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중소기업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중소기업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엠마 왓슨 과속으로 운전면허 정지 류혱
- 서산 청지천서 80대 남성 폭우에 휩쓸려 사망 묘냥이
- 일본 상반기 무역적자 2조 2158억엔... 대미수출액도 지속 감소 난징대파티
- 한국 여성 집단 성폭행…이란 육상선수단 4명 '구속기소' ㅇㅇ
- 전독시 웹툰팬의 시사회 후기 뜸 별겜
- 싱글벙글 여자들이 보는 길이vs굵기vs강직도 ㅇㅇ
- 페이커 언급한 빈살만 왕세자 ㅇㅇ
- 부산 미슐랭 1스타 피오또(Fiotto) 디너 강망구짱
- 싱글벙글 콜라보 만년필 가격... ㅇㅇ
- 국회의원 138명, 강선우보다 보좌진 ‘더 자주 교체’ 세티르
- 의대생 복귀 추진에 보직 교수들 집단 사퇴 중보수지
- 배우자가 일베를 한다면?.blind ㅇㅇ
- BBC : 한국 문화는 이미 서구시장에서 주류이다 조앤몬
- 안타깝게 요절한 할리우드 스타들 ㅇㅇ
- ㅇㅎ)한국인도 못도망가고 강제키스? 브라질 키스 축제. 구너
日, 아파트 계단이 갑자기 붕괴... 40대 소유주 사망
일본에서 아파트 계단이 무너져 내려 1명이 다치고, 다른 한 명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함 13일 오후 10시 반 쯤, 나가사키시에서 '아파트 계단이 무너져 사람이 매몰되어 있다'는 내용의 신고가 접수됨 사고가 난 곳은 2층 아파트 현장 사진을 보면 계단참 부분이 심하게 기울어져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음 이 사고로 2명이 병원으로 옮겨졌다는데...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사건 당일, 아파트 소유주인 34세 남성과 부동산 중개업자인 35세 남성이 외부 계단을 통해 2층으로 올라가고 있었음 그런데 순식간에 계단참이 무너져 내리며 그 위에 서있던 두 명이 모두 낙하한 것 대체 어쩌다 저런 황당한 사고가 발생했나 싶지만 다시 한 번 현장 모습을 살펴보면 납득이 됨 기울어져있는 부분만 봐도 심하게 녹슬고 부식되어 있고 그대로 낙하한 발판 부분이나 지지대도 안전함과는 영 거리가 멀어보임 이 사고로 아파트 소유주인 43세 남성은 머리를 크게 다쳐 결국 숨졌다고 함 본인이 아파트 관리에 돈을 안 쓴 대가를 톡톡히 치른듯 ㅋㅋㅋ
작성자 : 난징대파티고정닉
"졸업한 지가 언젠데 취업은?"…"안 뽑는데, 어떻게 가요"...jpg
목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17일)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와 고용률은 증가세를 이어갔네요. 여기까지는 좋은 소식인데 청년층만은 예외라고요?청년 취업자 수는 32개월 연속 감소를 했고, 청년층 고용률도 14개월 연속 하락세입니다.청년 일자리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좀 자세히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양호해 보입니다.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는 2천909만 1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만 3천 명 증가했습니다.지난 5월보다 증가 폭은 줄었지만,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요.반면, 청년 취업자 수는 362만 5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만 3천 명 줄어서요.방금 말씀드린 대로 32개월이나 연속해서 감소했습니다.OECD 비교기준 고용률도 살펴보죠. 역시 전체는 양호합니다.15세부터 64세 고용률은 70.3%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0.4%포인트 상승한 반면,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 고용률은 45.6%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포인트 하락했습니다.청년 고용률은 지난해 5월부터 14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는데, 6월 기준만 봐도 2021년 6월 이후 가장 낮습니다.좀 더 나이대를 쪼개서 취업자 수를 살펴보겠습니다.60대 이상과 30대에서는 각각 34만 8천 명, 또 11만 6천 명으로 늘었는데요.유독 20대에서는 15만 2천 명으로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계속돼서요.이제 갓 회사에 입사해야 할 취준생들 취업이 힘들다는 게 여실히 드러나고 있습니다.이렇게 20대가 힘들다는 통계가 또 보이네요. 우리 대기업에서 20대 직원을 뽑는 비중이 뚝 떨어졌다고요?20대 직원 비중이 2022년에 24.8%였던 게 2024년에 21%로 2년 사이에 3.8%포인트나 뚝 떨어졌습니다.매출 기준 상위 100대 기업 중에 67개사를 분석한 결과인데요.조사 기업 중 절반이 넘는 38곳에서 20대 인력이 줄어들었습니다.직원 수 기준으로 보면 같은 기간 4만 7천 명 넘게 줄어들어서요.29만 1천 명대에서 24만 3천 명대로 내려앉았습니다.반면, 30대 이상 직원은 늘었습니다.2022년에는 88만 명대에서 2024년에서 91만 5천 명대로 늘어서요. 3만 5천 명 넘게 늘었습니다.이게 무슨 의미냐, 대기업의 인력 구조가 젊은 인재보다 중장년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다시 말해 젊은 인재 잘 안 뽑는다, 즉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들이 신입 공채를 폐지하거나 축소하고, 수시 채용이나 경력직 선호로 전환하면서 청년 고용이 줄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기업별로 봤을 때 20대 비중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삼성 디스플레이로 43.8%에서 28.4%로 15.4%포인트나 급감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우리 사회에서는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도 이뤄지고 있잖아요. 그런데 이렇게 되면 결국 또 청년들 일자리가 줄지는 않을까 걱정인데요.국내 고용정책 전문가가 10명 중 6명이 법정 정년이 60에서 65세로 상향할 때 최대 부작용이 청년 일자리 감소로 진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한국경영자총협회가 경영·경제 법학 교수 2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2.4%가 정년 연장의 가장 큰 부정적 효과로 청년층 신규 채용 감소를 꼽았습니다.그다음으로 낮은 생산성 대비 높은 비용에 따른 비효율, 세대 갈등 등 직장 문화 저해,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를 꼽았는데요.법정 정년이 늘어나는 문제가 청년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큰 만큼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청년과 고령자 세대가 함께할 수 있는 고용정책 등 다양한 시각이 담긴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