립대 부분 1위 수상 인갤러(211.202) 07.23 106 1
158938 자칭 수도권 근접 국립대라는 강원대 입결 인갤러(106.101) 07.23 89 0
158937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취·창업 인갤러(211.202) 07.22 60 0
158936 의정 갈등에 멈췄던 ‘공공의대 신설’… 인천시, 논의 재개 인갤러(211.202) 07.22 47 2
158935 인천대, 'KOICA 기후환경 역량강화 석사학위연수사업' 선정 인갤러(211.202) 07.22 43 0
158934 인천대‘제5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수행기관 선정 인갤러(211.202) 07.22 125 2
158933 인천대·인천시·CJ제일제당, '인천지역 해양수산연구 발전' 맞손 인갤러(211.202) 07.22 63 0
158931 [2026 수시/인천대학교] ‘탄탄한 재정 보유한 국립대’… 취·창 인갤러(211.202) 07.22 72 0
뉴스 '에스콰이어' 이진욱, "이 작품을 통해 시청자분들도 함께 마음 돌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람 전해!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