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족해" 중국 시장에서 처참한 결과 맞이한 현대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7.14 09:56:43
조회 314 추천 0 댓글 1
														


(사진=Instagram)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노력하면 못 이룰 게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노력만으로는 할 수 없는 일들이 있는 법이다.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싶다.

 

자동차 시장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다. 중국 시장에서 현대차와 기아가 외면받는 일 말이다. 사드 사태 이후 중국 소비자의 호감도가 떨어지자, 현대차그룹은 제네시스를 투입해 이미지를 고양하고, 전기차를 투입해 친환경 차 시장을 선도하려고 하는 등 갖은 노력을 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자, 최근에는 조직을 전면 개편하며 나름의 ‘승부수’를 던진 상태다. 오늘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는 중국 시장에서의 현대차 그리고 기아의 움직임에 대한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들어가 본다.


재도약하기 위한 방침

7월 12일부터 개편안 시행


최근 현대차와 기아가 중국 현지의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한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다. 이는 그동안 부진했던 중국 시장에서의 실적을 회복하고 재도약하기 위한 결정으로, 책임 경영 강화 방침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현대차와 기아는 전사적으로 역량을 결집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아래에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진행한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이미 중국 조직 개편안을 확정했으며, 7월 12일부터 해당 개편안을 시행하고 있는 상태다.

본사 전 부문의 역량 결집

중국 사업 지원 체계를 강화한다


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중국 내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하는 현지법인인 베이징현대와 둥펑위에다기아는 각각 현대차와 기아 대표이사 산하로 재편하며, 각 사의 대표이사 중심 경영 체제로 전환한다.

 

기존의 중국 사업은 중국 전담 조직 및 인원을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운영돼왔다. 그러나 이번 조직 개편은 본사 전 부문의 역량을 결집해 중국 사업 지원 체계를 강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이는 글로벌 사업의 선순환을 이끌고 실적 반등의 경험을 공유하자는 것, 그리고 이에 필요한 자원과 역량을 전사 차원에서 투입할 수 있는 조직 기반을 갖추자는 것 등의 취지에서 비롯된 결과다.

“일관된 사업 관리 긍정적”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 전환 가속화


현대차와 기아 측은 현재 글로벌 사업 관리가 북미와 유럽 등 권역 본부 중심으로 이뤄지는 만큼 중국 시장도 글로벌 사업의 한 축으로서 더 체계적이고 일관된 사업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중국 전동화 전략의 핵심인 연구개발과 상품 부문도 본사 연구개발본부와 상품본부 책임 체제로 전환한다. 이를 토대로 중국 전동화 상품 라인업 확장 등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 업체로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2030년까지 21개의 

전동화 라인업 구축한다


현대차와 기아는 중국에서 2030년까지 총 21개의 전동화 라인업을 완비해 중국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를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개편으로 중국 소비자에게 글로벌 수준의 상품 혁신성과 품질을 갖춘 상품 그리고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 시장의 선제 대응을 위해 수소 사업 등 신사업 추진과 대관, 그룹사 지원 등의 현지 지원 부문은 중국 지주사가 담당하게 된다. 중국 시장에서 현지 지원 역할이 증가한 점 등을 고려해 본사와 중국 지주사간 역할과 권한을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개편한다.



2002년 점유율 10%

사드와 중국차 발전에 무너졌다


2002년에 중국 시장에 진출한 현대차와 기아는 당시에는 점유율 10%대를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던 바 있다. 하지만 2016년 불거진 사드 사태 이후 중국 내 한국차에 대한 인식이 급속도로 나빠지며 지속적인 점유율 하락에 시달려왔다.

 

사드 사태 이후 4년이 넘게 지났지만 중국 내 판매는 오히려 더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한국차가 밀려나 있는 동안 중국차 브랜드는 발전을 거듭하면서 현대기아차보다 저렴한 가격에 다양하고 나름 준수한 모델을 출시하기 시작했다는 것도 점유율 감소의 원인 중 하나다.

1~4월 기준 점유율 2.6%

현대차가 그간 해온 노력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 여파에서 벗어나 올해 들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차와 기아의 최근의 점유율은 1~4월 기준으로 2.6%로, 지난해 같은 기간 4.2%에서 1.6% 포인트 감소했다. 그야말로 미미한 존재감만을 간신히 붙들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현대차는 중국 상하이에 선행 디지털 연구소를 신설, 중국에 특화된 인포테인먼트와 자율 주행 시스템 개발, 중국 자동차 시장 트렌드 및 신기술 연구, 현지 특화 디자인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현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맞춤형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내세운 것이다.

 

더불어 수소차, 전기차 등 친환경차를 전면에 내세우고 수년간 진출 시기만을 조율해왔던 제네시스의 진출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또한, 조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앞서 얘기했던 조직 개편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미 중국은

전기차 시장을 사로잡는 중


하지만 현대차의 움직임이 중국을 흔들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국은 전기차 영역에선 이미 현대차와 기아를 넘어설 정도의 자동차까지 선보이는 중이다. 뭇 전문가 사이에선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이 머지않아 전기차 시장에서도 유럽을 제치고 가장 큰 전기차 시장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중국GM과 울링의 합작사가 내놓은 초저가 전기차 모델 ‘홍광 미니EV’, 신생 전기차 업체인 동펑이 출시한 ‘보야EV’ 등이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중국 내 전기차 판매가 크게 늘었다. 일명 '인민의 전기차'라는 별명까지 붙은 홍광 미니EV의 경우 출시 후 아시아에서 16만대 이상이 팔려 지난 1월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에 등극하기도 했다.


앞서 말했듯 현대차와 기아는 중국에서 2030년까지 총 21개의 전동화 라인업 완성해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전동화를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전기차 시장은 중국의 브랜드가 중국을 점령하다시피 한 상황이기에 무리한 목표 설정이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실정이다.

 

미국과 유럽 등의 해외 시장에서는 나름대로 선전 중인 현대차와 기아지만, 중국에서만큼은 쉽지 않은 싸움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도 이를 알기에 조직 개편까지 감행하면서 중국 시장에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보인다. ‘무난하고 값싼 차’가 아닌 ‘좋은 차’로 인식을 바꾸겠다는 목표 아래 펼쳐질 현대차와 기아의 행보를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78 제네시스 전기차에 세계최초로 적용된 신기술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30 1658 2
277 넥쏘 구매한 차주들이 후회하는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30 1133 3
276 현대차 일본 재진출하면 성공할 수 있나? [3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30 1265 3
275 "하나 남은 효자인데" QM6가 큰일난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30 430 0
274 국내에서 포착된 전설의 슈퍼카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30 2362 6
273 "결국 인증받았습니다" 800만 원부터 시작한다던 신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7 474 0
272 도로에서 속도경쟁한 차주의 끔찍한 최후 [3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7 3188 11
271 사모님들이 사랑한 강남 쏘나타 변천사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7 2237 10
270 현대차가 실수로 잘 만든 차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7 3938 6
269 실제로 부대에서 활용한다는 트럭 정체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7 445 0
268 카니발 잡는다던 스타리아 실제 판매량은 충격적 [4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6 3024 13
267 "이번엔 빼도 박도 못합니다" LG 배터리 큰일났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6 326 0
266 "정신좀 차려야합니다" 이러다 철수하겠다 라는 말나왔다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6 1673 12
265 "대기업 들어와도 소용없죠" 중고차 시장의 진짜 문제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6 2187 4
264 케이팝모터스의 놀라운 쌍용차 인수 비전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6 286 1
263 "아이오닉이 선녀였네" GV60 아이오닉 5 크기 차이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5 2098 2
262 나오자마자 20만 대 팔아버린 역대급 미국차 결함 터졌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5 2687 6
261 디자인 호불호 갈리는 GV60 실물 느낌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5 585 0
260 "이게 미국에선 안통하네" 싼타크루즈 적재용량 논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5 436 6
259 "디자인 진짜 이상해요" 호불호 갈리는 신차 포착 [3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5 4221 2
258 9월 부터 바뀌는 자동차 관련 법 [3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4 1669 1
257 현대차 노조 사라지면 벌어지는 놀라운 일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4 1078 6
256 국내 경차 시장이 몰락한 이유 [4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4 2897 0
255 기아 노조 근황 공개되자 네티즌 반응 [2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4 2946 29
254 코란도 전기차 확인한 네티즌들 반응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4 331 0
253 르노삼성 회장님의 취미로 시작, 끝은 어디일까?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3 365 0
252 없어서 못 파는 쉐보레 전기차 판매방식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3 2019 4
251 이제 100일 지난 이 정책에 네티즌들 반응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3 209 0
250 길 막고 적반하장인 카니발 네티즌 수사대에 딱 걸렸다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3 1855 7
249 이제 100일 지난 이 정책에 네티즌들 반응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3 76 0
248 테슬라에 적용된 옵션 하나가 논란입니다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3 2115 6
247 잊을만하면 등장하는 레전드 사건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0 3257 7
246 "정신 차렸나?" 쉐보레가 도입한 판매방식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0 330 0
245 "그럴 줄 알았다" 아이오닉 5 차주들이 겪는 일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0 2752 6
244 "내년에 진짜 기대하세요" 푸조시트로엥의 폭탄선언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0 273 0
243 "이럴 줄 알았죠" 신형 스포티지 결함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0 1625 8
242 최근 람보르기니가 부활시킨 레전드 슈퍼카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9 3885 20
241 디젤차가 가솔린차보다 더 친환경이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9 336 2
240 결국 출시된 G80 스포츠, 그런데 너무 아쉽다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9 2548 1
239 크기로 압도한 테슬라 트럭의 충격 근황 [4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9 4356 15
238 제네시스 GV60가 테슬라를 잡을 거 같은 이유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9 511 0
237 판매량 바닥친 르노삼성이 벌이고 있는 일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9 401 1
236 "경주용 차로 출퇴근"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8 2721 5
235 하이브리드 절대 없다던 제네시스의 폭탄선언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8 2165 3
234 현대기아차 싫어서 르쌍쉐 사는 게 바보 같은 이유 [3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8 3571 23
233 쉐보레, 다른 차랑 비교해보면 어떨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8 184 0
232 벤츠 EQA는 정말 좋은 전기차일까?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8 204 0
231 BMW가 올해 출시한다는 전기차 놀랍다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1813 0
230 취향타는 디자인 빼고 다 완벽하다는 전기차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2690 2
229 "이 정도면 인정" EV6 실물보니 인기 비결 알겠네요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531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