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컴퓨터(인공지능) 바둑의 두가지 한계

코코넛(59.18) 2013.03.23 19:16:11
조회 2891 추천 35 댓글 28


1. 팻감에 대한 인지 부족

바둑 인공지능에서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팻감에 대한 부분이다.
최근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젠'이나 '크레이지 스톤'을 보더라도 팻감의 의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그저 단순히 사활의 방향만을 염두한채로(팻감이 진행될 때) 착수 금지의 수를 제외한 최선의 수만 찾을 뿐이다, 얼핏 보면 그것이 팻감 자체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가 팻감을 이해했다라고 착각하기 쉬우나, 보통 팻감은 부분적 악수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진정한 팻감이라 말하긴 어렵다.
만약 패를 제외한 곳에서의 최선의 한 수가 팻감이 된다면, 우리는 보통 그것을 '손해없는 팻감'이라고 규정하고, 악수교환이지만 팻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팻감' 아주 악수인 경우에는 '악수 팻감'이라고 한다.
하지만 보통은 '악수 팻감'이라는 말은 잘 사용하지 않는데 이유인 즉슨 패라는 시스템 자체가 어느 한 쪽에서 손해를 보지 않고는 취하지 못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물론 꽃놀이 패인 경우는 상황에 따라 해석이 조금 다르다)

문제는 이 인공지능이 '손해없는 팻감'만 사용할 뿐
'손해를 보는 팻감'은 전혀 사용할 줄 모른다는 것. 
그나마 최근들어 일반적인 단수 교환 팻감은 사용하는 것 같지만, 이건 손해를 보는 팻감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2. 두터움에 대한 인지 부족

두 번째 문제는 인공지능은 두터움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다는 것.
인공지능과 바둑을 두다보면 정석 선택 과정에서는 실리쪽으로 선택하기도 하고, 두터움쪽으로 선택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두터움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 자체가 이미 정석이기 때문에 정석 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에 불과하다. 

특히 바둑의 중반 이후에서 두터움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여지없이 드러나는데
젠 같은 경우 상대방의 약한 돌이 있으면 무조건 잡으러 가는 것이 단적인 예가 된다.
이를 두고 "컴퓨터는 역시 수읽기가 뛰어나!"라고 말할 수도 있는데, 반대로 말하면 두터움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
보통 집에서 앞서는 경우 두터움을 이용해 상대 돌을 압박하면서 더욱더 두터움을 키우거나 집을 넓히는 작전으로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조건 잡으러 가는건 상황이 여의치 않을 때 문제고, 유리한데도 일부러 잡으러 가면서 리스크를 동반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근데 컴퓨터는 당장 집만 보고 있으므로

그래서 요즘 젠이나 크레이지 스톤 형세판단 기능을 살펴보면, 두터움도 일정부분 집으로 환산하여 컴퓨터에게 인식하게끔 하지만
문제는 반대의 경우가 발생했을 때
(즉, 두터움이 전혀 집으로 환산되지 못했을 때)
컴퓨터는 또 착오를 일으키며 이상한 수순을 보여준다.


추천 비추천

3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0305 주강배에 이세돌 9단이 왜 없나요? [1] ㅁㅁ(14.34) 13.12.25 271 0
20302 하수들(나포함)바둑보면 [3] 타이젬2급(175.223) 13.12.25 339 0
20301 이번 주강배 3인 상담기는 어떤식으로 하는건지 감이 안잡히네요 [1] 보갤짱짱갤(61.97) 13.12.25 202 0
20300 바갤은 대회할 때도 활성화가 안되네 [2] 보갤짱짱갤(61.97) 13.12.25 217 0
20299 안녕들 하십니까? [1] 페르미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25 184 0
20298 바갤 흑백전 제62수 [1] octopus(175.112) 13.12.25 167 0
20296 8단과 대국 [3] jusung(175.255) 13.12.24 280 0
20292 형님들 바둑게임관련 질문하나 해도괜찮을까요 [5] 1234541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24 842 0
20291 타이젬 자동계가 뭐지.... [1]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24 1065 1
20290 수근사전 (오청원 세고에) 한글판은 없나요 [1] qq(59.6) 13.12.24 1225 0
20289 타이젬 1개월만에 9급>2급^^ [2] ㅇㅇ(175.223) 13.12.24 314 0
20288 오늘 대국 결과 [1] 111(112.167) 13.12.24 240 0
20287 큰 틀에 대한 강의 [8] 습등이(218.153) 13.12.23 391 0
20284 오랜만의 타이젬 7단 승단 [4] 실수카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23 659 0
20276 조한승 vs 온소진 경기 결과 아시는분 잇나여? [2] 대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22 237 0
20275 고스트바둑왕 보고 바둑을 배워 보려고 하는데 질문 있습니다. [8] POW쎆쓰ER(125.185) 13.12.22 731 0
20272 일본 명인전 대국 방송을 하네요 [3] 오목이야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22 360 0
20271 저는 바둑둔지 8개월정도됐는데 14급이네요 느린건가요 [8] ㄴㄴ(121.143) 13.12.22 644 0
20270 바둑두는데 이럴경우 짜증나네요 ㅋㅋ [1] ㄽㄽ(121.143) 13.12.22 269 0
20269 소목정석, 변형정석 같은거 볼수 있는 곳 있나요? [1] 1111(121.189) 13.12.22 796 0
20268 지니어스에 나오는 이다혜 바둑기사님 바둑계에서 유명하신가요? [6] (27.118) 13.12.22 2797 0
20264 프로기사님들이 계가까지 하는 경우는 거의 없나요? [2] 보갤짱짱갤(61.97) 13.12.21 323 0
20261 책만 보다가 바둑을 처음 두었을 때 몇급일까요 [7] 에이(114.205) 13.12.21 457 0
20259 15급 하고 14급 하고 차이가 있나봐요 [3] 보갤짱짱갤(61.97) 13.12.21 253 0
20258 여기서 왜 흑의 권리로 백이 다 죽었는지 정말 궁금합니다.jpg [10] 입문최하수(118.41) 13.12.21 521 0
20257 한국사람도 이러니까 진짜 바둑두기 싫어지네요 [2] 보갤짱짱갤(61.97) 13.12.21 427 0
20256 그냥 계속 6단에서 머무르고 싶다... [5] 111(112.167) 13.12.20 416 0
20255 바둑리그 결승 이세돌vs안국현 개그바둑 [1] ㅁㅁ(114.199) 13.12.20 460 2
20254 혹시 은성위기14 가지고 계신분 있으신가요? [3] 셜록홈즈(119.198) 13.12.20 1567 0
20250 바둑둘사람구하다 [2] 구합니다(1.209) 13.12.20 281 0
20245 바둑복기하기 [1] jusung(175.255) 13.12.19 337 1
20243 여기에 여쭤봐도 될런지 모르겠네요. [6] 해외에서(92.61) 13.12.19 363 0
20241 중국 말고는 못알아 보겠던데 [2] 보갤짱짱갤(61.97) 13.12.19 242 0
20240 갈수록 예와 도에서 멀어져가는 바둑이네 [2] 90(1.241) 13.12.19 351 0
20233 만나는 중국사람 마다 매너가 이모양이니 일반화를 할 수 밖에 없네요 [5] 보갤짱짱갤(61.97) 13.12.19 347 0
20231 안녕하세요 프바사를 소개합니다 [6] 천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8 380 0
20229 저는 처음에 화점만 두는데 안좋은걸까요 [6] ㅈㅂㄷㄷㅇ(220.78) 13.12.18 389 0
20228 옛날 어린이전국대회 입상사진 하나 투척 ㅋ [7] 1997전국오리온배(112.167) 13.12.18 396 1
20227 바갤 흑백전 제 61수 [6] 실수카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8 247 0
20226 서울대입학하기VS바둑5단되기 [19] 니체식설법(223.62) 13.12.18 571 0
20224 혼인보 슈우사쿠가 왜 일본에서 신성시 되는거임? [7] 9충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17 716 0
20220 이 수에 어떻게 둬야 할까요 [5] 1(14.56) 13.12.16 426 0
20218 이세돌의 막판집중력 [7] jusung(175.255) 13.12.16 529 0
20215 바둑공부 할지 말지 개고민 [5] 90(223.194) 13.12.16 523 0
20212 17급에서 한번에 15급 됐어요 [2] 보갤짱짱갤(61.97) 13.12.16 284 0
20211 바갤러들 나이랑 성별궁금하다 [9] 바갤러(39.7) 13.12.16 378 0
20210 바둑이 전형적인 우뇌게임이라고 하더군요.. [3] ㅇㅇ(175.215) 13.12.16 717 0
20209 Zen5 버전의 실력 기대치 [2] 15초(118.38) 13.12.16 4046 1
20205 인터바둑 어플 [2] jusung(175.255) 13.12.15 572 4
20204 한게임에 있는 김성룡 9단님 강좌 괜찮나요? [1] 보갤짱짱갤(61.97) 13.12.15 40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