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오세훈: 주택 공급 늘려서 서울 집값 폭락시킬거

ㅇㅇ(221.145) 2022.07.20 14:29:21
조회 50 추천 0 댓글 0

a14514aa010ab55d86ff5a72e75bf4cf887d939fdcb5cdec5544cef4e1509c91



오세훈 "주택공급 늘려 집값 더 떨어뜨릴 것…그래야 저출산 해결"

서울 집값이 최근 떨어지고 있다고 하지만, 올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5년 전에 비하면 2배 넘게 올랐다. 집값 급등에 따른 ‘탈서울 행렬’이 이어지면서 서울 인구도 2017년 1,000만 명이 무너진 뒤 5년 만에 950만 명 선까지 붕괴됐다. '4선 서울시장’인 오세훈 시장의 최대 현안도 서울시민의 주택 문제 해결이다. 오 시장은 15일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주택 공급을 계속 늘려 지금보다 집값을 더 떨어뜨리겠다”고 강조했다. 집값이 하향 안정화돼야 혼인율과 출산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게 오 시장의 지론이다.

-서울 집값이 일단 하락세로 돌아섰다.

"아직 한참 부족하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2억 원이 넘었는데 불과 3~4년 전만 해도 6억 원이었다. 그동안 오른 것에 비하면 더 떨어져야 한다. 집값이 오르면 서민과 빈곤층은 주거비 인상으로 가처분소득이 줄어들고, 이는 저출산 문제로도 이어진다. 우리나라는 90% 이상이 혼인관계를 통해 아이를 낳는다. 젊은 세대가 결혼을 미루거나 못하는 이유가 살 집이 없기 때문이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혼인율을 높여야 하고, 그러려면 집값이 더 떨어져야 한다."

-단기간에 집값이 급락하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지 않나.

"오히려 시간이 흐르기 전에 더 빨리 떨어져야 한다. 집값 상승이 ‘뉴노멀(새로운 기준)’이 돼버리면 집값 하락이 경제 운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커질 수 있다. 집값이 오른 상태에서 고착화되기 전에 빨리 하향 안정화가 돼야 한다. 좀 더 과감한 주택 공급 정책을 펼치는 게 서울시장의 책임이자 의무라고 생각한다."


-서울 인구 감소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보나.

"절대 인구는 아직 감소하지 않았다고 본다. 서울의 주택 문제가 열악해지면서 결혼 적령기부터 40대까지 젊은 부부들이 시 외곽으로 나가면서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연령대의 유출이 많아 인구 감소가 가팔라진 측면이 크다. 아이를 낳으면 집이 커져야 하는데, 서울에선 쉽지 않으니 수도권으로 이주해 방 한 칸이라도 늘리려는 거다. 서울에 살고 싶고 서울에서 경제활동을 하는데도 단지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 나갔다고 봐야 한다. 그런 분들도 서울 시민이라고 생각하고 정책을 집행할 거다. 최근 화제가 된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를 보면서 내가 그동안 서울에 주민으로 등록된 분들만 시민으로 생각하고 정책을 펼친 건 아닌지 반성했다."

-부동산 정책을 두고 서울시와 국토교통부의 갈등이 노출됐다. 호흡은 문제없나.

"일하다 보면 실무자끼리 갈등과 의견 차이가 생길 수 있다. 그런 과정에서 (서울시 직원의) 표현이 조금 과했다. 원희룡 장관을 만나 대신 사과하고 국토부 체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원 장관과의 업무 협조나 동지적 관계에 부정적 영향이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 자주 연락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 정책 관련해선 호흡이 잘 맞아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박원순 전 시장의 10년 시정을 평가한다면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었나.

"전임 시장이 추진한 것 중에 가장 개선하고 싶은 부분은 지나치게 시민단체를 표방하는 관변단체로부터 정책을 수혈받았다는 거다. 그분들 중에는 시장과의 사적 인연에서 시작한 사업이 많다. 서울시 내부에 그런 조직도 많이 만들어졌다. 조금 더 적나라하게 표현하면 전임 시장이 그분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 사업을 해준 거다. 시민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얻거나 업무 정통성이 있는 공무원들로부터 신규 사업 아이디어를 얻었다면 지금보다 서울시 발전 속도가 매우 빨랐을 거다."


-이름이 좀 길다. ‘약자와의동행추진단’이 신설됐는데, 어떤 업무를 하는 건가.

"지난 선거에서 공약한 △생계 △주거 △교육 △의료 등 4가지 핵심 분야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거다. 생계는 안심소득 정착, 주거는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공급, 교육은 (온라인 무료 교육 플랫폼인) 서울런 확장, 의료는 서울의료원 증축을 비롯한 취약계층 의료 지원이다. 기존 복지 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완전히 해소해 혁명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서울시의회가 최근 ‘장애인 탈시설 지원 조례’를 통과시켰다. 장애인 자립을 위한 시 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장애인과 그 가족 중에는 시에서 운영하는 장애인 집단거주시설에서 나오기(탈시설)를 원하는 사람도 있고, 반대로 시설을 늘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달라는 사람도 있다. 서울시는 두 가지 요구에 모두 부응해야 하기에, 관련 부서에 정책 마련을 주문해놨다. 현재 방영 중인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도 눈여겨보고 있는데,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을 해소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할 것 같다."

-TBS에 대한 내년 예산 삭감은 기정사실인가.

"이제 돌이킬 수 없다고 본다. 독립재단이 됐기 때문에 운용 자금도 독자적으로 마련하는 게 맞다. 그 원리에 따라 (예산 편성도) 진행될 예정이다. TBS 노조에서 이강택 대표의 신임 여부에 대한 투표를 하는 것으로 안다. 내부 목소리도 듣고 있다."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하락세다. 시장으로서 부담되는 측면은 없나.

"소속 정당 지지율이 올라가는 게 저로서는 바라는 바다. 지금 하강 국면에 있는 것 같아, 안타깝게 지켜보고 있다. 좀 더 열심히 해서 사랑받는 정당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부터 솔선수범하고 시민들 요구에 맞춰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책을 성공시키겠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026098 일반 틀와 미국 초동딸 이미 끝났어 ㅋㅋ [7] ㅇㅇ(39.125) 22.11.18 216 15
2026097 일반 느그는 일간1위는 커녕 차트아웃 위기잖아 ㅇㅇ(119.70) 22.11.18 23 1
2026095 일반 yg랑 jyp 5년전 시총 비교해보셈 ㅋ [1] ㅇㅇ(223.39) 22.11.18 91 5
2026092 일반 발작하는거보니 커뮤에 이거나 뿌리고 다녀야지 ㅇㅇ(221.154) 22.11.18 133 3
2026090 일반 저주식충 맨날 리셀가 올렸자나 ㅇㅇ(175.223) 22.11.18 56 3
2026089 일반 그래서 거의 2년만에 컴백해서 멜론 일간1위했냐고? ㅇㅇ(39.7) 22.11.18 46 2
2026086 일반 확실히 자존심을 제대로 건들긴했네 ㅇㅇ(221.154) 22.11.18 54 3
2026085 일반 지금의 제왑을 있게한 바이럴+역바이럴 전법 [3] ㅇㅇ(211.246) 22.11.18 81 6
2026079 일반 누드 따이는거 시간문제네 ㅇㅇ(175.223) 22.11.18 31 0
2026078 일반 지금 도배하는놈 평소에 정치도배하는놈 같지않음? [1] ㅇㅇ(221.154) 22.11.18 29 3
2026076 일반 메크로 천지인 마마투표로 딸치는거 보니 틀와 ㄹㅇ 끝났노 ㅇㅇ(106.101) 22.11.18 43 6
2026075 일반 망왑 인성교육된 회사 언플도 참 어이없긴 함 ㅇㅇ(211.246) 22.11.18 52 5
2026070 일반 ㅋㅋ 약국 언플중에 좃뱅이 월클이라구 도배한것 생각난다 [3] 0000(59.2) 22.11.18 50 5
2026069 일반 마마투표는 원래 틀와가 더 높았어 [1] ㅇㅇ(39.125) 22.11.18 136 6
2026067 일반 틀와가 대중들에게 외면받은 이유는 많아 ㅇㅇ(211.246) 22.11.18 42 2
2026064 일반 홍백나오면 니뽄 아레나투어 가능하냐? ㅇㅇ(1.224) 22.11.18 23 0
2026061 일반 근데 확실히 사고방식이 ㅈㄴ 특이하지 않음?? [2] ㅇㅇ(221.154) 22.11.18 91 7
2026059 일반 일본애들 반응 솔직히 당연한거아니냐? ㅇㅇ(183.96) 22.11.18 71 0
2026052 일반 확실한건 북미콘 매출...블핑> 뿡탄임 [3] ㅇㅇ(1.224) 22.11.18 183 5
2026051 일반 당연하지 미친새갸ㅋ 틀와가 jyp내 비중이 이정도인데 [2] ㅇㅇ(39.125) 22.11.18 87 3
2026049 일반 사실 블핑은 여기서 거론될 필요가 전혀 없는 팀임 ㅇㅇ(223.62) 22.11.18 82 7
2026047 일반 약국 망한대? ㅇㅇ(1.238) 22.11.18 37 0
2026044 일반 약핑 만큼 실체 보여주시길 ㅇㅇ(121.143) 22.11.18 65 4
2026041 일반 림보림보림보림보림보림~ ㅇㅇ(119.195) 22.11.18 22 1
2026040 일반 주가딸을 왜치노 ㅋㅋㅋ애널들이 yg블핑밖에없다고 [6] ㅇㅇ(39.125) 22.11.18 108 3
2026039 일반 약국이 망하건말건 그건 내 알바 아니고 [4] ㅇㅇ(106.101) 22.11.18 75 3
2026034 일반 이미 19년에 블핑은 미니멈 개런티 5억인데 [1] ㅇㅇ(39.125) 22.11.18 128 4
2026031 일반 틀와 이번에 la콘 전세기 보내준게 행사콘이라 그럼 ㅇㅇ(106.101) 22.11.18 50 4
2026030 일반 올해 블핑 북미콘 캐런티 결국 자료 없잔아.. ㅇㅇ(1.224) 22.11.18 69 1
2026027 일반 블핑 개런티 10억 아님 ㅇㅇ(175.223) 22.11.18 79 0
2026026 일반 틀와 la콘은 행사콘이라 투어링데이터에 안뜬다니까? [1] ㅇㅇ(106.101) 22.11.18 99 10
2026025 일반 이중 만약 한가지일을 한다면 어떤일할지 투표 ㅇㅇ(39.7) 22.11.18 18 0
2026023 일반 블핑 19년도 북미 개런티 [2] ㅇㅇ(223.39) 22.11.18 132 5
2026022 일반 공연기획사가 한국이나 하꼬지 미국은 얘기가 달라 ㅇㅇ(218.155) 22.11.18 74 2
2026021 일반 틀와 앵콜 la유사스타디움은 빼야지 ㅇㅇ(39.125) 22.11.18 45 1
2026019 일반 이러니깐 틀와콘이 초대로도 메꿔지질 않지 ㅇㅇ(211.246) 22.11.18 169 9
2026014 일반 올해 망왑출신들 처참한 음원무의미순위래 ㅇㅇ(211.246) 22.11.18 53 2
2026013 일반 라이브 네이션 타령은 빡대가리냐 ㅇㅇ(211.244) 22.11.18 38 3
2026011 일반 전범후손이 망왑 대표로 이끌고 있는건 팩트긴함 ㅇㅇ(211.246) 22.11.18 28 1
2026009 일반 3자 관점에서 블핑 콘 수익에 대해서 정리해준다. [7] ㅇㅇ(1.224) 22.11.18 184 0
2026007 일반 블 LA콘 티겟 400만원에 팔림 ㅋㅋㅋ ㅇㅇ(223.39) 22.11.18 73 5
2026006 일반 제왑은 니쥬땜시 주식딸이라도 칠수 있는걸 다행임 ㅇㅇ(211.246) 22.11.18 33 1
2026004 일반 공방은 죄다500명 미만신청ㅋㅋ 그사세에서 ㅇㅇ(211.36) 22.11.18 52 0
2026002 일반 그동안 들 대딸하던 놈들 남은건 음방 대딸임? ㅇㅇ(175.223) 22.11.18 25 0
2025999 일반 미국7회공연을 월투랍시고 그것도 개떨이콘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44 2
2025997 일반 블트압릇빼니깐 케이팝좃도없어보이노ㅋㅋ ㅇㅇ(211.36) 22.11.18 31 0
2025995 일반 역시 여기는 블트압릇만 까는곳이네 [1] ㅇㅇ(211.36) 22.11.18 58 1
2025993 일반 붕어같은 ㅂㅅ년들 빠는새끼들이 어련하겠냐 ㅇㅇ(106.101) 22.11.18 17 0
2025992 일반 빈살만 일본방문 취소 키ㅡㅡㅡㅡㅡㅡ타 ㅇㅇ(223.62) 22.11.18 61 0
2025990 일반 아이브 월드투어 일정 누출됬네... ㅇㅇ(1.224) 22.11.18 10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