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뉴진스와 아이브, 걸그룹 음원 시대는 어떻게 돌아왔나앱에서 작성

ㅇㅇ (223.39) 2022.08.31 16:02:01
조회 49 추천 0 댓글 0

[미디어스=윤광은 칼럼] 지금 멜론 차트 탑 100을 열어 보면 낯설고 익숙한 광경이 펼쳐진다. 차트 상위권에 걸그룹 노래가 무더기로 포진해 있다. 아이돌 음악은 원래부터 최첨단 유행가였다. 아이돌 붐이 일어난 2010년대 초반 연간 인기곡 차트는 아이돌의 성지였다. 2010년 멜론 연간 차트 20위 안에 아이돌 노래가 10곡이나 있었다. 특히 걸그룹 노래는 보이그룹보다 더 많은 ‘대중성’으로 사랑을 받았다.

하지만 아이돌 음악의 입지는 2010년대 중반부터 약해졌다. 각종 음악 서바이벌 방송 출신 가수들, <쇼미 더 머니>를 타고 떠오른 힙합 음악이 공존하며 음원 차트에 ‘장르 다양성’이 생겼다. 2010년대 중후반으로 가면서 발라드 음악이 강세가 됐고 케이팝 신은 세계화되는 한편 국내에선 주변화 되어 갔다. 2018년까지는 아이돌 음악이 어느 정도 강세를 유지했지만, 2019년 연간 차트 20위 안에 고작 2곡, 2020년엔 4곡만 들어갔다.

아이돌 음악은 그렇게 기득권을 잃어버린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최신 멜론 주간 차트에선 걸그룹 음악이 10위 안에 7곡, 20위 안에 11곡이나 랭크인 해 있고, 탑100 차트에선 1위부터 10위까지 8곡이다. 이 정도로 차트 상위권이 아이돌 노래로 채워진 건 가요계 획일화 비판이 나왔던 10년 전 음원 차트에서 볼 수 있었던 추세다. 아이돌은, 아니 걸그룹은 어떻게 긴 시간을 돌아와 음원 차트를 수복한 것일까?

환경적 요인과 개별적 요인이 모두 존재한다. 작년 8월, 국내 최대 음악 사이트 멜론은 차트 시스템을 바꾸었다. 재작년, ‘음원 사재기’ 논란을 의식해 실시간 차트를 없애고 24시간 동안의 음원 이용량 반영으로 바꾼 개편안을 24시간 차트 + 실시간 차트 50:50의 비중으로 재개편했다. 바뀐 시스템이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를 낳았는지 확인하긴 힘들다. 다만, 개편안의 메커니즘 자체는 여타 음원 감상 플랫폼 및 SNS 트렌드와의 상호 연동성을 높이는 한편, 차트 인한 음악이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절충적인 방향이다.

한편, 국내에서 케이팝 음악이 한동안 약세를 보인 원인은 여타 장르 가요의 부상과 폐쇄적인 팬덤 산업화이고, 걸그룹에 한해서는 해외 시장 취향에 맞춘 콘셉트의 유행일 것 같다. 흔히 말하는 ‘걸크러시’, 강한 박자감과 사운드 중심의 음악이다. 국내 차트 동향 역시 서구적 음악 취향과 호환이 진행되고 취향이 다변화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멜로디 소비를 선호하는 국내 소비자 성향 상 호불호가 갈렸을 수 있다. 팬데믹으로 인해 케이팝 신의 활동이 위축되면서 소비자들 눈에서 멀어진 것도 요인이었다.

이런 흐름 속에 불현듯 나타난 변수가 브레이브 걸스의 ‘Rollin'’이다. 원래 2017년에 발표됐는데 작년 ‘역주행’을 통해 흥행했고, 걸그룹이 ‘대중성 있는 멜로디’로 사랑받던 시절의 히트곡 작곡가 용감한 형제가 제작한 노래다. 즉, 오랫동안 차트가 비 아이돌 음악에 쏠려 소비자들이 싫증이 나고 ‘다른 상품’을 향한 갈증이 생길 수 있는 시점에 범취향적 요소를 갖춘 ‘Rollin'’이 나타나 유튜브와 방송가, 음원 차트를 넘나들며 빅히트했다. 걸그룹 음악이란 선택지를 다시금 대중 앞에 노출시킨 셈이다. 인과관계를 결론짓긴 힘든 부분이지만, 실제로 ‘Rollin'’이 히트한 2021년 상반기 이후 브레이브 걸스의 후속곡을 포함해 에스파와 스테이씨 같은 걸그룹 노래가 차트에서 인기를 끌었다. 그리고 작년 12월부터 메이저급 신인 걸그룹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왔고 수요와 공급이 합치되며 현재 걸그룹 차트 점령으로 귀결된 흐름이다.

현재 차트에서 가장 돋보이는 그룹은 뉴진스와 아이브다. 아이브는 데뷔곡 ‘eleven’이 인기를 얻었고 ‘love dive’를 거쳐 이달 발표한 ‘after like’도 멜론 일간 차트 4위에 올라 있다. 뉴진스는 더욱 센세이셔널하다. 이달 초 발표된 데뷔 앨범 네 곡 중 무려 세 곡이 멜론 탑100 차트 10위에 들었고 ‘Attetion’은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두 그룹의 음악 콘셉트엔 교집합이 있다. 편하게 들을 수 있는 사운드에 멜로디가 강조된 소위 ‘이지 리스닝’ 계열의 음악이고, 가사와 콘셉트‧마케팅 노선의 초점이 ‘여초 팬덤’에 있다. 즉, 현재 걸그룹 음악의 인기는 ‘걸크러시’가 불러온 여성향 기조와 좀 더 부드럽고 취향을 덜 타는 빛깔의 음악적 콘셉트가 융합되는 흐름을 타고 있다. 실제로 신인 그룹 중 전형적 ‘걸크러시’에 가까운 음악으로 데뷔한 케플러와 엔믹스는 차트에서 인기가 없었다. 이상은 소비자 취향 동향, 음악산업 생태계 재편이 맞물린 현상이고, 이제 활동을 시작한 신인 그룹들이 차트에서 기득권을 획득하고 있다. 걸그룹 음악 강세는 단기적 유행에 그치지 않고 좀 더 장기화될 잠재력이 있다.

‘걸그룹 음악’은 곧 ‘대중성’과 통하는 키워드였다. 대중가요는 늘 시대의 표정과 감정을 사람들 마음속에 각인한 기록 사진이었다. 다른 매체에 비해 접근성과 향유의 편의성이 좋고, 가장 정서적인 차원에서 가장 감각적으로 수용되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TV와 라디오 같은 매스 미디어를 통해 한정된 종류의 음악이 공급되면서 그 노래들은 ‘대중성’을 얻었다. 하지만 뉴미디어의 번성으로 미디어가 파편화되고 전통적인 미디어의 매스 미디어 지위가 박탈된 지금 시대엔 대중성이란 개념이 성립할 수 없다. 십 년 전, 이십 년 전 젊은 대중과 호흡하던 아이돌 노래, 걸그룹 노래가 ‘비대중화’된 건 큰 틀에서 그것이 부산한 증상 중 하나다. 하지만, 걸그룹 노래가 다시금 인기를 얻는 현상에서 역으로 그들의 대중성이 복원될 가능성을 점쳐 볼 수 있을까?

십 년 전엔 방송과 음원 차트가 단일한 계통으로 쌍방향의 피드백을 주고받았다. 노래가 인기를 끌면 방송에 나가 스타가 되거나 방송에 나가 얼굴을 알리면 노래가 대히트하는 복권에 당첨될 수 있었다. 지금은 숱한 SNS와 미디어 플랫폼이 산재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모조리 관통해야만 대중성이라 칭할 만한 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매개체가 될 만한 역량을 가진 포맷이 바로 음악이다. 영상 포맷과 결합하기 쉽고 그래서 음원 플랫폼과 방송은 물론 유튜브와 틱톡 같은 영상 플랫폼, 각종 SNS에 대한 유통성이 좋으며 흥얼거림을 통해 파편화된 군중이 직접 만나는 일상에 침투하기도 쉽다.

즉, 원래의 대중성이 한데 모인 군중이 구성하는 덩어리진 양태였다면, 음원이나 조각 영상 같은 포맷은 분산된 점조직들을 관류하는 혈액이 되어 대중성과 유사한 것을 재현할 수 있다. 걸그룹은 대중 산업이 아닌 팬덤 산업이 된 지금도 음악의 흥행을 통해 여전히 대중적인 인기를 노릴 가능성이 남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사 대중성, 그와 결부된 이미지 자본은 보이그룹의 팬덤 세일즈 규모를 결코 쫓아갈 수 없음에도 걸그룹이 품을 수 있는 차별화된 경쟁력이다. 초동 앨범 30만 장밖에 팔지 못한 뉴진스가 방탄소년단 군입대 설 이후 하락하던 하이브의 주가를 반등시키는 구원투수가 된 것처럼 말이다


당연히 한계 역시 존재한다. 뉴미디어를 관통하는 알고리즘 구조는 내가 보고 있는 것만 더욱더 보게 만들며, 군중 간 취향과 관심사의 단절을 가속한다. 때문에 걸그룹 음악이 아무리 흥행한다고 해도 원더걸스 ‘Tell me’처럼 세대를 넘나들며 ‘국민가요’의 지위를 갖는 히트곡은 결코 다시 나올 수 없다. 유튜브 뮤직 인기 순위를 보면 10위 안에 9곡이 걸그룹 노래로 멜론 차트보다 젊은 계층 편향이 강한 걸 알 수 있다.

또한 방송가에서 곧장 음원 차트로 연결이 되어 프로모션 구조가 단순하던 과거에 비해, 무수한 미디어를 프로모션으로 연결하는 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아이브는 방송과 언론 및 광고, 각종 커뮤니티와 SNS를 아우르는 공세적인 마케팅으로 이것을 일정 부분 수행해 낸 케이스로 보이며, 걸그룹 음악이 차트에서 흥행하고 있음에도 중소 기획사 걸그룹들은 차트에서 보기 힘든 이유다. 브레이브 걸스 같은 희귀 사례에도 불구하고, 십 년 전 카라, 씨스타, 시크릿, 티아라처럼 비 대형기획사 아이돌이 노래를 히트시켜서 일약 스타가 되는 일은 요원해 보인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9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253283 일반 그런데 국민들 거지새끼 저능아들은 그런 리재명을까지 가스라이팅당해서 ㅇㅇ(223.62) 23.02.21 12 0
2253282 일반 기득권의 것을 국민에게 나눠줄수 있는 사람이 유일하게 리재명이야 ㅇㅇ(223.62) 23.02.21 18 0
2253281 정보 릇 자컨 조회수의 숨겨진 비밀 [3] ㅇㅇ(112.167) 23.02.21 192 11
2253280 일반 아이브 팬덤 작은건 올홀텅텅일때 알지 않았음? ㅇㅇ(211.32) 23.02.21 63 4
2253279 일반 이걸 알고 있는 기득권이 경제전문가도 아니고 유일하게 리재명임 ㅇㅇ(223.62) 23.02.21 17 0
2253274 일반 (걸스플래닛) 4강 최종결과. [4] 걸플올림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100 8
2253273 일반 소속사빨로 들어오는 기업들도 기겁하고 도망치겠노 [1] ㅇㅇ(121.129) 23.02.21 48 3
2253272 일반 미우미우 홈페이지 가면 바로 나오는데? [2] ㅇㅇ(175.223) 23.02.21 196 14
2253271 일반 어려운 사람에게 돈을 주면 경제는 살아난다 현대국가는 반대로 하고있지 ㅇㅇ(223.62) 23.02.21 14 0
2253270 일반 릇 자컨도 프로모 돌리는거잖아 [3] ㅇㅇ(110.70) 23.02.21 176 6
2253269 일반 이 간단한 진리를 경제학자들은 외면하지 기득권이니까 ㅇㅇ(223.62) 23.02.21 20 0
2253268 일반 이상타 르세라핌 자컨보고나면..... [1] ㅇㅇ(211.234) 23.02.21 100 5
2253266 일반 세금계산할때 어차피 하는일이니 그때 부자는 증세하면 돼 ㅇㅇ(223.62) 23.02.21 14 0
2253265 일반 뉴진스는 뮵 여러버전 내는게 프로모야 [5] ㅇㅇ(1.230) 23.02.21 140 7
2253264 일반 그렇다고 선별적으로 준다고 계산하는 행정력낭비는 필요없어 그냥다주면돼 ㅇㅇ(223.62) 23.02.21 14 0
2253263 일반 인간 키르시 ㅇㅇ(182.211) 23.02.21 58 1
2253262 일반 레이 이서 팬이 없는 이유 ㅇㅇ(110.70) 23.02.21 128 8
2253261 일반 돈이없는 사람은 돈을 주면 돈을 쓰게 되어있어 이게 경제살리는데 직빵이야 ㅇㅇ(223.62) 23.02.21 17 0
2253260 일반 뉴딜정책이 대표적 거짓말이야 노동시킬 필요도 없어 그냥 돈주면돼ㅑ ㅇㅇ(223.62) 23.02.21 23 0
2253259 일반 레이랑 이서 팬이 그렇게 없냐? [1] ㅇㅇ(211.32) 23.02.21 88 0
2253258 일반 4월 엣압대전에서 엣의 승리가 점쳐지는 이유.. [2] ㅇㅇ(36.39) 23.02.21 81 7
2253257 일반 경제학자들이 적극적으로 시민을 계몽하려 하지 않아 ㅇㅇ(223.62) 23.02.21 14 0
2253255 일반 민노총 병신들 민낯 ㅇㅇ(110.70) 23.02.21 30 0
2253253 일반 현대경제는 정확히 그 반대로 돈을 뿌리지 왜냐 ㅇㅇ(223.62) 23.02.21 11 0
2253252 일반 기업에게만 돈을 뿌리는게 아니라 보편적으로 돈을 뿌리면 경제는 살아나 ㅇㅇ(223.62) 23.02.21 10 0
2253250 일반 프로모 떡칠을 한것만 처보니 늊의 위엄을 모르는군 [17] ㅇㅇ(59.19) 23.02.21 196 10
2253249 일반 아끼는건 저능아야 독재자들의 마인드이고 돈을 써야 경제가 흘러 ㅇㅇ(223.62) 23.02.21 15 0
2253248 일반 아니 걸플올림픽 병신아 빨리 마감해 [5] ㅇㅇ(223.38) 23.02.21 53 0
2253247 일반 그런데 미국을 비롯 현대국가는 오로지 기득권에게만 돈을 뿌리지 ㅇㅇ(223.62) 23.02.21 14 0
2253245 일반 이 단순한 진리를 거대한 경제학자조차 말하지 않아 절대 [1] ㅇㅇ(223.62) 23.02.21 21 0
2253244 일반 저 정치도배충 되도안한 경제 이야기노 ㅇㅇ(110.70) 23.02.21 18 0
2253243 일반 니쥬 앰버서더 한국매장에도 사진 붙어있냐 ㅇㅇ(211.36) 23.02.21 77 1
2253242 일반 선별적으로 주는게 아니라 보편적으로 주면 세금계산때만 계산하면됨 ㅇㅇ(223.62) 23.02.21 13 0
2253241 일반 모든시민에게 돈을 뿌리면 돈이없는자는 돈을 쓰게되고 시장이 다시돌게돼 ㅇㅇ(223.62) 23.02.21 14 0
2253240 일반 늊 멤 엠버서더 라인업 지리긴 하네 ㄷㄷ [5] ㅇㅇ(112.167) 23.02.21 312 5
2253239 일반 모든경제학자가 외면하는 진실 모든시민에게 돈을 뿌리면 경제는 무조건 살아 [1] ㅇㅇ(223.62) 23.02.21 17 0
2253238 일반 사쿠라 공식 앰버서더 ㅇㅇ(211.36) 23.02.21 90 2
2253236 일반 그돈으로 모든 시민에게 돈을 뿌렸다면 경제는 훨씬 살아났을거야 ㅇㅇ(223.62) 23.02.21 15 0
2253235 일반 ㅋㅋㅋ 르세라핌 ㅈ밥이누 [3] ㅇㅇ(221.151) 23.02.21 119 2
2253234 일반 미국을 비롯 현대국가에선 기득권에만 돈을 뿌리지 ㅇㅇ(223.62) 23.02.21 18 0
2253232 일반 사실 경제을 살리는 방법은 무조건 공짜로 돈을 뿌리는거야 ㅇㅇ(223.62) 23.02.21 17 0
2253231 일반 안유진..열창중에 미안한데.. [2] ㅇㅇ(36.39) 23.02.21 181 60
2253230 일반 가스라이팅이란 용어가 이제 떠쓸뿐이다 ㅇㅇ(118.235) 23.02.21 17 0
2253229 일반 예전에 경제를 몰랐을땐 나도 공짜로 돈을 주면 망하는지 앎 그러나 ㅇㅇ(223.62) 23.02.21 14 0
2253227 일반 모든 시민이 노동을 하루 4시간하고 4시간을 직업적 정치인으로 일한다면 ㅇㅇ(223.62) 23.02.21 15 0
2253224 일반 (걸스플래닛) 뉴진스vs르세라핌 곧 마감합니다 걸플올림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90 0
2253223 일반 현대 디지털기술은 이미 직접민주주의가 가능해 ㅇㅇ(223.62) 23.02.21 13 0
2253222 일반 모든 시민이 직업적으로 민주주의에 참여해야하고 사실 할수있어 ㅇㅇ(223.62) 23.02.21 16 0
2253221 일반 (걸스플래닛) 아이즈원vs트와이스 곧 마감합니다 걸플올림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62 0
2253220 일반 민주주의를 완성시킬수 있는건 결국 직접민주주의밖에 없어 ㅇㅇ(223.62) 23.02.21 1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