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언리쉬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언리쉬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나이 많은 여자와의 결혼이 위험한 이유(ft.노산).jpg ㅇㅇ
- 서울 데이트 행사. 여성 2588명 남성 980명 신청. 주갤러
- “퐁퐁남” 여혐 아님.jpg 뽀까칩
- 또 원산지 이슈 떴냐??? (Bts진&백종원이 함께 설립한 회사법인) 학헉학
- 연인간 사적 영상 몰래찍어 해외에 판매한 남자친구 JPG ㅇㅇ
- 오싹오싹 이탈리아 근황 완애척살미장
- 싱글벙글 빨리 결혼하자는 스시 웅니 ㅇㅇ
- 임신 8주차 아내랑 싸운 블라인...ㄹㅇ 실베무무쿤
- 싱글벙글 캣맘과의 전쟁 선포한 아파트 ㅇㅇ
- 수산물 고를 때 실수(착각)하는 사례 ㅇㅇ
- "케이크가 저절로 갈라졌다고요"...결국 반값 환불해준 사장님 ㅇㅇ
- 심야괴담회 보다보 한녀들 망상수준에 놀람 ㄷㄷ (feat. 코피노 괴담) 주갤러
- 기갑전은 사라지고 보병들의 소모전만 있을뿐 배터리형
- 한 커뮤니티의 최근 관심사.jpg 뽀까칩
- 임시현 "이기야가 일베 용어? 국어사전에 등록된 사투리다" ㅇㅇ
싱글벙글 광주 지하철은 왜 망했을까?
호남 최대 도시인 광주광역시의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지하철 광주 1호선1996년에 개통하여 2004년에 1단계 2008년에 2단계가 개통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그러나 광주 1호선은 대표적인 공기수송이라는 오명을 받고 있다2024년 기준 이 노선의 전체 승하차량은 3481만일평균으로 나누면 95131명에 불과함. 노선 전체가!참고로 일평균 승하차량이 9만 5천 이상인 '역'도 전국에 20개 정도 된다노선 내 최다 이용객인 광주송정역도 일평균 1만 명을 넘기지 못하는 굴욕광주 1호선이 지나는 곳: 광주송정역 (식물)공항 상무지구(끝자락) 금남로광주 1호선이 안 지나는 곳: 상무지구(중심) 버스터미널 챔피언스필드 전남대 기타 여러 택지지구1호선이 지나는 동 인구를 모두 더해도 30만이 안됨광주 인구가 140만인데대전 1호선은 이것보단 나음노선 전체 일평균 19만 명이고 일평균 이용객 1만 이상도 8개에 전체 1등인 대전역은 일평균 2만 명을 넘는다'광주 1호선은 왜 이렇게 망했는가?'에 대해선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었는데디시에는 전라도인들을 타국으로 취급하고 발전 안하기를 원하며 호남계 조선인 대학살을 진지하게 운운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어떻게든 전라도 깎아내리기 위해 온갖 왜곡과 날조로 선동하여 잘못된 정보가 인터넷에 돌아다니고 있음난 호남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에 정말 제대로 팩트체크를 해 주겠음광주의 지명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전라도인 말곤 이해를 못할 수 있음1990년대 초반 IMF 이전, 대한민국의 경제는 눈부시게 발전해 나갔고 1986년 직할시로 승격된 광주는 계속된 인구 증가로 1990년경 인구 120만을 돌파하고 조만간 150만도 돌파할 것이라고 예상되었음(실패)당시 서울 지하철은 2기 지하철 이미 공사 중이었고 3기 지하철 계획까지 슬슬 준비 들어갔고, 부산은 2호선 공사중, 대구도 지하철 공사중이었다광주와 대전도 이때 지하철이 필요하게 되었고 지하철 계획에 들어갔다1994년, 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서 5호선까지의 계획이 확정되었고, 1996년 1호선 공사가 시작되었다이때까지만 해도 2010년 되기 전에 5호선까지 다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겠지광주 지리 아는 사람들이라면 저거 다 지어졌으면 아주 행복했을 것저때 2호선은 지금 광주 2호선과 다른 노선이었음그러나....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지면서 모든 것이 뒤집힌다이미 착공한 1호선을 제외한 2호선부터 5호선까지 모두 백지화되어 버린 것IMF 때문에 무산된 지하철만 해도 두 자리 수가 넘어감서울도 10-12호선이 날아가고, 부산은 해상도시가 날아가고, 대구는 4-6호선이 날아가고, 인천은 3호선이 날아가고, 대전은 2-5호선이 날아갔음공사는 하고 있었던 1호선도 IMF 때문에 개통이 차일피일 밀리고, 첫 구간 개통은 착공 8년이 지난 2004년에 녹동-상무역까지만 개통되었고, 전 구간 평동역까지 개통되기엔 무려 12년이 지난 2008년까지 기다려야 했다10년이면 강산이 바뀌는데, 그 동안 광주는 강산이 제곱으로 바뀜아래는 1990년대 광주 지도에 1호선을 겹쳐본 것이다당시 광주 도심을 딱 지나가는 것을 알 수 있음90년대에는 지금 1호선이 안 지나가서 문제가 된 지역들이 모두 개발되기 전이었기 때문임광주 도심 금남로와 광주 부도심 송정리를 잇는 주 간선 노선이었다는 것저땐 무진대로도 없었고 상무대로가 광주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도로였음. 그러니까 대부분의 경로가 상무대로-금남로를 그대로 따라감지금 기준이라면 대체 왜 이렇게 노선을 선정했는가 모르겠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저게 적절한 노선이었다는 것, 그러니까 다른 곳 제치고 1호선인 거지그리고 현재 광주 위성 사진을 보도록 하자광주 1호선이 공사하는 동안 광주에는 이런 변화가 있었다2000년 경전선 도심구간 이설 - 남광주역과 연계 실패2004년 광주시청 이전 - 1호선 개통 직전에 상무지구로 이전했는데 상무역과는 좀 거리가 있다2005년 전남도청 이전 - 1호선 도청역은 개통 1년 만에 문화전당(구도청)역으로 이름을 바꿔야 했다 (참고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그로부터 10년 후에 개장)2008년 광주공항 국제선 이전 - 김포공항처럼 공항 수요라도 잡아야 하는데. 2단계 개통 직후 무안공항 개항으로 광주공항 기능들을 상당수 이전해 버림금호 풍암 효천 일곡 문흥 첨단 수완 등 수많은 택지지구가 건설. 하지만 모두 1호선과는 거리가 있는 곳이다또한 광주의 명실상부한 도심이었던 금남로는 상무지구와 기능이 분산되면서 도심 공동화를 조금씩 당하고 있다광주 시가지는 넓어졌지만, 1호선과 동떨어진 곳에 개발되어서 그 지역들을 모두 커버하지 못하고, 2호선 개통이 계속 지연되고 있어서 도시철도의 혜택을 못 받는 도시가 된 것광주 1호선이 안 지나서 가장 아쉬운 곳으로 대부분 사람들이 언급하는 곳은 역시 광주종합버스터미널 AKA 유스퀘어일 것이다여긴 1호선 공사 중 이전해온 것도 아니고, 1992년부터 현 위치 광천동에 있었음. 왜 계획 당시엔 이런 생각을 못했던 걸까?상무지구-광천-금남로의 루트는 정녕 불가능했을까?아마 이런 변명을 할 수 있을 것이다1990년대 초반 상무지구는 계획이 막 나왔을 때인데, 당시에 상무지구-광천으로 노선을 지나게 했을 경우 이 사이에 역세권이 없이 기아차 공장만 있어서 연선 인구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 아닐까 싶음. (이건 지금도 유효함) 저 거리엔 역 3개 만들 수 있음광주 1호선 (가칭) 광천역이 있었으면 일평균 2만 명도 찍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광주 1호선이 망한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근거를 대는 사람도 있던데 내가 반박해 주겠다지역유지나 시민단체의 반대?1호선은 90년대 초반에 계획이 확정됐다. 지방자치제가 1995년 1회 지방선거부터 시작되었으니 그 이전에는 주민이 시장을 안 뽑고 정부에서 시장 임명하는 관선 시절이었음. 저땐 정부의 힘이 더 컸기 때문에 까라면 까는 시절이다. 감히 반대하기도 힘들었음. 그리고 저땐 지금보다 더 권위적이었던 시절이었잖음다음 노선을 위한 보조 노선?아까 언급했듯이 1호선은 당시엔 주간선 노선이 맞았다김대중컨벤션센터역은 왜 존재하는가?참 어리석은 질문이다. 여긴 김대중 우상화 기념관이 아니고 그냥 전국 대도시에 하나씩은 있는 종합전시장인데 호남 최고의 아웃풋 김대중 전 대통령을 기념하기 위해 이름만 김대중을 쓴 거다. 원래는 벡스코 엑스코처럼 GEXCO라는 이름이 될 뻔했다고 함. 여긴 2008년에 개통됐다. 이런 1호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드디어 공사중이다그러나 2호선도 계속 계획이 길어지고 착공이 늦어지고 공사가 늦어지고, 그 사이에 광주 시가지도 또 변화가 생기는 바람에원래 예정되어 있었던 터미널과 야구장을 또 못 지나가게 되었음여길 포기하고 광산구 북구 택지지구 지나는 게 연선 인구를 더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2호선까지 개통된다면 광주 전체의 70%가 지하철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한다21세기에 지어진 택지지구들은 대부분 2호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문제는 2호선 공사하다가 예정에 없던 암반이 발견되는 바람에 개통이 2027년으로 밀린다고 한다. 안돼!이러다 전구간 개통은 2030년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2호선의 대순환선 변경으로 터미널과 야구장이 또 패싱되는 바람에 여기도 지하철의 혜택을 주려고 상무광천선이 추진되고 있긴 한데, 2호선도 밀리는 와중에 여기는 더 가능성이 없을 것 같다. 차라리 BRT를 확충하던가 해야지여기는 긴 글 못 읽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3줄 요약을 해 주겠다광주 1호선은 계획 당시에는 매우 알찬 노선이었다그러나 IMF로 후속 노선들이 취소되고 1호선 공사가 늦어져서 '그 사이에 광주가 많이 변했다'그래서 1호선은 중요 지점들을 많이 피해가는 망 노선이 되었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