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히어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히어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블라)대한항공출신 아내가 육아를 안 해서 빡친 사장 실시간기자
- 여시)소개받은남자 프사 헤으응+남친이 인스타로 여자봤다고 갈구는 여시들 실시간기자
- 흑어 예고편 당시 전세계인들의 비공감들 000
- 나이 많다고 방화범 집행유예 줬더니 생긴 일...JPG 포애
- 대흥민 어시.....gif 금요밤
- 중국은 왜 6.25에 개입해 한국의 통일을 막았나 ㅇㅇ
- 과묵한 소꿉친구 6 김목손
- 요즘 걸그룹 만화래 가면
- 새롬이 어린 시절 ㅇㅇ
- 함부르크 어제자 근황 ㅇㅇ
- 동물농장 레전드를 갱신시켜준 경기도 여주.jpg ㅊㅌㅋ
- 에이전트H가 전술에 진심이 아닌 이유 ㅇㅇ
- 손흥민 보다 한살 많은 피르미누 근황.jpg ㅇㅇ
- 싱글벙글 코난 일본에서도 병신같다는 사건 ㅇㅇ
- K-분노의질주'범죄도시'시리즈...환상과 현실.....jpg ㅇㅇ
(장문, 스압) 위꼴위꼴 맛있는 영국요리 10선
정보글은 처음 써보는거라 다소 두서없이 쓴거 양해 부탁한다 1. 피시 앤드 칩스 (Fish and Chips) 앵간한 싱붕이라면 다아는 영국의 대표 요리이자 영국인들의 소울푸드라고 할 수 있는 음식이다 대구나 명태로 만든 생선 튀김에 감자 튀김과 으깬 완두콩, 레몬, 타르타르 소스와 느끼함을 잡아줄 맥아 식초를 곁들여 먹는게 특징이다 원래 테이크아웃 하면 신문지에 싸서 주는게 전통이였으나 요즘은 위생 문제 때문인지 식품 포장 전용 용지로 싸서 준다고한다 2. 로스트 비프 (Roast Beef) 영국을 대표하는 또다른 요리이며 주로 일요일 점심으로 많이 먹는다 주로 안심이나 채끝살을 많이 쓰고 오븐에 구울때 나온 육즙에 루(녹인 버터에 밀가루를 볶은 것)를 풀어 간을 해서 만든 그레이비 소스나 홀스래디쉬 소스를 고기와 같이 곁들여 먹는다 사실상 통고기 스테이크의 원조격인 음식이라고 보면된다 3. 영국식 아침식사 (English Breakfast) 영국인들이 먹는 아침식사로 영국 요리의 악명을 빗겨가는 몇 안되는 요리 중 하나다 빵과 커피에 치즈, 소시지 몇조각만 주는 유럽 대륙의 빈곤한 아침식사와는 다르게 사진에서 보다시피 대영제국의 기상을 느낄수 있는 푸짐함이 특징이다 보통은 스크램블 에그 또는 계란 후라이, 소시지, 블랙 푸딩(사진에 시꺼먼거), 베이컨, 버섯(양송이 아니면 표고버섯), 베이크드 빈즈, 토마토, 해시 브라운, 토스트가 나오며 거기에 취향에 따라 마멀레이드 잼이나 밀크티를 곁들여 먹는다 4. 샌드위치 (Sandwich) 반으로 자른 빵에다가 고기랑 야채, 치즈등을 곁들여 먹는 요리로 이녀석도 역시 영국요리다 이름의 유래는 요리에 관심있는 싱붕이면 알겠지만 영국의 존 몬태규 제 4대 샌드위치 백작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샌드위치의 종류는 여기서 다루기엔 너무 많아 부득이하게 생략하겠다 5. 스카치 에그 (Scotch Egg) 삶은 달걀을 간 소시지 고기나 간 돼지고기로 싸서 튀긴 요리로 영국식 달걀 튀김이라고 할 수 있다 영국 내에서는 상당히 대중화된 음식 겸 간식으로 소풍 나갈때 먹는 음식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특이한건, 스카치(스코틀랜드)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1738년 잉글랜드 런던에서 인도요리의 코프타(미트볼 비슷한 요리)에 영감을 받아 최초로 개발되었다고 한다 보통은 완숙이 일반적이지만 조리법에 따라서는 위의 사진처럼 반숙으로 조리하는 경우도 있다 6. 뱅어즈 앤 매쉬 (Bangers and Mash) 영국의 펍 푸드 중 하나로 영국 펍에 가면 반드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널리 퍼져 있다 그릇에 매시드 포테이토를 깔아주고 구운 소시지를 올려 놓고 여기에 그레이비 소스를 뿌리고 취향에 따라서 구운 양파를 곁들여 먹는다 위의 재료에서 보다시피 맥주와는 궁합이 잘 맞는 음식으로 보통은 맥주 안주로 같이 먹는편이다 7. 비프 웰링턴 (Beef Wellington) 쇠고기 안심에 볶은 고기+다진 버섯을 입힌 다음 페이스트리에 싸서 굽는 방식으로 조리되며, 레드와인 소스와 함께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 내에서는 고급요리로 정평이 나있으며 영국 내에서는 보통은 크게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주로 먹는 음식이라고 할 정도로 꽤나 위상이 큰 요리로 영국 요리계의 시그니쳐라고 할 수있다 보통 한국인에게 잘 알려진 비프 웰링턴은 고든 램지가 만든 비프 웰링턴일 것이다 8. 셰퍼드 파이 (Shepherd's Pie) 다진 소고기나 양고기를 야채와 함께 볶은 다음 위에 으깬 감자를 얹어 오븐에 구운 요리로 영국의 대표적인 가정식이다 이름에 파이가 들어가는 것과는 다르게, 밀가루 반죽 등은 안 들어가고 파이 시트지가 할일을 다진 고기 위에 얹은 으깬 감자가 대신한다 원래는 이름에서 알다시피 양치기들이 해먹던 음식으로, 바쁜 노동으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없는 직업 특성상 파이 시트지를 반죽할 시간이 없는탓에 으깬 감자를 대신 얹어 단시간에 만들어 먹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9. 애프터눈 티 (Afternoon Tea) 일반적으로 오후 3시 30분 ~ 오후 5시 사이에 먹는 가벼운 식사의 일종으로 19세기부터 시작된 영국 상류층 문화의 대표주자 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층별로 되어있는 스탠드에 샌드위치(일반적으로 오이 샌드위치나 연어 샌드위치), 빵과 버터, 스콘(응고된 크림과 잼, 크림 차 포함), 케이크와 페스트리 등을 담아 제공되며 보통 홍차를 곁들어 먹는다 한국에서는 보통 고급 호텔등지에서 맛볼수있다 10. 트라이플 (Trifle) 민트초코, 파운드 케이크와 함께 영국의 대표적인 디저트 중 하나로 와인같은 술에 적신 스폰지 케이크에 크림, 젤리 등을 교대로 쌓은 다음 과일 등을 곁들여 만든 음식이다 보통 곁들이는 과일은 베리류나 딸기를 쓰지만 바나나나 사과를 쓰기도 하며 레시피에 따라 아예 과일을 빼고 초콜릿, 커피, 바닐라를 채워넣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트라이플을 현대식 케이크의 기원으로 볼정도로디저트 역사에선 중요한 음식 중 하나다 긴글 끝까지 읽어줘서 고맙다 영국 요리가 흔히 맛이 더럽게 없다는 악명이 자자하긴 하지만 영국도 사람 사는 동네인 만큼 앞서 설명한 음식들처럼 상당히 맛있는 음식들도 많은편이다 그런 의미에서 내일 한끼 정도는 영국 요리를 먹어보는것도 나쁘지 않을거라고 본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애플이 지금 시점에서 갑자기 VR 만든다고 깝치는 이유.EU
IT 뉴스 관심있는 테크충이라면 알겠지만, 요즘 애플 VR 관련해서 호들갑떠는게 핫하다. 다음주에 있는 애플 행사인 WWDC에 VR 관련 인플루언서 및 신문사들에게도 초청장이 갔다는게 확인이 되었는지라, 사실상 VR기기 발매는 확정된 상황이다.근데 생각이 좀 있는 인간이라면, 이런 의문이 생길만 하다."애플은 대체 왜, 뜬금없이 VR 기기를 만든다고 하는걸까?" 애플도 갑자기 메타버스에 미쳐가지고, 무슨 풀다이브 VR 게임을 만드려는건가?이제 <레디 플레이어 원>처럼 VR 세상에서 돈 벌어서 쌀먹할 수 있게 되는건가?애플이라는 회사를 잘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애플은 저런 씹덕 문화나 게임에 별로 관심이 없다.애플이 VR 기기를 만드는 이유는, 이것이 '확장현실'을 위한 징검다리 기술이기 때문이다. 요즘의 VR기기들은 바깥에 카메라가 달려있어서, 이런식으로 현실의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덧씌우는 기술이 가능하다.애플이 탐내는건 인싸들이 상중하는 리얼월드 현실과 분리된, 씹덕들만 바글바글한 가상 현실이 아니라, 이런식으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확장현실(XR) 시장이다. "엥? 바깥을 볼거면 그냥 투명한 안경처럼 만들면 되는거 아님?"맞다. 솔직히 지금 모든 회사들이 전부 안경처럼 만들고싶어 한다.허나 현재 기술로는 못 만드는게 문제다.지금 시장에 안경형 AR 글라스라고 나온 제품들 전부, 출력되는 화면은 코딱지만하고, 밝기는 엄청 어두워서 바깥에서 쓸 수도 없다.그래서 그냥 완벽하게 통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눈 앞에 달려있는 VR 기기가 현재로서는 최고의 AR 기기인 것이다. 그리고 의외로 VR 기기의 기술 발전이 빨라서, 현재 최신 VR 기기들은 위의 사진에 보이는 정도의 크기로 나온다.사진에 나온건 '비욘드'라는 제품으로, 무게는 127그램 밖에 안 하고, 스키 고글 수준의 크기다.참고로 아이폰 13 프로 맥스가 240그램이다. 근데 여기서 기술에 조금만 관심 있는 사람이면 또 다른 의문이 생길거다."엥, VR 돌리려면 성능 엄청 좋아야 하는거 아님?"맞다.애플VR은 루머상 눈당 4K 해상도 디스플레이를 2개 달아놨다고 한다. 지금 최신 그래픽카드로 4K 정복이 되니 마니 하는데, 4K 화면 2개를 동시에 돌려야 한다는 말이다. 앱등이들은 인텔이 벌벌 떨고 엔비디아가 두려워한다는 애플의 반도체 기술만 있으면 4K 까짓거 별거 아니라고 믿고싶겠지만,애플 실리콘은 전성비가 좋은거지, 4K 화면 2개 수준의 렌더링을 실시간으로 하는건 엄청난 무리가 맞다.이건 솔직히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카드인 RTX 4090이 와도, 전기를 있는대로 퍼먹으며 풀파워로 돌려야 될까말까 수준이다.그래서 몇가지 꼼수가 필요하다. 그 중 하나가 바로 '포비티드 렌더링'이라는 기술이다.사실 우리 시야는 중앙의 엄청 좁은곳만 고해상도로 볼 수 있고, 바깥쪽 시야는 제대로 볼 수 없다.심지어 시야의 가장자리 부분은 색조차 구분을 못 할 정도로, 시신경은 중앙에 몰빵되어 있다.그러면 굳이 화면의 모든 부분을 선명하게 뽑을 필요 없이, 지금 보고있는 부분만 실시간으로 빡세게 뽑은 다음, 나머지는 다 날려버려도 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론상으로는 이게 가능한데, 현실에서 구현하기가 엄청 어렵다.일단 시선추적이 엄청나게 빨라야 한다. 초당 200번은 넘게 동공 위치를 추적하지 않으면 시선 정보를 렌더링에 반영하기 너무 늦어진다.렌더링 과정 내에 제때제때 빨리빨리 시선 정보가 반영이 되어야 하는데, 현재 그래픽카드 파이프라인 구조로는 불가능한 것도 문제다.물론 야매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그러면 성능 부스트 폭이 크지 않아서, 이 기술을 쓰는 의미가 퇴색되어 버린다.현재 시장에서 파는 기기중 시선 추적 렌더링 적용했다는 제품들은 모두 이렇게 야매로 적용한 반쪽자리 기술이다. 현재 이 그래픽 처리 파이프라인을 하드웨어 수준에서 밑바닥부터 전부 재설계를 할 수 있는 회사가 애플밖에 없다.다른 회사들은 이걸 제대로 구현하려면 누가 총대매고 엄청난 공조 작업을 벌여야 한다.그런 의미에서 이러한 모든 잠재력을 뽑아내는 '진정한' 포비티드 렌더링 기술을 완성할 수 있을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이 외에도, 게이머들 사이에서 유명한 엔비디아의 DLSS 기술처럼,더블 4K 해상도를 실시간으로 뽑을 필요 없이, 낮은 해상도로만 렌더링한 다음 AI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업스케일 해서 사용하는 기술도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의외로 이런 여러 꼼수들을 쓴다면, 이 모든것들이 제법 가능해 보인다. 근데 아무리 이렇게 생생한 화면을 만들었다고 해도, 소프트웨어가 멍청하면 말짱 꽝이다.현실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완벽하게 덧씌우기 위해서는, 우선 기기가 현실을 완벽하게 파악해야 한다.주변의 모든 사물을 3D로 스캔해서 입체적으로 인식하고,어떤게 벽이고, 책상이고, 창문이고, 이런걸 전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즉, 이 모든걸 처리하는 AI가 엄청 똑똑해야 한다. 이 문제 때문에, VR 기술 선도 기업인 메타(오큘러스)는 옛날부터 AI에 엄청난 투자를 해왔다.메타는 겉으로는 이상한 메타버스에 몰빵한 띨빵한 기업처럼 보이지만, 그 비전은 애플이 VR로 하려는 것과 다르지 않다.얘네는 이미 10년 전부터 방향성을 여기로 확고하게 잡았다.오히려 애플은 메타랑 정면으로 대결해서, 얘네가 지금까지 해왔던걸 자기네들이 먼저 먹어버리려는게 목표다. 메타의 궁극적인 목표는, 앞으로 모두가 쓰게될 확장현실(XR) 기기와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전부 미리 장악해 버리는거다.얘네는 기본적으로 광고 수익으로 먹고사는 회사이기 때문에, 가상현실이든 증강현실이든 사람들이 보는 모든 곳에 광고를 뿌리는게 목표다.너가 지금 하고있는 행동을 AI가 분석해서, AI가 광고를 직접 생성해낸 다음, 언제 어디서든지 뿌려주는 미래가 메타가 꿈꾸는 미래다.게다가 카메라가 달려있고, 어디서든지 쓰고 다니게 될테니, 너의 사생활은 모두 메타의 손아귀 안에 있게 되는 것이다. 플랫폼 장악력으로 여기까지 온 애플은 메타가 그렇게 설쳐대는 미래를 원치 않는다. 애플은 미래의 확장현실 플랫폼 주도권을 자신들이 갖길 원한다.플랫폼 경쟁에서 밀려 광고 수입이 반토막난 전적이 있는 메타는, 다시는 누구에게 휘둘리길 원하지 않는다.메타는 미래에 사람들이 보게될 모든 광고의 헤게모니를 자신의 손에 넣길 원한다.그리고 이 두 회사가 꿈을 이루려는 방향성은 매우 다르다. 현재 VR 헤드셋에 들어가는 기술들은 매우매우 비싸다.화면, 렌즈, 카메라, 프로세서 모두 스마트폰 부품은 장난처럼 보일 정도로 정교한 놈들만 들어간다.애플VR에 들어가기로 되어있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일반적인 공정이 아니라 반도체 생산 공정을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놈이다.이러다보니 최고의 기술만 넣어서 만들어지는 애플VR의 경우 현재 3000달러가 넘어갈 것으로 점쳐지고 있는데,이 마저도 원가를 고려하면 애플 기준에서는 마진도 별로 안 남는 수준이라고 보고있다. 반면 메타의 경우 현재 엔트리급은 400달러, 하이엔드급은 1000달러에 팔고 있는데,원가를 따져보면 메타는 사실상 손해를 보면서 제품을 판다.생산비용이랑 R&D 비용도 안 넣고 그냥 거저로 주고있는 수준이다.얘네는 일단 가정용 게임기나 스마트폰 수준 가격으로 최대한 기기를 많이 뿌리고, 자사 소프트웨어 스토어의 판매 수수료로 비용을 회수하는 구조다.그렇다보니 찍먹으로 입문하는 활성 이용자층도 많은 편이고, 그 만큼 스토어 생태계도 활성화 되어있다.이렇다보니 다른 회사들 입장에서는 가성비로 승부를 보기 힘들다. 애플은 이 시대 최고 사양의 하드웨어를 갖춘 기기를 3000달러에 출시할 예정이다.메타는 이와 비슷한 확장현실(XR) 기능을 강화한 새로운 제품을 올해에 500달러에 출시할 예정이다.애플은 3000달러에 팔아도 무지성으로 구매해주는 충성 소비자층을 바탕으로, 단시간 내에 엄청난 유저풀과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완성하는게 목표다.메타는 손해를 보면서 팔더라도,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값싸게 사용할 수 있고, 이미 탄탄하게 완성된 자사 소프트웨어 생태계가 강점이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XR 기기 전쟁이 시작된다면, 걱정되는 점도 있다.일단 문제는 눈 앞에 카메라를 쓰고다닌다는 것이다.한국의 경우 도촬 기기로 낙인찍혀 밖에서 쓰고다니는게 어려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모든건 결국 기술 발전상 5년 정도 뒤에 나올것으로 예측되는 안경형 기기의 시대가 왔을 때를 준비하는 셈인데,너무 늦게 뛰어는 기업들은 선발 기업들의 콩고물이나 핥아먹어야 할 수도 있다.특히나 엄청나게 기술 집약적이고, AI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통합 능력이 핵심적이기 때문에,이러한 역량이 부족하다면 크게 뒤쳐질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항상"응, 성인물 관련 기능이랑 콘텐츠 있기 전까지는 안 함~ 그런게 있어야 폭발적으로 성장함~" 이러는데,...이미 엄청 많다.물리엔진 전부 적용되어서 직접 만지고 움직일 수 있고, 생김새도 현실의 실존 인물 따라서 만들수 있는 가상 리얼돌 프로그램부터, 각종 성인용 입체 영상까지 한가득이다. 체험해보면 진짜로 눈 앞에 있어서 만질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여기에 오나홀 연동이나 이런것 까지 다 된다.XR 혁명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작성자 : 홍익인간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