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아이돌들 왜 세대구분 하는지도 모르는 멍청한 방구석 ㅈ문가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11 14:16:36
조회 176 추천 0 댓글 0

지금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

아이돌 세대 구분에 대해서는 분분한 의견이 존재한다. 애초에 합의를 이룰 만큼 많은 의견이 나오거나 활발한 공론장이 형성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세대의 아이돌이 출현할 때마다 세대론에 관한 기사가 종종 나오기는 했으나, 대개 개별 시대를 산발적으로 조명하는 데에 그칠 뿐 세대론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로 이어지진 못했으며, 특히 3세대 이후로는 논의가 더욱 미진한 실정이다.

사실 우리는 이미 직관적으로 세대를 일정 수준 구분하고 있다. 1세대는 H.O.T., 젝스키스, S.E.S., 핑클, 2세대는 동방신기, SS501, 슈퍼주니어, 빅뱅,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3세대는 엑소, 방탄소년단, 레드벨벳, 트와이스 등으로 통상적인 구분을 짓고 있다. 3세대 아이돌의 커리어가 상한을 유지한지도 수 년째인 고로 작년부터는 4세대 아이돌에 대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그 구분 기준은 과연 무엇인가? 단순히 시장 순환 주기에 따른 시대별 히트 그룹이나 제작 레이블의 차이인가? 계약 만료와 ‘군백기’에 묶인 판도 변화일 뿐인가?

지금 새삼스럽게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시대별 아이돌을 나누어보는 프레임을 넘어 케이팝의 역사를 꿰어보는 유용한 축으로서의 세대론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 이 글에서는 케이팝의 주도권이 점점 해외로 넘어가는 일련의 패러다임 전환 과정으로 세대론을 조망하며, 국내외로 케이팝이 구성 및 재구성 되어온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아이돌 시장의 새로운 세대가 도래한 상황에,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례없는 시장 위기를 맞이한 시점에서 이 글이 케이팝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논의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1세대: 케이팝 아이돌의 탄생

H.O.T.
S.E.S.S.E.S.

1세대는 SM 기획(현 SM 엔터테인먼트)이 미국의 보이밴드와 일본의 아이돌 프로덕션에서 착안하고 서태지와 아이들을 참조하여 내놓은 최초의 케이팝 아이돌 H.O.T.를 시작으로 SM 기획과 대성기획(현 DSP 미디어)의 경쟁구도 하에 탄생한 초기 아이돌 그룹들(H.O.T., 젝스키스, S.E.S., 핑클 등)로 대표된다.

신화, 클릭비, god, 샤크라, 쥬얼리, 보아 등은 2세대로의 이행 이전 과도기적, 실험적 특징을 지닌 1.5세대 아이돌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한국 아이돌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한류’ 개념이 대두되고, 일부 일본 언론에서는 ‘케이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다.

2세대: 케이팝 산업구조의 정착 – 케이팝의 고도 상업화와 해외 진출 본격화

동방신기동방신기
소녀시대소녀시대

2세대는 경제 위기 가운데 케이팝이 고도로 상업화되며 현재와 같은 산업구조가 정착되고, 국내시장의 위축에 따라 ‘현지화’ 전략을 표방하며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시작한 시기다. 보아의 성공 모델에 근거한 동방신기를 비롯하여 그 뒤를 이은 SS501,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등이 이 2세대에 해당한다. 이때부터 케이팝의 양적 성장이 가속화되었고, 샤이니, 2PM, 인피니트, 비스트, f(x), 2NE1, 포미닛, 미쓰에이, 씨스타 등 2.5세대 아이돌이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게 된다.

2세대부터의 아이돌은 국내에서는 기존의 신비주의 전략을 탈피하고 친밀한 이미지를 내세워 각종 예능과 드라마에 출연하고 자체제작 리얼리티 쇼를 런칭하는 등 음악 분야를 넘어선 만능 엔터테이너로 자리하는 가운데, 해외에도 본격 진출하며 인기를 얻는다. 이 중 특히 슈퍼주니어는 중화권에서, 소녀시대와 카라는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둔다. 지금은 일반화 된 ‘월드 투어’ 또한 이 세대부터 국내외 대형 팬덤을 구축한 그룹을 위시하여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빅뱅빅뱅
2NE12NE1
싸이싸이

비, 세븐, 보아, 원더걸스 등 일부 아티스트들은 대륙의 권역을 넘어 미국 진출을 시도하기도 한다. 비록 이들은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는 데에 실패했으나, 2010년대 초반 유튜브와 해외 디지털 음악시장의 성장으로 빅뱅, 2NE1 등이 북미에서 주목을 끌기 시작한다. 그리고 2012년 등장한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유튜브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열풍을 불러일으키며 산업 내외로 큰 충격을 안긴다.

3세대: 케이팝의 탈영토화

엑소

이러한 맥락 가운데 탄생한 3세대는 ‘케이팝의 탈영토화’가 본격화된 세대로 정리해볼 수 있다. 굴지의 소속사들은 대개 국내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뒤 일본에서 ‘현지화’된 음악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던 기존의 전략에서 벗어나 유튜브로 대표되는 초국적 디지털 플랫폼을 주축으로 국내외 동시성장을 꾀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국경의 속박에서 벗어난 콘텐츠를 추구한 것이다.

각종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비롯 지속적이고 탄탄한 팬덤을 확보하기 위한 프리-데뷔 프로모션과 ‘세계관’을 앞세운 스토리텔링 전략이 보편화된 것도 이 시기이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케이팝의 질적 향상 역시 2.5세대를 거쳐 3세대 때 폭발적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대표적인 3세대 아이돌로는 독특한 초능력 세계관을 주창하며 엑소-K와 엑소-M으로 한중 동시데뷔를 했던 엑소가 꼽히며, 뉴이스트, 빅스, 방탄소년단, 갓세븐, 위너, 레드벨벳, 마마무, 트와이스, 러블리즈, 오마이걸, 여자친구 등 역시 3세대에 해당한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YG 엔터테인먼트

2016년 한한령 발발로 2, 3세대 아이돌의 주 무대였던 중화권 시장이 봉쇄되며 케이팝 산업은 큰 타격을 입는다. 그 가운데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낸 팀들이 바로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다. 방탄소년단은 일찍이 트위터와 네이버 V를 비롯한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일상적인 소통을 시도하고 또 그러한 일상성을 작업물에 녹여내며 대륙과 국적을 불문한 다양한 해외 팬들을 끌어모았고, 2017년 빌보드뮤직어워드(BBMA) 수상을 시작으로 북미 시장에서 기록적인 성과를 거둔다. 블랙핑크도 북미에서의 초기 케이팝 인기를 견인했던 YG 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답게 유튜브를 중심으로 북미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한다. 이외에도 카드, 드림캐쳐 등 유튜브와 뉴미디어를 통해 기존 케이팝 진출 경로를 벗어난 곳에서 더 큰 호응을 얻는 사례들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프로듀스 101프로듀스 101
프로듀스 101 시즌 2프로듀스 101 시즌 2

반면 국내에서는 2016년 팬덤에게 아이돌 그룹의 제작의 주도권을 쥐어준 <프로듀스> 시리즈가 반향을 일으킨다. 이 주도권은 끝내 환상에 불과하다는 점이 드러났음에도, <프로듀스> 시리즈는 케이팝 산업에 팬덤 파워를 전례없이 각인시키며 ‘프로슈머(프로듀서+컨슈머)’ 담론을 형성한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팬덤의 목소리가 전에 없이 커진 것이다.

세븐틴, 몬스타엑스, NCT, 워너원, 블랙핑크, 우주소녀, I.O.I, 카드 등은 이와 같은 케이팝 산업구조의 지각변동을 겪어내며 성장한 그룹들로서 3.5세대 아이돌로 구분할 수 있다.

4세대: 케이팝의 재영토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JYP 엔터테인먼트

이러한 격변기를 거쳐 2019년을 전후로 새로운 세대의 조류가 분명하게 감지되기 시작했다. 3세대가 케이팝의 국경을 허무는 ‘케이팝의 탈영토화’ 시기였다면 4세대는 완전히 평평해진 지대 위에서 다시 새로운 영역을 형성해가는 ‘케이팝의 재영토화’ 시기로 정리해볼 수 있다. 케이팝은 미대륙 시장의 장벽까지 넘어서며 완연한 탈영토화를 이뤄냈고, 케이팝의 주도권은 더이상 한국에 귀속되지 않는다. 국내 시장이 완전히 등한시되고 있다는 뜻은 물론 아니다. 아직 국내에서의 지명도는 기획사가 그룹의 입지를 평가하는 주된 기준 중 하나로 자리하며, 해외 팬덤에서도 국내 앨범 판매량, 음원 차트, 음악방송, 연말 시상식에서의 성적을 의식하고 있다. 다만 달라진 점은 4세대에 이르러 대륙과 국가의 경계에 일절 구애받지 않는 케이팝의 새로운 지평을 상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몬스타엑스, VAV, NCT, 카드와 같은 3.5세대 그룹들이 국내보다 해외에서 큰 인기를 구가하게 된 점, 2019년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신인 그룹으로 지목되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있지도 데뷔와 동시에 북미 데뷔 쇼케이스 투어를 돌며 해외 팬들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 점, 스트레이키즈, 에이티즈, 이달의소녀, 에버글로우와 같은 신생 그룹들이 국내보다 오히려 해외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는 점은 그 방증이라 볼 수 있다. SM의 웨이션브이(WayV, 중국), 슈퍼엠(SuperM, 미국), JYP의 보이스토리(중국), 니지 프로젝트(일본), 제니스미디어콘텐츠의 지스타즈(Z-Stars, 범-아시아 공략)와 같이 한국 회사의 주도로 해외에 본거지를 둔 실험적인 케이팝 그룹들이 출범한 것 역시 ‘케이팝의 재영토화’로 설명할 수 있겠다.

https://idology.kr/13070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5717577&dbt=DIKO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009610 일반 말단알바새끼 차단아이피 꽉차서 차단도 못하는 병신 쪽빠리 ㅋ ㅇㅇ(211.219) 22.11.08 15 0
2009607 일반 트레져도 2명 탈퇴했네 [2] ㅇㅇ(111.91) 22.11.08 217 2
2009605 일반 근데 솔까 쪽본 반응이 이해 안가는건 아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34 1
2009601 일반 압, 홍백 출전 일본 신드롬! ㄷㄷ ㅇㅇ(211.193) 22.11.08 59 1
2009599 일반 자기인생의 최고의 여행지는 어디인가요? ㅇㅇ(118.235) 22.11.08 14 0
2009597 일반 장원영 mama 시상식 엠씨 확정! [4] 라그랑주(112.153) 22.11.08 178 3
2009596 일반 멜뮤나 골디에 XG 초청되었다고 생각해봐 [1] ㅇㅇ(59.30) 22.11.08 85 0
2009595 일반 급내려간 홍백 릇나오면 다시 올라갈 예정 ㅋㅋㅋㅋㅋㅋ ㅇㅇ(73.181) 22.11.08 46 1
2009594 일반 일본인 발언 ㅇㅇ(221.145) 22.11.08 20 0
2009593 일반 이 갤은 뭐하는덴데 쓰레기들이 대부분이냐 ㅇㅇ(165.132) 22.11.08 12 0
2009589 일반 방예담은 에이스 아닌가? ㅇㅇ(165.132) 22.11.08 213 0
2009587 일반 아이브가 일본에서 신드롬적인 인기임?? ㅇㅇ(203.228) 22.11.08 60 1
2009584 정보 '촛불행동' 대표 “풍산개 파양, 솔직히 황당“ ㅇㅇ(221.145) 22.11.08 45 0
2009582 일반 그러고보니 틀와 재계약했냐? ㅇㅇ(223.62) 22.11.08 28 0
2009573 일반 짐 보니까 압퀴들 많이 다운된게 느껴지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58 1
2009568 일반 짐 걍 과도기라 보면 됨.. 압도 일멤 있잖아? 메인은 릇인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55 1
2009567 일반 [속보] 아이브 장원영, 모친 왕해응에게 이혼하라 닦달 논란ing [1] ㅇㅇ(118.235) 22.11.08 83 6
2009564 일반 르세라핌, 홍백가합전 일본 반응 ㄷㄷㄷㄷㄷㄷ.jpg [6] ㅇㅇ(203.228) 22.11.08 253 3
2009563 일반 혐석이형 돌아와..yg망하겟다 ㅇㅇ(223.38) 22.11.08 135 1
2009561 일반 [김예나의 까;칠한] 아이브 장원영, 4살 때부터 한국어에 능통해 ㅇㅇ(118.235) 22.11.08 77 2
2009560 일반 이번에 압릇이 홍백 망하는거 고기방패 되게 생겼네 [9] ㅇㅇ(119.192) 22.11.08 89 3
2009558 일반 왈퀴 오니깐 갤 또 더러워진거봐라 [1] 천개의그리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39 4
2009549 일반 뭐야? 압이 홍백가합전 확정됏다는 글 보고 잤는데 릇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55 1
2009547 일반 니쥬 돔투어 매진 ㄷㄷㄷ [1] ㅇㅇ(59.5) 22.11.08 101 4
2009545 일반 감히 내가 말한 영어 감히 의심하지마 중국말하는게 아냐 [2] ㅇㅇ(118.235) 22.11.08 44 3
2009543 일반 아이브가 그냥 탑인게 보인다 반응온다는건 좋은건데 ㅇㅇ(125.184) 22.11.08 46 3
2009538 일반 선족들 바이럴알바한다고 정신없네 병신들ㅋ [3] (61.47) 22.11.08 28 2
2009534 일반 일본어쩌구 들고와서 선동안통한다 벌레설쳐봤자 너넨벌레 ㅇㅇ(125.184) 22.11.08 24 0
2009533 일반 홍백에 한국그룹 자리는 2개뿐이지 압은 확정이고 [7] ㅇㅇ(210.124) 22.11.08 142 0
2009532 일반 엠마왓슨 vs 애비왈승 [1] ㅇㅇ(118.235) 22.11.08 29 2
2009530 일반 압 내용만 나오면 발작하다보니 모든 pd들이 압 모시려하지 ㅋㅋ ㅇㅇ(221.142) 22.11.08 14 0
2009529 일반 케이팝 똥칠하는 조작 짱깨그룹ㅋㅋ [3] (61.47) 22.11.08 35 2
2009528 일반 일본에서 좀까이는게 그래서 뭐 병신들아 ㅇㅇ(125.184) 22.11.08 19 0
2009527 일반 참 안티들 안쓰러워 어떻게 하냐 ㅇㅇ(210.124) 22.11.08 24 1
2009525 일반 홍백 한국티어 많아야 2자리인데 [3] ㅇㅇ(92.38) 22.11.08 82 1
2009522 일반 [속보] 아이브 장원영, "애비가 왈승일바엔 없는게 낫다" 발언 [3] ㅇㅇ(118.235) 22.11.08 50 6
2009518 일반 한국도 소속사빨 받는거처럼 일본도 소속사빨 있는거지 ㅇㅇ(125.184) 22.11.08 27 0
2009517 사진 정채연 vs 안유진 누가 더 예쁘냐 [3] ㅇㅇ(218.101) 22.11.08 136 0
2009515 일반 홍백에 압릇 나오는게 한국으로 치면 [5] ㅇㅇ(119.192) 22.11.08 80 1
2009514 일반 장원영 애비가 왈승인 이유 [1] ㅇㅇ(118.235) 22.11.08 30 2
2009503 일반 릇 마마 1일차 나가네 ㅋㅋㅋㅋ 쩌리 공연날 [3] ㅇㅇ(223.39) 22.11.08 145 4
2009502 일반 [단독] 아이브 가을, 도시어부3 게스트로 출연 결정 ㅇㅇ(118.235) 22.11.08 124 4
2009500 일반 릇은 앞으로 엣이랑 묶일 운명인가? ㅇㅇ(211.36) 22.11.08 31 0
2009498 일반 왜까는줄 아냐 홍백 나가는 팀은 한정되어있따 [1] ㅇㅇ(125.184) 22.11.08 46 1
2009493 일반 확실히 일본도 혐한 개좆되긴한다ㅋㅋㅋㅋ [6] ㅇㅇ(119.192) 22.11.08 116 0
2009488 일반 십오야서도 장원영 비율 쩔긴하노 [5] ㅇㅇ(125.184) 22.11.08 195 6
2009486 일반 야후재팬 장난없네 압이건 릇이건 개쌍욕쳐먹고잇네 ㅋㅋㅋ ㅇㅇ(122.40) 22.11.08 41 0
2009480 일반 자자 마마 라인업 힌트나 맞혀봐라.... [3] 라그랑주(112.153) 22.11.08 121 0
2009478 일반 야후 댓글창 씹창날수밖에 없지. 초동 6.8만따리가 홍백이니 [2] ㅇㅇ(218.155) 22.11.08 87 4
2009477 일반 홍백 댓글 많은건 뭐 좋은거지 [5] ㅇㅇ(210.124) 22.11.08 84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