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n-1편) 한국 은행 총재가 창조적 파괴가 필요하다 말하는 이유 앵무새죽이기
- 싱글벙글 AV 배우가 함께 촬영하기 꺼리는 남자 배우 특징 헌영
- 설명만 들어도 심장 쫄깃한 공포영화 ㅇㅇ
- 전한길 국힘 입당의 소식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
- 트위터에서 한녀들 제대로 긁은 짤.jpg 네거티장애
- "혼자 사는 여자는 덮치기 쉽다"…논란에 휩싸인 게시글 뉴스봇
- 전세대출 원금 전부 집주인 DSR 에 포함시킨다 ㅇㅇ
- 와들와들 중범죄 전과자가 벌인 끔찍한 사건..jpg ㅇㅇ
- 전문가들이 통계로 예상하는 2060년 대한민국 ㅇㅇ
- 훌쩍훌쩍 세번 죽은 남자 누가 안식을 훔쳐갔나 윤의철군단장
- 범행 후 CCTV에 '일베 인증'…미아동 흉기난동범 사형 구형 ㅇㅇ
- 요새 난리났다는 일론 머스크 중국 이적설.news ㅇㅇ
- 오잉오잉 한국 빵값 비싼 이유.jpg ㅇㅇ
- 캣맘들을 도망가게한 안내문.jpg 네거티장애
- 승무원들이 굳이 가고 싶지 않은곳 2탄 ㅇㅇ
싱글벙글 소년만화 시간설정 올타임 레전드...jpg
그 주인공은 바로 바키 시리즈 싱붕이들이 좋아하는 무신 우일석 관장님이 나오는 한마바키 시리즈다. 대체 이 세계관의 시간설정이 어떻길래 112권동안 겨우 3년 지난 원피스보다 레전드라는걸까? 일단 이 세계관에서 미국 대통령은 주인공인 바키 애비인 한마유지로한테 매 취임때마다 상호방위 조약을 해야하는 개미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개인의 완력만으로 세계 최강대국과 대등하다는바를 보여주는 연출이나 정작 유지로 이새끼는 우일석 관장님께 복날 개처럼 두들겨맞고 마취총에 드르렁하는걸 보아 그냥 바키 세계관의 미국이 신석기 문명급 유사국가라고 이해하면 됨 바키 1부: 빌 클린턴 대통령 바키 3부 : 아들 부시 3부 후반 : 오바마 비교적 최근으로 와서도 이 컨셉은 유지되어 4부에 들어서자 트황상조차 땀을 뻘뻘 흘리며 선서를 하고 마음씨 좋은 치매할아버지도 예외는 없었다. 그럼 한턴 걸러 재선에 성공한 트럼프는 이미 한번 했으니 열외했느냐? ㄴㄴ 일론머스크랑 같이 사이좋게 3p (진짜 3p맞음) 당하러 감 남성호르몬 수치가 넘쳐흘러서 오버플로우 된 탓에 남녀노소 안가리고 구멍이라면 다쳐박아대는 놈이라 진짜 따먹히러감 ㅇㅇ; 한편 이렇게 애비가 20세기부터 21세기까지 미합중국 대통령들의 청년막을 개통시키는동안 주인공인 바키는 여전히 고3 나이로 멈춰있음 이게 그 사자에상 시공인가 그거냐? 여담으로 자국 총리도 예외는 없어서 지금은 지하실에서 음반 녹음중인 아베게이도 여기선 꼬리흔들기 바쁘다 이기 이 외에도 도박묵시록 카이지 작가가 그린 다른만화 아가키라는 작품은 현실 시간으로 무려 27년동안 마작을 두었다고 한다 늙기 싫은 싱붕이들도 만화속 세계관에 들어가면 30년동안 늙지않고 한마유지로에게 뒷구멍으로 가버릴수 있지 않을까? 노화도 방지하고 내면의 여성스러움도 발견하니 여간 기합이 아닐수 없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미국식 자본주의를 가장 빠르게 닮아가고있는 나라
그건 바로 "영국" 되시겠다. 1970년대까지만해도 공공재, 파업, 노조 등 노동자와 국가의 힘이 강했던 영국을 완전히 탈바꿈시킨 인물. 한국에서도 민영화와 신자유주의로 유명한 인물 "마거릿 대처" 총리 되시겠다. 대처 영국총리가 집권했던 1980년대 시절 미국 대통령은 로널드 레이건이였는데, 공교롭게도 레이건 역시 대처와 마찬가지로 민영화정책을 내세웠고, 노조와 규제를 깨부수고 기업에 혜택을 몰아주는 등 친기업, 친자본가 성향이었다. 사실상 미국과 영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경제가 이시기때부터 시작된것. 그래서 대처이후 현재 영국이 어떻게 변했는데? 영국 전기산업의 민영화 현재 영국 전역에 전기와 에너지를 공급하는 주체는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들이며, 그중에서도 내셔널그리드가 크게 주도하고있다. 내셔널그리드는 현재 시가총액이 100조원에 달하는 거대기업이며 이 기업 하나가 잉글랜드 전력의 80%를 독점하고 있다. 영국 상하수도 산업의 민영화 영국 수도는 1989년부터 민영화되어 현재 20개정도 되는 민간기업들이 영국 전역의 물과 하수를 관리하고 있다. 한국전력이나 한국수자원공사와 같은 공공기업들이 전기와 수도를 관리하는 한국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 영국 통신산업의 민영화 1980년대 통신의 민영화이후 현재 영국은 국가차원에서 통신을 관리하는것이 아닌 보다폰, BT와 같은 민간대기업들이 독점하고 있다. 독일의 도이치텔레콤이나 프랑스의 오렌지 등은 전부 공공기업인데, 영국은 미국과 같은 민간영역으로 통신이 넘어가게된것. 참고로 보다폰은 연매출액이 거의 100조원에 달할정도로 거대한 통신사이기도 하다. 영국 석유, 난방산업의 민영화 역시 80년대 이후 난방산업도 민영화되어 영국은 현재 민간 석유기업들이 가정용 난방을 지배하고 있다. 수많은 기업이 있지만, 쉘과 BP가 사실상 영국을 양분하고있다. 흔히 알려진대로 쉘과 BP는 매출액 기준 둘다 300~500조원에 달할정도로 전세계 최대 기업들중 하나이며 과거 영국 제국주의의 앞잡이역할을 한것으로도 유명하다. 영국 항공산업, 공항들의 민영화 영국은 항공사와 공항들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영국항공, 버진 그룹 등 민간기업들이 지배하는 국가다. 게다가 영국 최대 공항이자 세계 최대 공항중 하나인 히드로 공항도 민간기업이 소유 및 운영중이다. 인천국제공항이 국가소유인 한국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영국 교통산업의 민영화 영국은 버스와 같은 교통산업도 민영화되었다. 퍼스트그룹, 스테이지코치와 같은 민간 대기업이 운영하는 구조. 요금 책정과 노선 지정, 운행 시간 등 실질적인 운영을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한국과 달리 영국과 미국은 지자체가 교통 운영에 간섭할수가 없다. 영국 우편산업의 민영화 우편또한 마찬가지다. 우정사업본부와 같은 정부가 직접 우편을 운영하는 한국과는 달리 영국은 로열메일 이라는 민간기업이 편지, 소포, EMS, 금융 등을 장악하고 있다. 이렇듯 영국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기, 상하수도, 통신, 난방, 항공, 교통, 우편 등 공공산업을 전부 민영화시켜 대기업으로 넘겼다. 그러나 뭐든지 부작용도 존재하는법. 복지를 줄이고 민간기업에 혜택을 몰아주는 신자유주의 정책이 반세기가까이 영국에서 이어진결과 현재 영국은 빈부격차면에서 OECD국가중 2위를 달성하는 불명예를 앉았다. 참고로 가장 빈부격차가 심각한 나라 1위는 "미국"이었다. 즉 신자유주의가 가장 강한 미국과 영국이 1,2위를 나란히 차지하고있는것을 보면 충분히 생각해볼문제다. 공교롭게도 2025년 세계 1인당국민소득을 보면 미국이 8만9천달러, 영국이 6만3천달러로 인구 5000만이상 국가중 각각 세계 1, 2위를 차지하고있다. 빈부격차가 가장 심한 두 나라임과 동시에 국민소득이 가장 높은 나라라는것이 아이러니...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부스럭이낫지 방귀는 냄새도있자나
판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