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옛날글 끄집어 보기..

옥상호출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8.23 16:33:48
조회 185 추천 0 댓글 0

ta_01.gif
바둑에서 젤 신기했던것
ta_02.gif발가락



<수나누기>

모양의 비교를 통해 착점의 효율을 알아볼 때, 수순의 전후를 무시하여 비교하는 방법. 한 번 놓인 돌은 계속 놓여 있게 되므로, 상대의 돌은 중복시키고, 나의 돌은 최대의 위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 바둑의 기본 전략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수나누기\'이다.
근대 바둑 초창기에 나타나 일부 바둑 천재들이 사용한 \'수나누기\'의 수법에 다른 기사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했다고 한다. 요즘에는 아마추어 고수들도 사용할 정도록 매우 일반화된 개념이다.
 
수나누기 이론을 처음 창안한 사람은 슈우사쿠(고스트바둑왕에도 나오는 전설적인 바둑천재)의 스승이었던 도사쿠로 알려져 있습니다. 도사쿠는 당시 부분에 치우쳤던 바둑을 전체적인 시각으로 보는 눈을 가지고 있었으며 13단으로 불릴 정도로 탁월한 고수였습니다.


.....

바둑티비 해설보다가 프로들 수나누기 하는것 보면
어떻게 저런게 한눈에 보이나 싶고 신기하더군요
그런데 요즘은 중반 전투에서는 워낙 실전적이라
무시되는거 같기도 하고


원본 갤러리 : 바둑   
고정닉 무시라니 지금도 수나누기보다 뛰어난 기법이 없는데. 프로야 워낙 훈련이 되있으니 잘하는거고.  2007/08/04 icon_01.gif
느리 수나누기.....  2007/08/04 icon_01.gif
바둑메니아 프로들은 어릴때부터 아침에 도장에나가서 저녘에 들어오는대 하루종일 바둑두는 기계로 바둑을 공부하는대 안그런다는것이 오히려 이상한거이갯죠. ㅎㅎ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수 나누기’ 기법이 수책(슈사쿠)의 스승인 도책(도사쿠)이 고안한 거로군요. 덕분에 잘 알게 되었습니다.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그런데 그 기법에 ‘다른 기사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했다’고 하는 것은 좀 이상하군요. 왜냐하면 ‘수 나누기’는 이미 둔 바둑(특히 정석 부분)을 분석하는 기법이기 때문이죠. 실제 바둑을 두면서 사용하는 수법은 아닙니다. 실제로 둘 때 필요한 능력은 ‘수읽기’죠.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수 나누기’ 기법은 이곳 바둑갤에도 나옵니다. 아래 1629번의 글에 대한 답글을 한번 보세요. 흑백 간에 돌이 3개만 있다치고, 이런 거 있죠? 이것도 일종의 ‘수 나누기’입니다. 초반의 복잡한 변화를 분석할 때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아주 쉬워집니다. 말하자면 ‘본질’만 가지고 따져보는 거라고나 할까요.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이런 ‘수 나누기’ 기법도 중반에 들어가면 별로 소용 없습니다. 중반에는 부분적인 유불리보다 전체 형세가 중요하기 때문이죠. 대마가 걸려 있는데 무슨 ‘돌의 효율’을 따지겠습니까?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도책의 ‘전체적인 시각’을 말씀하셨는데, 한마디만 더 할까요. ‘수 나누기’는 초반의 변화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보니 어찌 보면 ‘부분에 집착’하는 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게 원래의 일본 바둑의 특징이자 강점이라고 하죠. 이렇게 부분에 치우쳤던 일본바둑에 일대 혁명을 불러온 것이 바로 오청원이라고 합니다.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오청원과 목곡실(기타니 미노루) 그리고 또 한사람이 쓴 ‘신포석의 이론’인가 하는 책이 아마 그렇게도 혁명적이었나 봅니다. (1930년대에 나왔을래나요) 귀-변-중앙, 바둑은 이런 식으로 나아간다는 기존의 이론을 뒤엎고 ‘중앙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그런 바둑을 두어 웬만큼 성적을 올렸나 봅니다.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현대의 바둑에선, 극단적으로 ‘부분과 모양’에만 치우치지 않고 중앙도 꽤 중시합니다. 옛날 조치훈이랑 자주 붙던 ‘우주류’ 무궁정수(다케미야 마사키) 생각해 보세요. 우리 아마추어한테도 인기 아주 좋았잖아요.  2007/08/04 icon_01.gif
수 나누기 저는 30년쯤 전에 신포석 이론인가 그 책 처음 보았는데요, 그때는 참 매우 흥분되고 그랬습니다. 이유는 확실히 모르겠는데요. 뭐랄까, 분석적인 서양의 방식과 직관적인 동양 방식의 차이 같은 느낌도 들었다고나 할까요. 하하 엉뚱한 얘기 넘 많이 해서 미안합니다.  2007/08/04 icon_01.gif
조금 수정을 하자면... 수나누기 이론을 창안한 도샤쿠는 슈사쿠보다 150년 전에 활동했던 사람입니다. 스승이라고 할 수는 없죠. 신포석의 창안자는 우칭위엔과 기다니 선생이지만 두 사람의 이론을 정리하여 책으로 쓴 사람은 야스나가 하지메(安永一)입니다.  2007/08/04 icon_01.gif
오우 이런 글 좋아요..  2007/08/05 icon_01.gif
ㅇㅇ http://www.samboad.co.kr/tax_event/event_1p.php?cuid=0701150  2007/08/08 icon_01.gif
정팔이g_default.gif잘배워갑니다...ㄳ  2007/08/08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4896 ★바둑 갤러리 최초의 탈갤빵 대국 공지합니다.★ [38] 바갤러(221.139) 13.01.11 1792 38
14895 난 이세돌, 나를 막을 자는 없다. [1] 이세돌(121.176) 13.01.11 228 0
14893 탈갤빵 하겠습니다 바갤러님 보세요 [13] 버들숩(119.203) 13.01.11 359 0
14891 미생이 흥해서 바둑도 인구가많이 늘었을까 [3] ㄱㄷㅅ(121.64) 13.01.11 207 0
14890 탈갤빵 안하냐 [4] 수퍼초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11 189 0
14889 타이젬 9단에서 첫 승리... [6] 사유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11 331 1
14888 형님들 이거 어떻게 된거죠? 제가 왜 진거죠? [7] 이게뭐야(125.133) 13.01.11 230 0
14887 저희 아버지가 현재 넷마블 2급인데요. [7] 파우스트(125.133) 13.01.11 243 0
14886 와 진짜 전투의 기본을 알고나니 막혔던 스트레스가 확풀리네요 [2] 나눔과배려(117.111) 13.01.11 357 0
14885 오로몰 (오로미디어) 망했음? [3] 올호(1.237) 13.01.11 627 0
14884 9단 (7단에서 전승으로 승단중인 9단)vs 7단 기보 중 재미있는 장면 [1]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11 222 0
14883 9단 (7단에서 전승으로 승단중인 9단)vs 8단 기보 중 재미있는 장면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11 132 0
14882 타이젬 3개월지름 [3]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11 226 0
14881 밑에 탈갤빵 썼던 사람인데요 [6] 바갤러(221.139) 13.01.11 209 0
14880 아 ㅋㅋㅋ 밑에 버로우 빵 바둑이 있었나 보네 [1] ㅋㄴㅁㅇㄹ(112.154) 13.01.10 107 0
14879 보고싶은 다전제 [1] ...(59.18) 13.01.10 102 0
14878 바갤이 흥할 요소라면 [1] ㅁㄴㅇ(121.139) 13.01.10 150 0
14877 제 바둑 간단한 평가 부탁드려요 [8] 바둑(1.237) 13.01.10 347 0
14876 바둑시작하는데 할만한바둑게임 어디? 피망? 다음? 한게임?추천 [4] 중3(175.112) 13.01.10 234 0
14875 오늘 최철한 박영훈 대결 정말 재밌을거같네요.. [1] 바둑초보(58.230) 13.01.10 106 0
14874 바둑은.. 같이 즐길 사람이 주변에 한명쯤 있는게 좋은거 같더군요. [2] ㅇㅇ(123.199) 13.01.10 153 0
14873 사실 이렇게 잔인해지고 싶지는 않았는데 [7] 바갤러(221.146) 13.01.10 731 0
14872 타이젬 15급정돈데 언제부터 공부하는게 도움될까요 [2] dd(14.52) 13.01.10 177 0
14870 심심한데 갤도 살릴겸 탈갤빵이나 할까? [6] 바갤러(221.139) 13.01.09 260 0
14869 천야오예 막을 기사 우리나라에서 누구 있음? [9] ...(59.18) 13.01.09 689 0
14868 아니 형세판단 대충으로도 못하면서 dd(123.212) 13.01.09 118 0
14867 젠 5단 vs 타이젬 은별 8급 9점 접바둑 [18] 버들숩(119.203) 13.01.09 551 0
14866 실리형 공격 기풍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2] 실리형난전(221.164) 13.01.09 175 0
14865 다음 한수 조언 부탁드립니다 [3] (125.142) 13.01.09 140 0
14864 소목 날일자 걸침에 마늘모 받기 정석 정리 [2] 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09 317 0
14863 초보 바둑매니아 생일이자 쉬는날에도 혼자 반상에 골몰 ㅠㅠ [5] 나눔과배려(222.235) 13.01.09 229 0
14862 서봉수와 이영구가 한수가르쳐주겠죠? [1] 페브리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09 98 0
14861 세력바둑 대처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5] 1(110.35) 13.01.09 236 0
14859 맥심커피배 속상해 조훈현구당 122(175.255) 13.01.08 97 0
14858 밑에 세력바둑 올린사람인데 젠 개발름 [14] 버들숩(119.203) 13.01.08 541 0
14857 바둑을 배우고 싶고 뭐부터 해야될지 몰라 바갤을 찾는 분들을 위해 공지를 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08 226 0
14856 독학으로 바둑배운지 6개월정도... 난관에 부딪히다 [10] 나눔과배려(117.111) 13.01.08 472 0
14854 제가 바둑을 좋아하는건지 의심이감 [4] 알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08 135 0
14853 바둑에 흥미를 이제 느꼈지 말입니다. [3] 초심자(121.139) 13.01.08 187 0
14852 바둑을 배워보고 싶은데요. [8] 박빠레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07 250 0
14850 현 프로 중에 정말 가장 두텁게 두는 기사 누가 있나요? [4] 호이짜호이짜(121.173) 13.01.06 381 0
14849 궁금한게 있어서 여기에 질문을 올립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1] 내재된 틀(1.231) 13.01.06 105 0
14848 갑자기 예전 일본바둑이 [2] 1본도(119.202) 13.01.06 215 0
14847 님들 제 엄청난 세력 바둑 평가점 [17] 버들숩(119.203) 13.01.06 1121 1
14846 조훈현구단 부활안하시나와 잡소리 [2] 122(175.255) 13.01.06 328 0
14845 형세판단에 관한 글 [1] 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05 304 0
14843 바둑 입문해보고싶은데 [5] 듣보(175.119) 13.01.05 281 0
14842 언제이기려나가 원성진 대마를 잡았다고요?! [2] 아니(121.176) 13.01.05 220 0
14841 요게 한국형정석이라는데 질문,,, [5] ㅋㅋ(58.236) 13.01.05 249 0
14840 흑번으로 흉내바둑 질문입니다 [1] 흉내바둑(119.195) 13.01.04 18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