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중국이 작심하고 만든 신형 SUV 공개되자 전 세계가 경악해버린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7.01 10:16:20
조회 4063 추천 7 댓글 64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제조사들이 신차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소비자들의 관심 역시 증폭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중국, 중국 자동차 시장이 급격한 성장의 격동을 맞이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 과정을 들여다보면 딱히 대단하다고 생각할 만한 것들이 없는 상황이다. 최근 소개해드린 중국판 롤스로이스, 홍치가 있었다. 해당 글에서도 설명했듯이 중국의 완성차 기업들은 다른 글로벌 기업들의 특장점만을 카피해와 차를 만들고 있기에 아직은 중국 브랜드가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이름을 떨치기엔 많이 부족한 모습이다.

그런데 제아무리 중국이어도 롤스로이스는 부담스러웠는지, 이번엔 비교적 대중적인 브랜드라 할 수 있는 볼보의 XC90을 표방한 차량을 내세운 중국의 한 제조사가 있어 화제이다. 오늘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는 반값 XC90이라는 별명을 가진 중국의 기함급 SUV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자동차 중

하나인 볼보의 대형 SUV XC90을

5천만 원에 살 수 있다?

최근 네티즌들의 관심을 끌었던 기사가 있다. ‘볼보 XC90을 5천만 원대로 구입’. 볼보 XC90이라 하면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자동차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에선 한 방송인이 XC90을 타다가 역주행하는 트럭과 정면충돌하는 큰 사고가 있었지만, 탑승자 전원이 무사하고 가벼운 부상만 입으면서 제일 안전한 차라는 이미지가 있을 정도이다.


그런데 이 XC90 가격이 얼마길래 5천만 원대로 구매가 가능한 걸까? 현재 대한민국에 판매 중인 XC90을 살펴보면 가장 싼 2.0 가솔린 터보 모멘텀이 8,157만 원이다. 이런 XC90을 5천만 원에 어떻게 산다는 걸까? 볼보는 할인도 안 해주기로 소문난 곳인데 말이다.


중국 지리그룹 산하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인

링크&코가 자사의 기함급 SUV인 09를 공개

그런데 기사의 제목엔 한 줄의 문장이 더 있었다. ‘지리그룹의 링크&코 09 공개’. 기사의 본문을 좀 더 자세히 보면, 중국 지리그룹 산하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인 링크&코가 자사의 기함급 SUV인 09를 공개했다고 한다.


지리그룹이라 하면 중국의 거대한 자동차 제조사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중국 자동차 기업이 국영이면서 외국 기업과의 합작으로 굴러가는 것과 달리, 지리는 장성, BYD 등과 함께 자체 브랜드 중심으로 운영하는 몇 안 되는 중국 자동차 기업이기도 하다.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중국의 지리그룹

이런 지리그룹에는 다양한 자회사가 존재한다. 오늘 소개할 링크&코는 물론 영국의 스포츠카 브랜드인 로스터, 말레이시아 브랜드 프로톤, 영국의 택시 브랜드 런던 EV 컴퍼니, 자동차 말고도 이탈리아 오토바이 브랜드 베넬리까지 이외에도 다양한 전기차 생산 브랜드가 더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지리그룹이 한국 사람들에게 익숙한 이유는 지난 2010년에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당시 볼보를 소유하고 있던 포드로부터 볼보를 인수했기 때문이다.


물론, 볼보에서 독립한 고급 전기차 브랜드인 폴스타도 자회사에 포함된다. 한 가지 첨언을 덧붙이자면 이 지리 자동차가 위기에 빠진 쌍용차를 인수할 가능성이 있는 기업 중 하나라는 소식도 있다. 지리그룹의 규모를 생각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같은 자회사인 볼보의 SPA 플랫폼

기초로 제작한 기함급 SUV 09를 공개

다시 링크&코 얘기로 돌아와서 지리그룹은 같은 자회사인 볼보의 SPA 플랫폼을 기초로 제작한 기함급 SUV 09를 공개한 것이다. 기사에 따르면 이번 09의 디자인은 링크&코만의 특징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하는데, 디자인을 한번 자세히 살펴보면, 앞쪽은 뭔가 기아의 스포티지를 닮은 것 같고. 옆모습은 포르쉐 마칸, 뒤는 현대 싼타페랑 푸조를 닮은 형상이다.


기사에서는 계속 볼보의 SPA 플랫폼을 공유한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는데, 원래는 링크&코가 볼보의 CMA 플랫폼 ‘Compact Modular Architecture’라는 일반 모델 플랫폼을 쓰다가 이번엔 프리미엄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SPA 플랫폼을 처음으로 갖다 쓴 게 특징이라고 한다. 그래서 같은 SPA 플랫폼을 기초로 개발된 볼보의 XC90이랑 비교하는 것이다.

실내 디자인과 파워트레인은

오히려 XC90보다 낫다고 하는데

09에 탑재되는 파워트레인을 보면 오히려 XC90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이 09의 가장 큰 매력 포인트는 가격이다. 링크&코의 09는 XC90과 상당 부분을 공유하지만, 가격은 중국 현지에서 판매되고 있는 XC90에 비해 절반 수준이라고 한다.


XC90의 현지가격은 약 63만 9천 위안부터 78만 2천 위안으로, 한화로 계산해보면 약 1억 1,200만 원 정도부터 1억 3,700만 원 정도 한다는 건데, 링크&코 09는 30만 위안, 한화로 약 5천 250만 원이라고 하니 XC90과 비교해 가격이 매우 저렴했다.


중국차는 타는 게 아니다

국내 제조사 긴장해야 한다

링크&코 09는 중국시장엔 올해 4분기부터 판매가 시작될 예정이라고 하지만, 국내 시장에는 출시될 가능성이 없다고 한다. 그럼 링크&코 09를 본 네티즌들의 반응은 어땠을까? “중국산을 어떻게 믿고 타냐, 목숨이 몇 개 되면 모를까?”, “많이도 카피하고 훔쳤네”, “좀 너무 심하다, 09에서 아우디 E-tron GT, 랜드로버, 재규어 보인다”라며 여전히 중국산에 대해 불신의 반응을 보였다.

그런데 몇몇 네티즌들은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이번 09를 바라보았다. “요즘 중국 차 디자인 많이 좋아졌네. 현대기아 긴장 좀 해야겠다.”, “긴장 좀 타야겠다. 이제 중국차도 무시 못 하겠구나”, “가성비는 솔직히 좋은데”라며 긍정적으로 보는 네티즌도 있던 것이다. 신기하게도 무조건 중국산은 품질이 떨어진다는 반감 때문에 비판만 존재했던 옛날과 달리, 이제는 무조건 중국산이라고 까기만 할 수는 없다는 의견들이 나온 것이다.


가장 두드러지는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 자동차 시장

아까 처음에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성장세를 보이는 국가가 바로 중국이라고 전한 바 있다. 그에 걸맞게 중국 완성차 제조사들은 수많은 친환경 차를 개발함과 동시에 시장에 쏟아내고 있는데, 최근 중국 현지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한 초저가 전기차로 인해 국내 네티즌들의 이런 목소리는 점점 커지는 상황이다.


중국 상하이 자동차와 우링자동차, 여기에 미국 GM가 합작 설립해 출시한 훙광 미니는 길이와 폭 대비 높이가 높은 ‘박스 카’ 형태의 경형 자동차로 작년 전기차 판매량 순위에서 중국 내에선 2위, 전 세계에서도 2위를 기록했고 올해 3월과 4월에는 내연기관차까지 포함한 전체 승용차 판매량 순위에서 중국 내 2위를 기록하는 중이다. 무엇보다 훙광 미니가 폭발적인 인기를 끄는 건 젋은 소비자층의 수요에 맞춰 필요한 것만 채워넣어 500만원대 초반으로 가격이 책정 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제조사들의 다양한 시도를

인정하고 있는 네티즌들

굳이 비싼 전기차를 사고 싶지 않은 소비자도 있을 것이다. 단지 단거리 출퇴근용으로만 이용하고 싶은 수요층 말이다. 국내에도 그런 소비자들을 위한 전기차가 딱 하나 있다. 르노의 트위지, 근데 이 훙광 미니는 트위지보다 주행거리가 최소 두 배 이상 길고, 가격은 거의 3배 가까이 저렴하니까 가성비가 어마무시하다.


결국, 현대기아차가 조금 더 멀리, 더 빠른 전기차를 개발하고 있을 때 중국 제조사는 이런저런 다양한 시도를 모두 해보고 있던 것이다.


차량 자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아니지만

다양한 시도를 하는 점은 높이 살만해

이 때문에 중국차는 무조건 까기만 했던 네티즌들도 이런 중국 완성차 제조사들의 일련의 시도들을 보고선 “중국산이라고 무조건 까지만 말고 우리는 왜 저런 다양성이 없을까 하는 고민을 해봐야 하지 않을까?”라는 반응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또 그렇다고 해서 그럼 이번 링크&코 09나 홍치 H9처럼 카피해도 괜찮다는것은 아니다. 바뀌어가는 네티즌들의 반응처럼 아무리 중국산이라도 한국 자동차 시장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다면 참고를 해봐도 좋지 않을까 하는 의견이다.


중국 지리그룹의 자회사인 링크&코에서 내놓은 볼보 XC90과 같은 플랫폼의 기함급 SUV 09. 한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여전히 부정적이었지만, 이제는 마냥 중국차를 무시하는 여론만 있지 않다는 걸 알려준 차량이었지 않나 싶다. 또한, 천편일률적으로만 가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신차들에 어떻게 보면 자극제가 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0

12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13 할인만 무려 1,200만 원 이라는 아우디, 지금 사도 될까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450 0
212 국내 출시되면 사회 초년생들 첫차로 각광받을 수입차 [3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3508 3
211 G90 풀체인지 포착되자 호불호 갈린 이유 [3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3549 1
210 쏘나타 너무 안 팔리자 결국 현대차 결단 내렸다 [1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6431 16
209 뭘 해도 K8 보다 그랜저가 많이 팔리는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645 0
208 "아이오닉 5보다 좋다는 EV6 이렇게 사세요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492 0
207 현직 정비사가 알려주는 자동차 정비소 가서 호구 안당하는 꿀팁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4382 13
206 말 그대로 미쳤다던 제네시스 북미 판매량 실제론 어느 정도?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367 0
205 "다 온라인 판매" 현대차 폭탄선언에 노조 반응 [4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4223 24
204 흰색 K5가 양카라고 불리는 진짜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4447 17
203 결국 형님까지 앞질러버린 7월 국산차 판매량이 소름돋는 이유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2022 6
202 사회초년생 현실드림카 셀토스 실물 느낌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1188 0
201 보배드림에서 난리난 타워주차 사고사건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5106 45
200 "또 1년.." 팰리세이드 페이스리프트 변화포인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641 0
199 텔루라이드 페이스리프트 변화포인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386 0
198 쌍용차 사겠다는 회사 공개되자 네티즌 반응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3569 7
197 요즘 잘나가는 스포티지는 원래 이런 차였습니다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2943 11
196 쌍용 골수 팬들이 목이 터져라 외쳤단게 바로 이 자동차입니다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3117 15
195 "중고차 아니야?" 이런 차를 그대로 인수해도 될까요?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1934 1
194 4개월만에 겨우 출시된 EV6가 여전히 걱정스러운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87 0
193 기블리 하이브리드 출시소식 접한 네티즌들 현실 반응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85 1
192 폭스바겐이 국내 출시할 신차 공개되자 현대차마저 긴장한 이유 [1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668 4
191 "너무했죠" E클래스 연식변경에 드디어 탑재된 옵션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547 4
190 쌍용차 사겠다고 나선 의외의 기업 공개되자 네티즌들 반전 반응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953 3
189 디젤차만 팔려는 폭스바겐이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185 0
188 "동정심 안간다" 현기 공화국에서 르쌍쉐가 맞이한 현실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363 3
187 "국내 나오면 끝납니다" 신형 트래버스 가격 수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537 2
186 세계 최고 성능 뽐낸다는 국산 자주포 실물 수준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2753 10
185 국내 출시 하면 무조건 대박날거 같은 SUV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1883 1
184 국내 신차 안전도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던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183 0
183 "포르쉐 잡을까?" 현대차가 준비중인 어마무시한 신차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743 1
182 전기차 주행거리 너무 안나오자 제조사들이 벌이고 있는 행동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2775 9
181 무더기로 맞은 과징금에 갑자기 현토부 논란 터진 이유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1430 8
180 요즘 아무리 까여도 벤츠 기술력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이유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2259 6
179 현대차 위탁생산한다는 소식 전해지자 소름돋는 미래 예언 등장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372 1
178 실물 본 사람은 거의 없는데 누구나 알고 있다는 신비한 자동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350 0
177 "이정도면 대박" 니로 풀체인지 변화포인트 총정리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2 379 0
176 "결국 부자들만 혜택 봤네요" 자동차 보험료 논란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689 4
175 대박이라는 쌍용차, 실제로 만들어질 가능성은 얼마나?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1896 3
174 르노삼성 먹여살린 QM6는 왜 잘팔리는걸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891 0
173 그때 그 시절 국산차 업계를 휩쓸었던 차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2185 9
172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잘나가는 자동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445 0
171 쉐보레 볼트 결함 원인 드러나자 국내 네티즌들 반응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1847 1
170 역대급 디자인이라는 쌍용차 디자인 확인한 네티즌들 반응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3134 7
169 "벤츠 이정도면" 역대급 전기차가 출시되자 벌어진 일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1625 5
168 "테슬라 잡나?" 아이오닉 6 가까이서 보면 이렇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349 0
167 스포티지 VS 투싼 하브 어떤 차를 사야할까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745 2
166 스포티지 깡통 구매했다가 맞이하게 될 현실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8 2701 10
165 마지막 희망이라는 트레일블레이저는 어떤 매력이 있을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8 438 0
164 가격은 4,000만 원, 티구안 VS 스포티지 어떤 차를 사야할까요?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8 522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