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스트리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스트리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캄보디아에서 대박난 사업 ..jpg 업햄
- 결혼전 전남친이랑 이별여행 가도될까? 디씨망령
- 훌쩍훌쩍 KFC에서 프로포즈 하던 ㅈ거지 커플의 최후 감간7호
- 10월 14일 시황 우졍잉
- 美, 수입목재 10% 관세 발효…소파·주방찬장 25% 포만한
- 싱글벙글 고고트를 ㅈㄴ 좋아하던 포켓몬 개발자의 최후 짜잔
- 다이소가 정상화중이라는 업계.jpg 네거티장애
- "짱깨 아니에요" 섬짱깨들 사이에서 필수품된 배지 배그린
- 더현대 모 편집샵 직원들이 텍도 안뗀 매장옷을 입은채 일한게 발견됨 ㅇㅇ
- 진보의 상징이었다가 극우화 되고있는 미국 묘냥이
- 싱글벙글 인간관계 상위 1%가 쓰는 거절의 기술 ㅇㅇ
- 싱글벙글 2026 패션계가 밀고있다는 가방스타일 ㅇㅇ
- 캄보디아 현지교민이 보는 지금 상황 팩트....jpg 미국주식만함
- 독일 마트에 '중국 김치' 버젓이…2년 전엔 '중국서 기원' 논란 고닉팠
- 샤오미 전기차 SU7 활활... 30대 운전자 결국 사망 난징대파티
"진짜 부자는 '이것' 가진 사람"…상승세 언제까지?...jpg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금값이 또 최고치라면서요?그렇습니다. 지난 긴 연휴 기간에 온스당 4천 달러를 처음 돌파했는데요.어제(13일)는 4천78달러를 기록하면서 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우리 돈으로 따져보면 온스당 약 580만 원 정도까지 올라왔다는 건데요.1온스는 금 국제 거래 단위로 약 31.1g, 즉 100g 골드바의 3분의 1 정도 무게입니다.그래서 시세를 들으시고 "어? 종로에서 사는 금보다 싸네?" 하실 수도 있는데요.이건 국제 거래 기준 가격이라 국내에서 실제로 살 때는 세공비와 부가세가 붙습니다.여기에 우리나라만의 금값이 되는 일명 '김치 프리미엄'이 붙죠.해외보다 실물 금값이 더 비싸게 형성되는 경향도 있습니다.환율, 운송비, 또 실물 수요가 반영되다 보니 국제 시세보다 국내 금값이 더 비싼 경우가 많은데요.참고로 어제 기준으로 국내서 금 한 돈, 그러니까 3.75g을 살 때는 82만 4천 원을 기록했는데요.1년 전만 해도 50만 원이 안 됐거든요.66%나 올랐고, 올해만 따져봐도 약 54% 상승했습니다.이 정도면 금이 단순한 안전자산이라기보다 '웬만한 주식보다 수익률이 높다'라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금값이 이렇게 계속 오르는 건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계속 많아서 그런 거죠?정말 열기가 뜨겁습니다. 5대 은행의 골드바 판매액을 보면 올해 누적만 4천500억 원을 돌파했는데요.작년 한 해 판매액의 2.5배에 달합니다. 최근 금값은 점점 가파르게 올랐잖아요.이달 초 이틀 동안만 134억 원어치 금괴가 팔렸다는 집계도 나왔습니다.또 골드뱅킹 잔액도 1조 5천억 원을 돌파했습니다.예전에는 금값이 오르면 이익을 보고 팔던 분들이 많았지만, 요즘은 좀 분위기가 다릅니다.'아직 더 오를 수 있다'는 이런 기대감이 많아져서요.팔기보다 계속 보유하려는 분들도 늘었습니다.결국, "지금이라도 조금이라도 사두자"는 심리와 "가지고 있으면 더 오를 텐데"하는 기대가 맞물리면서 금을 사들이는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난 겁니다.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보자'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매번 물어보는 거긴 한데 오늘도 안 물어볼 수가 없어서, 금값이 계속 오를까요?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인 로버트 기요사키는 최근 이렇게 얘기를 했는데요."달러는 가짜 자산이고 진짜 부자는 비트코인, 금, 은, 이더리움을 가진 사람이다."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조금 과격하게 들리지만, 핵심은 같습니다.현금으로 가지고 있는 것보다 금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가 커지고 있다는 뜻입니다.전문가들은 당분간은 금값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는데요.그 이유가 분명하죠.미·중 갈등, 중앙은행의 금 매입,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 등 금값을 떠받치는 요인이 여전히 많기 때문입니다.단기 조정 가능성도 함께 지적되지만, 이런 조정은 짧은 숨 고르기일 뿐이라는 분석이 더 많습니다.특히 각국 중앙은행이 지속적으로 금을 사들이고 있고, 투자자들도 "인플레이션이 아직 완전히 잡히지 않았다"는 불안감 속에 금을 안정 자산으로 보는 시각이 계속 강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금을 무조건 사모은다기보다, 전체 자산의 5~10% 이내를 금으로 분산해 두고, 한꺼번에 사기보다 분할 매수로 접근하되, 가격이 급등하더라도 조급하게 팔기보다는 흐름을 조금 더 지켜보는 게 낫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캄보디아 납치" 인도는 "천명" 구출할 때 한국은 뒷북만 ㄷㄷ
말레이시아도 최근 100명 자국 경찰인력 투입해서 구출함... 참고로 한국은 캄보디아에 개발원조 가장 압도적으로 많이 해주는 나라다올해에만 무려 4353억을 지원함 ㅋㅋㅋㅋ참고로 캄보디아 1년 총 국가예산이 13조임 심지어 거의 매년 비즈니스 포럼도하고 있고, 캄보디아에 공장짓거나 진출한 기업만 100개가 넘음 심지어 외국인관광객수도 일본 미국 더한 것보다 많은데, 캄보디아공항 입국심사 때 한국인만 1달러 삥뜯기기로 유명... 진짜 호구도 이런 호구가 없고, 자국민 못 지키는 이런 나라도 흔치 않을 듯...인도보다 후진국 한국의 흔한 일상...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