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도 그러하다 ㅋㅋㅋ
Seong-Jin Cho, from the depths of the piano in Granada
73rd GRANADA FESTIVAL. Recital by Seong-Jin Cho (piano). Works by Ravel and Liszt. Location: Granada, Palace of Charles V. Date: June 22, 2024.
Asian names can often blur together, sounding somewhat alike from a Western perspective. However, the South Korean Seong-Jin Cho (Seoul, 1994) shares little in common with other great pianists from the East. His wonderful virtuosity is undeniable, but he adds an expressive magic and a communicative talent that surpasses the dazzling brilliance of his prodigious technique. He interprets the second book of Liszt's Years of Pilgrimage with the brilliance of Lazar Berman, the stylistic authority of Brendel, and the enchantment of Cziffra.
Definitely, Cho is a unique and unmistakable figure in contemporary piano, and always has been. The long and substantial recital—featuring Ravel and Liszt—that he presented on Saturday at the Granada Festival, in the evocative space of the Palace of Charles V, stands among the pinnacles of piano performances in a festival that has showcased the very best of the piano world.
More than merely playing at the keyboard, Seong-Jin Cho interprets from the very essence of the piano, merging with the instrument, which in his perfect fingers finds the best and most diverse r.egisters. Colors and phrasing are thus framed within a dynamic spectrum that ranges from pianissimos rooted in intimacy to fortissimos that are immense, rounded, and powerful. His sense of tempo, with a broad, free, and expansive rubato, always returns precisely to its place, just as the branches of a tree, after the wind, regain their position firmly anchored to the trunk.
An interpretative style capable of delving into the gray reflections of Il penseroso, exploring the poetry of the Petrarch Sonets, or immersing itself without safety into the narrative fire of the Dante Sonata. An unforgettable Liszt, a glory of Romanticism and pianistic expression, preceded in the first half by a Ravel where ivity and precision embraced imagination. It’s impossible to imagine a better interpretation of the final toccata from Le tombeau de Couperin. The Valses nobles et sentimentales were infused with calculated rhythmic nuances, "in which the harmonies reveal the reliefs and forms of the music," as Ravel wrote, along with the lightness and classical reminiscences of the Sonatina.
Seong-Jin Cho's total pianism encompasses subtlety, strength, delicacy, virtuosity, technique, tradition, commitment, and expressive imagination. He has it all! A sort of imaginary cocktail made up of Lupu, Berman, Brendel, Horowitz, Cziffra, Guilels, and Orozco, with whom he shares a significant expressive vitality. He also embodies the unwavering artistic honesty of Alicia de Larrocha and the sonic enchantment of Perianes... and, of course, above all, his own unique identity! The absolute silence of the summer night in the Carlo V was a testament to his ability to generate emotion and awaken feelings in this true colossus of the piano, who at thirty, with the appearance of a twenty-something, is already a secular god of the piano. This has been recognized by the juries of competitions such as the Chopin Competition in Warsaw (which he won in 2015) and the Tchaikovsky Competition in Moscow (Bronze Medal in 2011).
But beyond triumphs and accolades, Seong-Jin Cho's pianistic art is primarily validated by the response of an audience—of audiences—who feel rather than merely perceive the greatness of music when it is born, understood, and projected from its innermost depths. Perhaps the soul? After more than two hours of recital, the success was, of course, immense. It was already past midnight, and after having done everything, Cho had the whimsical idea of playing Schumann's "Dreaming," a late-night treat under the stars of Sierra Nevada. Yes, but it was a descent to earth. Justo Romero.
Seong-Jin Cho, 그라나다 피아노의 심연에서
제73회 그라나다 페스티벌. 피아니스트 성진초의 리사이틀. 라벨과 리스트의 작품들. 장소: 그라나다, 카를로스 5세 궁전. 날짜: 2024년 6월 22일.
아시아 이름들은 종종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서구의 관점에서 비슷하게 들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국의 성진초(서울, 1994)는 동양의 다른 유명 거장 피아니스트들과는 크게 다릅니다. 그의 뛰어난 기교는 부인할 수 없지만, 그는 압도적인 기교의 화려함을 초월하는 표현의 마법과 소통 능력을 더합니다. 그는 리스트의 《순레의 해》 제2권을 라자 베르만의 찬란함, 브렌델의 스타일 권위 그리고 치프라의 매력으로 해석합니다.
확실히, 변합없이 성진초는 현대 피아노에서 독보적이고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인물입니다 . 그가 토요일에 그라나다 페스티벌에서 카를로스 5세 궁전의 매력적인 공간에서 선보인 라벨과 리스트를 포함한 길고 의미 있는 리사이틀은, 이 페스티벌에서 피아노 세계의 최고를 선보인 공연들 중에서 최고의 자리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성진초는 단순히 건반을 연주하는 것을 넘어, 피아노의 본질에서 해석하며 악기와 하나가 됩니다. 그의 완벽한 손가락은 가장 다양하고 최상의 음색을 찾아냅니다. 색상과 프레이징은 이렇게 친밀함에 뿌리를 두고 있는 피아니시모에서부터 거대하고 둥글며 강력한 포르티시모에 이르기까지 동적인 스펙트럼으로 구성됩니다. 그의 템포 감각은 넓고 자유로운 루바토를 통해 항상 정확히 제자리에 돌아오며, 바람이 불고난 후 나무의 가지들이 트렁크에 단단히 고정되어 다시 제자리를 찾는 것과 같습니다.
회화적인 스타일은 《Il penseroso》의 회색 반영을 깊이 탐구하고, 페트라르카 소네트의 시를 탐색하며, 단테 소나타의 서사적 불꽃에 안전하게 빠져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잊을 수 없는 리스트는 로맨티시즘과 피아노 표현의 영광으로, 첫 부분에서는 객관성과 정밀함이 상상력을 포용하는 라벨이 앞서 있습니다. 《Le tombeau de Couperin》의 마지막 토카타는 더 나은 해석을 상상할 수가 없습니다.《Valses nobles et sentimentales》는 계산된 리드미컬한 뉘앙스로 가득 차 있었으며, "그 하모니는 음악의 윤곽과 형태를 드러낸다"고 라벨이 썼듯이,소나티나의 가벼움과 고전적인 회상도 함께 담겨 있었습니다.
성진초의 총체적인 피아니즘은 섬세함, 힘, 우아함, 기교, 유파 기법, 전통, 헌신, 그리고 표현적인 상상력을 포괄합니다. 그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루푸, 베르만, 브렌델, 호로비츠, 치프라, 길렐스, 그리고 오로스코의 조합처럼, 그는 그들과 함께하는 뛰어난 표현의 활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알리시아 드 라로차의 변함없는 예술적 정직성과 페리안의 음향적 마법을 구현하며, 무엇보다도 자신의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카를로스 5세 궁전에서의 여름밤의 절대적인 침묵은 이 진정한 피아노 거장이 감정을 생성하고 느낌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증명했습니다. 그는 서른에 스무 살 같은 외모로 보이며, 이미 현세의 피아노의 신(secular god of the piano) 이 되었습니다. 이는 그가 2015년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 콩쿠르를 우승하고, 2011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동메달을 수상한 것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조성진의 피아니즘 예술은 승리와 찬사를 넘어, 음악이 탄생하고 이해되고 내면 깊숙한 곳에서 투영될 때 음악의 위대함을 단순히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청중들의 반응에 의해 검증됩니다. 아마도 음악의 영혼일까요? 두 시간이 넘는 리사이틀이 끝난 후 성공은 당연하지만 어마어마했습니다. 이미 자정이 넘은 시간이었고, 모든 일정을 마친 Cho는 시에라 네바다의 별빛 아래서 슈만의 '꿈'을 심야에 연주해보고 싶다는 때아닌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예 그것은 지상으로의 강림이었습니다. 주스토 로메로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