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그저 놀라울 뿐" 미국서 없어서 못판다는 기아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7.08 10:13:24
조회 475 추천 5 댓글 0
														


2006년에 선보인 콘셉트카 'SOUL'의 공개 및 개발을 시작하여 2008년 9월 22일에 출시하였다. 본래 기아의 CUV 모델 콘셉트로만 제작할 예정이었으나, 내놓은 콘셉트카의 디자인이 호평받자 이를 그대로 양산차 개발로 연결한 흔치 않은 케이스였다. 1세대의 출시 당시 파격적인 디자인과 소형차 치고 SUV 만큼 넓은 실내공간을 자랑하여 출시 이후 반응은 기아의 예상보다 훨씬 좋았다.


그 이후 2013년 쏘울은 전작의 플랫폼을 대대적으로 개선한 2세대를 선보여 고장력 강판의 확대와 1세대의 인테리어 부분 지적사항이었던 질감과 소재 부문에서 상당한 개선을 이뤄내어 2019년까지 생산하였다. 2019년 3세대로 넘어와 이전 세대에 없었던 드라이브 와이즈까지 적용하여 판매하였고, 현대차의 코나와 플랫폼을 공유하여 주행성능과 차대강성의 개선을 전작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상승시켰다. 이야기만 듣는다면 괜찮은 차인데, 실제로는 판매량이 처참하여 결국, 단종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하나는 쏘울은 지난 1세대부터 북미에서 꾸준히 사랑을 받아온 것인데, 국내와 북미의 온도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오늘 이 시간은 쏘울의 국내시장 실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해보자.


잠깐 동안

인기였던 박스카


한때 유명 여자 연예인이 흰색의 1세대 닛산 큐브를 타고 나와 한동안 박스카의 열풍은 대단했었다. 그 열풍이 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출시 전 '버너(BURNER)' / '디바(DIVA)' / '서처(SEARCHER)'의 세가지 콘셉트 모델을 내놓아 호평받은 바 있다. 이후 정식으로 론칭을 시작하였고, 기아차에서 익스테리어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튜온 패키지를 선보여, 외부에 데칼을 입혀놓거나, 휠의 디자인이 화려하다거나 한 콘셉트 모델의 디자인 요소들을 통해 당시에 딱딱하기만 하던 자동차 시장에 차별성을 둬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넓히는데 힘썼다.


즉, 국산차 제조사 최초로 직접적인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를 만들어준 것이다. 거기에 각종 새로운 옵션들을 많이 적용하였는데, 출시 당시 모하비에나 적용되었던 룸미러 내장 후방카메라, 그리고 라이팅 스피커 등의 새로운 옵션을 많이 적용했었다.

품질의 이슈가 있었고

수출시장의 반응이 좋았다


새로운 옵션을 적용한 것은 좋았으나, 문제점은 같은 시기에 나온 포르테에서 부터 지적사항이었던 소음 차폐 이슈가 많았디. 쏘울 또한 이런 이슈를 피해 가진 못했고, 로드 노이즈가 심하게 차내로 유입된다는 것과 더불어 가솔린 모델의 경우 1.6L 파워트레인 기준으로 124마력의 덩치 대비 빈약한 출력으로 인해 퍼포먼스가 빈약했었다.


거기에 당시에 형제 차였던 포르테에서 지적을 많이 받은 로드 노이즈의 유입이 굉장했고 내장재 품질이 너무 뒤떨어져, 품질 문제에서 그 당시 심각한 원가절감의 흔적으로 인해 많은 비난을 받기도 했었다.

해외 모터쇼의 반응이 좋아 대략 2008년 말부터 유럽으로 수출을 시작하였고, 2009년부터는 북미로도 수출을 진행했다.


전체적으로 유럽과 북미 모두 반응은 좋았고, 북미 출시 2개월 만에 박스카의 원조인 닛산 큐브와 사이언 xB의 판매량을 제치고 같은 세그먼트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대대적인 개선을

하고 나온 2세대


2013년 뉴욕 오토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3년 10월에 출시가 되었고, 외관상으론 1세대와 큰 차이가 없고 플랫폼도 선대의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기아 씨드의 플랫폼을 사용하였고, 전작에 비하여 고장력 강판을 확대 적용하여 무게가 차체의 내구성은 확보가 되었고, IIHS 스몰 오버랩 충돌 테스트에서 Good 등급을 받는 등 전작에 비해 훨씬 좋은 안전성을 확보했다. 다만, 차의 무게가 100kg이 무거워졌다. 파워트레인은 1.6 감마 MPI 엔진에서 GDI 엔진으로 변경되었고, 1.6 디젤은 DCT가 추가되었다.



이러한 무게 증가 이슈와, 트림의 구성 그리고 무조건 풀옵션 등급으로 넘어가야지 추가 구성 옵션이 선택이 가능했던 구성은 소비자들에게 호응이 아닌 비난을 받기 시작하였다. 전작에 비해 실내 내장재와 방음 부분에서 큰 개선을 이뤄놓은 것에 비해 금액대의 이슈로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기 시작했다.

전세대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계승한 3세대

전작 2세대 쏘울은 2019년에 단종이 되었다. 3세대로 진화하며 쏘울 부스터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코나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1.6 감타 터보 엔진을 장착, 거기에 7단 DCT 미션까지 더해 퍼포먼스 상승이 크게 눈에 띄었다.


당시만 하더라도 드라이브 와이즈의 부재가 상당히 걸림돌이었던 쏘울은 3세대로 넘어오며 옵션에서 아쉬운 평가 받던 부분을 개선한다. 이전 세대까지 유지하던 1.6L 디젤의 라인업을 삭제 시켰으며, 1.6 T-GDI 및 EV 총 2개의 라인업만 출시하게 된다.

쏘울 EV에 비해 쏘울 부스터의 판매가 저조하여 2021년형 쏘울 부스터를 출시하는 등, 상품성을 대폭 개선하여 전방 충돌 방지 보조(FCA), 차로 이탈 방지 보조(LKA), 운전자 주의 경고(DAW), 하이빔 보조(HBA) 등을 기본으로 적용하였고, 원격 시동 스마트키까지 적용한 상품성 개선형을 선보였다.


하지만 EV 모델 포함 매월 2~300대 판매량에 그치는 판매 부진에 2021년 1월 단종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고, 이후 재고 물량을 소진한 후 2021년 3월에 국내 홈페이지에서 모습을 완전히 감췄다.

쏘울의 실패원인은

무엇일까

북미시장에선 출시 이후 9년 만에 100만 대를 판매하는 엄청난 성과를 내었다. 하지만 정작 국내 시장에선 연평균 3,000대에 그쳤는데, 그중 큰 이유는 애매한 포지션이었다. 톨 보이 스타일의 CUV였던 쏘울은 당시 일반 세단보단 높은 차고를 가진 이유만으로 이 차를 소형 SUV로 바라보는 게 맞냐 아니냐의 갑론을박이 심했었다.


셀토스의 출시로 인해 팀킬 또한 한몫을 했다. 셀토스가 출시한 이후 지속적인 인기몰이를 한 결과 쏘울의 구매층까지 빼앗긴 것인데, 셀토스에 비하여 어느 하나 나은 구석이 없던 쏘울은 결국 단종의 길로 빠진 것이다.

1세대 이후로 뚜렷한 판매량의 상승세가 없던 또다른 이유는 디자인과 성능 면에서 북미시장의 취향만을 반영한 탓도 있었다.


국내 시내 도로 여건상 가볍게 훅 치고 나가는 가속성능을 선호하는 반면, 1세대부터 동력성능에 아쉬움이 많았던 파워 트레인은 무게 대비 출력이 좋지 못했던 1세대와 2세대에서 가속성능과 연비에 큰 지적을 받아왔다.

앞으로 이런 모델은

국내에서 찾기 힘들어질 것

쏘울의 미국 시장 내 인기 요인은 심플한 디자인의 세그먼트 버스터 박스카 라는 요인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기아차 미국 현지법인의 공이 컸다. 미국 시장에서 별다른 소득이 없었던 기아차의 미국법인은 쏘울을 홍보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동원했고 미국인들이 가장 좋아할 것 같은 애완동물인 햄스터를 이용한 마케팅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광고가 나온 당시에 인기 있는 팝송을 차용하여 배경음악을 하나의 스토리에 접목시킨 것 또한 마케팅의 큰 성공 요소였다.


앞으로도 쏘울 같은 이례적인 향이 물씬 풍겨지는 자동차들을 만나보는 게 쉽지 않을 전망이다. 스토닉도 출시할 당시 당찬 포부로 국내시장에 출사표를 던졌지만 결과는 참패로 끝이 나고 쏘울 또한 한국 소비자들에게 설득할만한 상품성 요소가 없었기 때문에 힘도 써보지 못하고 단종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쓴맛을 본 기아차 혹은 쓴맛을 봐왔던 타 제조사들 또한 해치백의 무덤인 대한민국에서 다시 한번 쓴맛을 봤기에 앞으로도 이와 비슷한 차들의 출시 전망은 어둡기만 하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13 할인만 무려 1,200만 원 이라는 아우디, 지금 사도 될까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450 0
212 국내 출시되면 사회 초년생들 첫차로 각광받을 수입차 [3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3508 3
211 G90 풀체인지 포착되자 호불호 갈린 이유 [3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3549 1
210 쏘나타 너무 안 팔리자 결국 현대차 결단 내렸다 [1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6432 16
209 뭘 해도 K8 보다 그랜저가 많이 팔리는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645 0
208 "아이오닉 5보다 좋다는 EV6 이렇게 사세요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492 0
207 현직 정비사가 알려주는 자동차 정비소 가서 호구 안당하는 꿀팁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4383 13
206 말 그대로 미쳤다던 제네시스 북미 판매량 실제론 어느 정도?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367 0
205 "다 온라인 판매" 현대차 폭탄선언에 노조 반응 [4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4223 24
204 흰색 K5가 양카라고 불리는 진짜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4447 17
203 결국 형님까지 앞질러버린 7월 국산차 판매량이 소름돋는 이유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2022 6
202 사회초년생 현실드림카 셀토스 실물 느낌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1188 0
201 보배드림에서 난리난 타워주차 사고사건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5106 45
200 "또 1년.." 팰리세이드 페이스리프트 변화포인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641 0
199 텔루라이드 페이스리프트 변화포인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386 0
198 쌍용차 사겠다는 회사 공개되자 네티즌 반응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3569 7
197 요즘 잘나가는 스포티지는 원래 이런 차였습니다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2943 11
196 쌍용 골수 팬들이 목이 터져라 외쳤단게 바로 이 자동차입니다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3117 15
195 "중고차 아니야?" 이런 차를 그대로 인수해도 될까요?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1934 1
194 4개월만에 겨우 출시된 EV6가 여전히 걱정스러운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87 0
193 기블리 하이브리드 출시소식 접한 네티즌들 현실 반응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85 1
192 폭스바겐이 국내 출시할 신차 공개되자 현대차마저 긴장한 이유 [1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668 4
191 "너무했죠" E클래스 연식변경에 드디어 탑재된 옵션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547 4
190 쌍용차 사겠다고 나선 의외의 기업 공개되자 네티즌들 반전 반응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953 3
189 디젤차만 팔려는 폭스바겐이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185 0
188 "동정심 안간다" 현기 공화국에서 르쌍쉐가 맞이한 현실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363 3
187 "국내 나오면 끝납니다" 신형 트래버스 가격 수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537 2
186 세계 최고 성능 뽐낸다는 국산 자주포 실물 수준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2754 10
185 국내 출시 하면 무조건 대박날거 같은 SUV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1883 1
184 국내 신차 안전도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던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183 0
183 "포르쉐 잡을까?" 현대차가 준비중인 어마무시한 신차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743 1
182 전기차 주행거리 너무 안나오자 제조사들이 벌이고 있는 행동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2775 9
181 무더기로 맞은 과징금에 갑자기 현토부 논란 터진 이유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1430 8
180 요즘 아무리 까여도 벤츠 기술력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이유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2259 6
179 현대차 위탁생산한다는 소식 전해지자 소름돋는 미래 예언 등장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372 1
178 실물 본 사람은 거의 없는데 누구나 알고 있다는 신비한 자동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351 0
177 "이정도면 대박" 니로 풀체인지 변화포인트 총정리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380 0
176 "결국 부자들만 혜택 봤네요" 자동차 보험료 논란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689 4
175 대박이라는 쌍용차, 실제로 만들어질 가능성은 얼마나?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896 3
174 르노삼성 먹여살린 QM6는 왜 잘팔리는걸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892 0
173 그때 그 시절 국산차 업계를 휩쓸었던 차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2185 9
172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잘나가는 자동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446 0
171 쉐보레 볼트 결함 원인 드러나자 국내 네티즌들 반응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1847 1
170 역대급 디자인이라는 쌍용차 디자인 확인한 네티즌들 반응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3134 7
169 "벤츠 이정도면" 역대급 전기차가 출시되자 벌어진 일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1625 5
168 "테슬라 잡나?" 아이오닉 6 가까이서 보면 이렇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349 0
167 스포티지 VS 투싼 하브 어떤 차를 사야할까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745 2
166 스포티지 깡통 구매했다가 맞이하게 될 현실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8 2701 10
165 마지막 희망이라는 트레일블레이저는 어떤 매력이 있을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8 438 0
164 가격은 4,000만 원, 티구안 VS 스포티지 어떤 차를 사야할까요?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8 522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