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아이돌들 왜 세대구분 하는지도 모르는 멍청한 방구석 ㅈ문가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11 14:16:36
조회 174 추천 0 댓글 0

지금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

아이돌 세대 구분에 대해서는 분분한 의견이 존재한다. 애초에 합의를 이룰 만큼 많은 의견이 나오거나 활발한 공론장이 형성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세대의 아이돌이 출현할 때마다 세대론에 관한 기사가 종종 나오기는 했으나, 대개 개별 시대를 산발적으로 조명하는 데에 그칠 뿐 세대론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로 이어지진 못했으며, 특히 3세대 이후로는 논의가 더욱 미진한 실정이다.

사실 우리는 이미 직관적으로 세대를 일정 수준 구분하고 있다. 1세대는 H.O.T., 젝스키스, S.E.S., 핑클, 2세대는 동방신기, SS501, 슈퍼주니어, 빅뱅,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3세대는 엑소, 방탄소년단, 레드벨벳, 트와이스 등으로 통상적인 구분을 짓고 있다. 3세대 아이돌의 커리어가 상한을 유지한지도 수 년째인 고로 작년부터는 4세대 아이돌에 대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그 구분 기준은 과연 무엇인가? 단순히 시장 순환 주기에 따른 시대별 히트 그룹이나 제작 레이블의 차이인가? 계약 만료와 ‘군백기’에 묶인 판도 변화일 뿐인가?

지금 새삼스럽게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시대별 아이돌을 나누어보는 프레임을 넘어 케이팝의 역사를 꿰어보는 유용한 축으로서의 세대론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 이 글에서는 케이팝의 주도권이 점점 해외로 넘어가는 일련의 패러다임 전환 과정으로 세대론을 조망하며, 국내외로 케이팝이 구성 및 재구성 되어온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아이돌 시장의 새로운 세대가 도래한 상황에,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례없는 시장 위기를 맞이한 시점에서 이 글이 케이팝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논의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1세대: 케이팝 아이돌의 탄생

H.O.T.
S.E.S.S.E.S.

1세대는 SM 기획(현 SM 엔터테인먼트)이 미국의 보이밴드와 일본의 아이돌 프로덕션에서 착안하고 서태지와 아이들을 참조하여 내놓은 최초의 케이팝 아이돌 H.O.T.를 시작으로 SM 기획과 대성기획(현 DSP 미디어)의 경쟁구도 하에 탄생한 초기 아이돌 그룹들(H.O.T., 젝스키스, S.E.S., 핑클 등)로 대표된다.

신화, 클릭비, god, 샤크라, 쥬얼리, 보아 등은 2세대로의 이행 이전 과도기적, 실험적 특징을 지닌 1.5세대 아이돌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한국 아이돌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한류’ 개념이 대두되고, 일부 일본 언론에서는 ‘케이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다.

2세대: 케이팝 산업구조의 정착 – 케이팝의 고도 상업화와 해외 진출 본격화

동방신기동방신기
소녀시대소녀시대

2세대는 경제 위기 가운데 케이팝이 고도로 상업화되며 현재와 같은 산업구조가 정착되고, 국내시장의 위축에 따라 ‘현지화’ 전략을 표방하며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시작한 시기다. 보아의 성공 모델에 근거한 동방신기를 비롯하여 그 뒤를 이은 SS501,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등이 이 2세대에 해당한다. 이때부터 케이팝의 양적 성장이 가속화되었고, 샤이니, 2PM, 인피니트, 비스트, f(x), 2NE1, 포미닛, 미쓰에이, 씨스타 등 2.5세대 아이돌이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게 된다.

2세대부터의 아이돌은 국내에서는 기존의 신비주의 전략을 탈피하고 친밀한 이미지를 내세워 각종 예능과 드라마에 출연하고 자체제작 리얼리티 쇼를 런칭하는 등 음악 분야를 넘어선 만능 엔터테이너로 자리하는 가운데, 해외에도 본격 진출하며 인기를 얻는다. 이 중 특히 슈퍼주니어는 중화권에서, 소녀시대와 카라는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둔다. 지금은 일반화 된 ‘월드 투어’ 또한 이 세대부터 국내외 대형 팬덤을 구축한 그룹을 위시하여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빅뱅빅뱅
2NE12NE1
싸이싸이

비, 세븐, 보아, 원더걸스 등 일부 아티스트들은 대륙의 권역을 넘어 미국 진출을 시도하기도 한다. 비록 이들은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는 데에 실패했으나, 2010년대 초반 유튜브와 해외 디지털 음악시장의 성장으로 빅뱅, 2NE1 등이 북미에서 주목을 끌기 시작한다. 그리고 2012년 등장한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유튜브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열풍을 불러일으키며 산업 내외로 큰 충격을 안긴다.

3세대: 케이팝의 탈영토화

엑소

이러한 맥락 가운데 탄생한 3세대는 ‘케이팝의 탈영토화’가 본격화된 세대로 정리해볼 수 있다. 굴지의 소속사들은 대개 국내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뒤 일본에서 ‘현지화’된 음악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던 기존의 전략에서 벗어나 유튜브로 대표되는 초국적 디지털 플랫폼을 주축으로 국내외 동시성장을 꾀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국경의 속박에서 벗어난 콘텐츠를 추구한 것이다.

각종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비롯 지속적이고 탄탄한 팬덤을 확보하기 위한 프리-데뷔 프로모션과 ‘세계관’을 앞세운 스토리텔링 전략이 보편화된 것도 이 시기이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케이팝의 질적 향상 역시 2.5세대를 거쳐 3세대 때 폭발적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대표적인 3세대 아이돌로는 독특한 초능력 세계관을 주창하며 엑소-K와 엑소-M으로 한중 동시데뷔를 했던 엑소가 꼽히며, 뉴이스트, 빅스, 방탄소년단, 갓세븐, 위너, 레드벨벳, 마마무, 트와이스, 러블리즈, 오마이걸, 여자친구 등 역시 3세대에 해당한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YG 엔터테인먼트

2016년 한한령 발발로 2, 3세대 아이돌의 주 무대였던 중화권 시장이 봉쇄되며 케이팝 산업은 큰 타격을 입는다. 그 가운데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낸 팀들이 바로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다. 방탄소년단은 일찍이 트위터와 네이버 V를 비롯한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일상적인 소통을 시도하고 또 그러한 일상성을 작업물에 녹여내며 대륙과 국적을 불문한 다양한 해외 팬들을 끌어모았고, 2017년 빌보드뮤직어워드(BBMA) 수상을 시작으로 북미 시장에서 기록적인 성과를 거둔다. 블랙핑크도 북미에서의 초기 케이팝 인기를 견인했던 YG 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답게 유튜브를 중심으로 북미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한다. 이외에도 카드, 드림캐쳐 등 유튜브와 뉴미디어를 통해 기존 케이팝 진출 경로를 벗어난 곳에서 더 큰 호응을 얻는 사례들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프로듀스 101프로듀스 101
프로듀스 101 시즌 2프로듀스 101 시즌 2

반면 국내에서는 2016년 팬덤에게 아이돌 그룹의 제작의 주도권을 쥐어준 <프로듀스> 시리즈가 반향을 일으킨다. 이 주도권은 끝내 환상에 불과하다는 점이 드러났음에도, <프로듀스> 시리즈는 케이팝 산업에 팬덤 파워를 전례없이 각인시키며 ‘프로슈머(프로듀서+컨슈머)’ 담론을 형성한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팬덤의 목소리가 전에 없이 커진 것이다.

세븐틴, 몬스타엑스, NCT, 워너원, 블랙핑크, 우주소녀, I.O.I, 카드 등은 이와 같은 케이팝 산업구조의 지각변동을 겪어내며 성장한 그룹들로서 3.5세대 아이돌로 구분할 수 있다.

4세대: 케이팝의 재영토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JYP 엔터테인먼트

이러한 격변기를 거쳐 2019년을 전후로 새로운 세대의 조류가 분명하게 감지되기 시작했다. 3세대가 케이팝의 국경을 허무는 ‘케이팝의 탈영토화’ 시기였다면 4세대는 완전히 평평해진 지대 위에서 다시 새로운 영역을 형성해가는 ‘케이팝의 재영토화’ 시기로 정리해볼 수 있다. 케이팝은 미대륙 시장의 장벽까지 넘어서며 완연한 탈영토화를 이뤄냈고, 케이팝의 주도권은 더이상 한국에 귀속되지 않는다. 국내 시장이 완전히 등한시되고 있다는 뜻은 물론 아니다. 아직 국내에서의 지명도는 기획사가 그룹의 입지를 평가하는 주된 기준 중 하나로 자리하며, 해외 팬덤에서도 국내 앨범 판매량, 음원 차트, 음악방송, 연말 시상식에서의 성적을 의식하고 있다. 다만 달라진 점은 4세대에 이르러 대륙과 국가의 경계에 일절 구애받지 않는 케이팝의 새로운 지평을 상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몬스타엑스, VAV, NCT, 카드와 같은 3.5세대 그룹들이 국내보다 해외에서 큰 인기를 구가하게 된 점, 2019년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신인 그룹으로 지목되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있지도 데뷔와 동시에 북미 데뷔 쇼케이스 투어를 돌며 해외 팬들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 점, 스트레이키즈, 에이티즈, 이달의소녀, 에버글로우와 같은 신생 그룹들이 국내보다 오히려 해외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는 점은 그 방증이라 볼 수 있다. SM의 웨이션브이(WayV, 중국), 슈퍼엠(SuperM, 미국), JYP의 보이스토리(중국), 니지 프로젝트(일본), 제니스미디어콘텐츠의 지스타즈(Z-Stars, 범-아시아 공략)와 같이 한국 회사의 주도로 해외에 본거지를 둔 실험적인 케이팝 그룹들이 출범한 것 역시 ‘케이팝의 재영토화’로 설명할 수 있겠다.

https://idology.kr/13070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5717577&dbt=DIKO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008695 일반 씹보지년마냥 걱정해주면서 내려치기 오지게 하네 ㅋㅋ ㅇㅇ(73.181) 22.11.08 23 0
2008693 일반 돌판에서 억까질은 민주당이 윤통 까는거에 비하면 약하지 ㅋㅋㅋ ㅇㅇ(112.154) 22.11.08 17 1
2008692 일반 일본 갈수록 일본내보다 한국성적이 중요해짐 ㅋㅋ압 엠스테 대우만봐도 [3] ㅇㅇ(118.235) 22.11.08 49 2
2008691 일반 아키 파워 때문에 릇 홍백 나간다 하지 않음 ?? [3] ㅇㅇ(118.235) 22.11.08 69 2
2008689 일반 압은 홍백출연이고 르세라핌은 홍백 출연 유력 이런 표현은 뭐냐? ㅋㅋ ㅇㅇ(112.154) 22.11.08 41 1
2008687 일반 릇, 압 홍백 출연 야후 트랜드 4, 8위 점령......ㅋ [5] 라그랑주(112.153) 22.11.08 165 1
2008684 일반 아이브는 일본에 거의 신경도 안썻는데 홍백에서 불러주노 [6] ㅇㅇ(112.154) 22.11.08 103 7
2008680 일반 켚이 홍백에 떨어진거 보면 역시 한국에서 성적이 중요한가보네 ㅇㅇ(112.154) 22.11.08 48 4
2008678 일반 압 홍백가는게 케이팝에는 오히려 악수임 [4] ㅇㅇ(175.196) 22.11.08 123 4
2008676 일반 대충 홍백 압욕받이 하게 냅두고 릇은 정정당당하게 입성하면됨 [5] ㅇㅇ(211.36) 22.11.08 60 2
2008674 일반 리즈가 홍백전까지 폼 되찾아야하는데 [1] ㅇㅇ(91.196) 22.11.08 71 2
2008672 일반 스키즈 돔입성하노 양갤아빠(106.102) 22.11.08 113 0
2008670 일반 아이브 이제 일본에서도 슈퍼스타구나 ㄷㄷ ㅇㅇ(112.154) 22.11.08 40 4
2008669 일반 좆본에서 욕은 압챵이 다 먹고 [2] ㅇㅇ(106.102) 22.11.08 71 2
2008667 일반 베트남은 홍백가합전 같은거 없냐? ㅇㅇ(112.154) 22.11.08 20 1
2008664 일반 하입보이가 앺라 언제부터 땄음 ???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66 2
2008663 일반 원영아 우리 쌈무도 데려가라 ㅋㅋ ㅇㅇ(175.223) 22.11.08 32 0
2008661 일반 아이브 잘나갈때 억까들 울면서 하는 반응들 ㅋㅋㅋ [1] ㅇㅇ(112.154) 22.11.08 45 2
2008660 일반 압 릇 손잡고 홍백 드가자 ㅋ ㅇㅇ(175.223) 22.11.08 20 0
2008657 일반 일본에서도 아이브 열풍이노 ㅋㅋ [4] ㅇㅇ(112.154) 22.11.08 86 3
2008655 일반 압은 머 홍백 그까이꺼 머 안나가도 그만아니냐 ㅇㅇ(175.223) 22.11.08 25 0
2008653 일반 압 홍백 나가도 욕 안먹는 이유 [3] ㅇㅇ(91.196) 22.11.08 120 6
2008652 일반 아이브퀴들 찍혔네 양갤아빠(106.102) 22.11.08 51 1
2008651 일반 커뮤로 정치배우려면 야갤이나 실베가 나은듯 ㅇㅇ(118.235) 22.11.08 11 0
2008650 일반 아이브와 장원영은 깔수록 잘나가노 ㅋ 이제 과학이노 ㅋㅋ ㅇㅇ(112.154) 22.11.08 37 4
2008648 일반 역바이럴 기사 뜨고 홍백 터져서 더 좆된 듯 ㅇㅇ(59.22) 22.11.08 36 0
2008647 일반 일본에서 압까는거 다 캐플러 빠는년들이자나 ㅇㅇ(223.38) 22.11.08 25 0
2008645 일반 일본에서 압 반응 좋은데? ㅇㅇ(118.235) 22.11.08 54 3
2008644 일반 야후 댓글 곧 3천개 되겠네 ㅇㅇ(106.101) 22.11.08 76 5
2008643 일반 akb갤 홍백 보이콧 결의 ㄷㄷㄷ본토팬들과 연대 ㅇㅇ(221.139) 22.11.08 44 0
2008639 일반 일뽕들 난리났노 [8] ㅇㅇ(223.38) 22.11.08 128 1
2008637 일반 압이 머 홍백? 그런거까지 나갈필요있냐? 그냥 릇이나 나가라해 ㅇㅇ(175.223) 22.11.08 20 0
2008631 일반 와씹 압은 모셔가는 느낌이다 ㄹㅇ ㅇㅇ(175.223) 22.11.08 24 0
2008629 일반 홍백이 중요한 이벤트임?? [6] ㅇㅇ(175.209) 22.11.08 70 0
2008626 일반 니뽄ㅅㄲ들 우리이브 우월한 기럭지에 럽다 들으면 ㅇㅇ(221.139) 22.11.08 31 1
2008624 일반 야후재팬 전문가로서 동향을 말해주자면 [3] ㅇㅇ(211.193) 22.11.08 100 3
2008621 일반 속보) 일본 트위터 트랜드 근황 [3] ㅇㅇ(58.142) 22.11.08 123 2
2008619 일반 하이브가 10억을 써서라도 릇 홍백 내보낼듯 [1] ㅇㅇ(91.196) 22.11.08 59 2
2008618 일반 하입보이 유지력을 보면 안무가 중요한듯. [2] ㅇㅇ(175.209) 22.11.08 88 0
2008614 일반 아이브 부러워 얄미워 열받아 너무화나 ㅜㅜ [1] ㅇㅇ(221.139) 22.11.08 48 3
2008613 일반 일본녀 2명이나 있는 릇을 홍백전에 출전시키긴 할거 같음 ㅇㅇ(112.154) 22.11.08 30 0
2008612 일반 그렇게 외치던 홍백 아이브가 나가네 ..... ㅇㅇ(118.235) 22.11.08 68 7
2008610 일반 개가 짖어도 기차는 지나간다 ㅇㅇ(91.196) 22.11.08 17 1
2008605 일반 릇퀴가 한말 뮤뱅1위 까여도 하는게좋다 결국기록 홍백도 [1] ㅇㅇ(118.235) 22.11.08 32 0
2008603 일반 애들아 우리믹스도 까든지 뭐든지 언급 좀 해줘 [1] ㅇㅇ(221.139) 22.11.08 28 0
2008600 일반 그저 지금 홍백까글은 패배자들의 ㅂㄷ거림일뿐 ㅋㅋ되려 잼남 ㅋㅋ ㅇㅇ(118.235) 22.11.08 18 0
2008598 일반 아이브 일본인 멤버도 없는데 1년만에 홍백입성은 [3] ㅇㅇ(221.139) 22.11.08 99 2
2008596 일반 내가 볼때는 니쥬 아이브 홍백 나갈듯 [5] ㅇㅇ(118.235) 22.11.08 100 0
2008595 일반 압퀴들아 질문 있어! ㅇㅇ(211.193) 22.11.08 46 0
2008594 일반 그래 계속 댓글이나 달아라 아이브가 계속 돌판 점령한다 ㅋㅋㅋ ㅇㅇ(112.154) 22.11.08 24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