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클래식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클래식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블라] 네오플 내부 반응 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
- 폴드7 아너v5 실측 두께 정보충
- 유럽인만있는 찐로컬 식당에 동양인 혼자 가면 생기는일 ㄷㄷ 구너
- 카톡 친구 5천명이면 생기는 일 ㅇㅇ
- 설명만 들어도 심장 쫄깃한 공포영화 ㅇㅇ
- 현직 변호사가 개공감하는 그 드라마 ㅇㅇ
- 싱글벙글 교촌치킨 1위 지점을 운영하던 박명수 ㅇㅇ
- 싱글벙글 작년 2024년 기준 배우 출연료 TOP 10 ㅇㅇ
- '북핵' 두고 확 달라진 수위...李 정부 의지 반영? 마스널
- 진짜 불쌍한 8090 한국 여자들 인생이라는 여초 글 ㅇㅇ
- 난데없이 일본인들의 핫플이된 역.jpg 네거티장애
- 스파이더 버스를 케데헌이 넘었냐는 질문에대한 대답 ㅇㅇ
- 베트남에서 일어난 하노이 포토부스 폭행 사건 ㅇㅇ
- 싱글벙글 낭만 쩌는 우중캠핑 ㅇㅇ
- 블루아카이브 디렉터, 한정현 대표 저격 덜크불릿
미국식 자본주의를 가장 빠르게 닮아가고있는 나라
그건 바로 "영국" 되시겠다. 1970년대까지만해도 공공재, 파업, 노조 등 노동자와 국가의 힘이 강했던 영국을 완전히 탈바꿈시킨 인물. 한국에서도 민영화와 신자유주의로 유명한 인물 "마거릿 대처" 총리 되시겠다. 대처 영국총리가 집권했던 1980년대 시절 미국 대통령은 로널드 레이건이였는데, 공교롭게도 레이건 역시 대처와 마찬가지로 민영화정책을 내세웠고, 노조와 규제를 깨부수고 기업에 혜택을 몰아주는 등 친기업, 친자본가 성향이었다. 사실상 미국과 영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경제가 이시기때부터 시작된것. 그래서 대처이후 현재 영국이 어떻게 변했는데? 영국 전기산업의 민영화 현재 영국 전역에 전기와 에너지를 공급하는 주체는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들이며, 그중에서도 내셔널그리드가 크게 주도하고있다. 내셔널그리드는 현재 시가총액이 100조원에 달하는 거대기업이며 이 기업 하나가 잉글랜드 전력의 80%를 독점하고 있다. 영국 상하수도 산업의 민영화 영국 수도는 1989년부터 민영화되어 현재 20개정도 되는 민간기업들이 영국 전역의 물과 하수를 관리하고 있다. 한국전력이나 한국수자원공사와 같은 공공기업들이 전기와 수도를 관리하는 한국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 영국 통신산업의 민영화 1980년대 통신의 민영화이후 현재 영국은 국가차원에서 통신을 관리하는것이 아닌 보다폰, BT와 같은 민간대기업들이 독점하고 있다. 독일의 도이치텔레콤이나 프랑스의 오렌지 등은 전부 공공기업인데, 영국은 미국과 같은 민간영역으로 통신이 넘어가게된것. 참고로 보다폰은 연매출액이 거의 100조원에 달할정도로 거대한 통신사이기도 하다. 영국 석유, 난방산업의 민영화 역시 80년대 이후 난방산업도 민영화되어 영국은 현재 민간 석유기업들이 가정용 난방을 지배하고 있다. 수많은 기업이 있지만, 쉘과 BP가 사실상 영국을 양분하고있다. 흔히 알려진대로 쉘과 BP는 매출액 기준 둘다 300~500조원에 달할정도로 전세계 최대 기업들중 하나이며 과거 영국 제국주의의 앞잡이역할을 한것으로도 유명하다. 영국 항공산업, 공항들의 민영화 영국은 항공사와 공항들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영국항공, 버진 그룹 등 민간기업들이 지배하는 국가다. 게다가 영국 최대 공항이자 세계 최대 공항중 하나인 히드로 공항도 민간기업이 소유 및 운영중이다. 인천국제공항이 국가소유인 한국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영국 교통산업의 민영화 영국은 버스와 같은 교통산업도 민영화되었다. 퍼스트그룹, 스테이지코치와 같은 민간 대기업이 운영하는 구조. 요금 책정과 노선 지정, 운행 시간 등 실질적인 운영을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한국과 달리 영국과 미국은 지자체가 교통 운영에 간섭할수가 없다. 영국 우편산업의 민영화 우편또한 마찬가지다. 우정사업본부와 같은 정부가 직접 우편을 운영하는 한국과는 달리 영국은 로열메일 이라는 민간기업이 편지, 소포, EMS, 금융 등을 장악하고 있다. 이렇듯 영국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기, 상하수도, 통신, 난방, 항공, 교통, 우편 등 공공산업을 전부 민영화시켜 대기업으로 넘겼다. 그러나 뭐든지 부작용도 존재하는법. 복지를 줄이고 민간기업에 혜택을 몰아주는 신자유주의 정책이 반세기가까이 영국에서 이어진결과 현재 영국은 빈부격차면에서 OECD국가중 2위를 달성하는 불명예를 앉았다. 참고로 가장 빈부격차가 심각한 나라 1위는 "미국"이었다. 즉 신자유주의가 가장 강한 미국과 영국이 1,2위를 나란히 차지하고있는것을 보면 충분히 생각해볼문제다. 공교롭게도 2025년 세계 1인당국민소득을 보면 미국이 8만9천달러, 영국이 6만3천달러로 인구 5000만이상 국가중 각각 세계 1, 2위를 차지하고있다. 빈부격차가 가장 심한 두 나라임과 동시에 국민소득이 가장 높은 나라라는것이 아이러니...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와들와들 중범죄 전과자가 벌인 끔찍한 사건..jpg
2020년 6월 7일 오전 5시 51분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소재 아파트에서 생긴 사건아파트 6층에서 방화폭발 사고가 발생,일가족 3명이 사망했는데아파트 내부에선 아들 A군이 흉기에 찔려 숨진채 발견,A군의 어머니 B씨(37ㆍ베트남인)와 의붓아버지 C씨(42)는 아파트 1층 화단에서 숨진채 발견됨심지어 화재를 끄러 온 소방관이 출동하자 소방관과 눈을 마주친 C씨가 B씨를 안고 강제 동반 투신을 해 충격을 줬음경찰이 CCTV를 조회해보니 C씨가 휘발유통을 들고 들어가는 장면을 발견,현장에서도 휘발유 2통(20L,5L)등이 발견된 점을 미뤄 조사한 결과부부는 남편의 부동산 투자 실패로 잦은 갈등이 발생,사건 일주일 전 법적으로 이혼했으며 이혼 후 따로 살던 상태사건 당일 부인이 살던 집에 남편이 찾아왔는데 A군만 혼자 있던 상태였음사건 1시간 전엔 남편이 나간 사이에 부인이 집에 돌아왔고 이때 상황은 위에 언급했었던 휘발유통을 들고갔던 상황A군은 둔기에 의해 두개골 함몰,팔,몸,손등지에 흉기로 베인 상처가 있어 C씨와 몸싸움을 벌이고 사망,B씨는 흉기에 의해 이미 의식이 상처가 없던 상태에서 C씨가 끌어 안아 동반 추락사를 선택했다고함당시 사건 댓글엔 남편 되는 놈이 살인 전과자라는 얘기가 돌았는데알고보니 진짜였음ㄷㄷ다만 현직 경찰이 올린 내용이라 사건 관련 내용을 인터넷에 퍼트려 업무상 비밀누설죄로 처벌되었다고함..이후 어머니와 아들의 유해는 베트남으로 가 장례식을 치뤘음(재혼 3개월 만에 비극이 일어난 것)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