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아이돌들 왜 세대구분 하는지도 모르는 멍청한 방구석 ㅈ문가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11 14:16:36
조회 166 추천 0 댓글 0

지금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

아이돌 세대 구분에 대해서는 분분한 의견이 존재한다. 애초에 합의를 이룰 만큼 많은 의견이 나오거나 활발한 공론장이 형성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세대의 아이돌이 출현할 때마다 세대론에 관한 기사가 종종 나오기는 했으나, 대개 개별 시대를 산발적으로 조명하는 데에 그칠 뿐 세대론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로 이어지진 못했으며, 특히 3세대 이후로는 논의가 더욱 미진한 실정이다.

사실 우리는 이미 직관적으로 세대를 일정 수준 구분하고 있다. 1세대는 H.O.T., 젝스키스, S.E.S., 핑클, 2세대는 동방신기, SS501, 슈퍼주니어, 빅뱅,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3세대는 엑소, 방탄소년단, 레드벨벳, 트와이스 등으로 통상적인 구분을 짓고 있다. 3세대 아이돌의 커리어가 상한을 유지한지도 수 년째인 고로 작년부터는 4세대 아이돌에 대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그 구분 기준은 과연 무엇인가? 단순히 시장 순환 주기에 따른 시대별 히트 그룹이나 제작 레이블의 차이인가? 계약 만료와 ‘군백기’에 묶인 판도 변화일 뿐인가?

지금 새삼스럽게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시대별 아이돌을 나누어보는 프레임을 넘어 케이팝의 역사를 꿰어보는 유용한 축으로서의 세대론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 이 글에서는 케이팝의 주도권이 점점 해외로 넘어가는 일련의 패러다임 전환 과정으로 세대론을 조망하며, 국내외로 케이팝이 구성 및 재구성 되어온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아이돌 시장의 새로운 세대가 도래한 상황에,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례없는 시장 위기를 맞이한 시점에서 이 글이 케이팝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논의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1세대: 케이팝 아이돌의 탄생

H.O.T.
S.E.S.S.E.S.

1세대는 SM 기획(현 SM 엔터테인먼트)이 미국의 보이밴드와 일본의 아이돌 프로덕션에서 착안하고 서태지와 아이들을 참조하여 내놓은 최초의 케이팝 아이돌 H.O.T.를 시작으로 SM 기획과 대성기획(현 DSP 미디어)의 경쟁구도 하에 탄생한 초기 아이돌 그룹들(H.O.T., 젝스키스, S.E.S., 핑클 등)로 대표된다.

신화, 클릭비, god, 샤크라, 쥬얼리, 보아 등은 2세대로의 이행 이전 과도기적, 실험적 특징을 지닌 1.5세대 아이돌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한국 아이돌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한류’ 개념이 대두되고, 일부 일본 언론에서는 ‘케이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다.

2세대: 케이팝 산업구조의 정착 – 케이팝의 고도 상업화와 해외 진출 본격화

동방신기동방신기
소녀시대소녀시대

2세대는 경제 위기 가운데 케이팝이 고도로 상업화되며 현재와 같은 산업구조가 정착되고, 국내시장의 위축에 따라 ‘현지화’ 전략을 표방하며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시작한 시기다. 보아의 성공 모델에 근거한 동방신기를 비롯하여 그 뒤를 이은 SS501,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등이 이 2세대에 해당한다. 이때부터 케이팝의 양적 성장이 가속화되었고, 샤이니, 2PM, 인피니트, 비스트, f(x), 2NE1, 포미닛, 미쓰에이, 씨스타 등 2.5세대 아이돌이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게 된다.

2세대부터의 아이돌은 국내에서는 기존의 신비주의 전략을 탈피하고 친밀한 이미지를 내세워 각종 예능과 드라마에 출연하고 자체제작 리얼리티 쇼를 런칭하는 등 음악 분야를 넘어선 만능 엔터테이너로 자리하는 가운데, 해외에도 본격 진출하며 인기를 얻는다. 이 중 특히 슈퍼주니어는 중화권에서, 소녀시대와 카라는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둔다. 지금은 일반화 된 ‘월드 투어’ 또한 이 세대부터 국내외 대형 팬덤을 구축한 그룹을 위시하여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빅뱅빅뱅
2NE12NE1
싸이싸이

비, 세븐, 보아, 원더걸스 등 일부 아티스트들은 대륙의 권역을 넘어 미국 진출을 시도하기도 한다. 비록 이들은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는 데에 실패했으나, 2010년대 초반 유튜브와 해외 디지털 음악시장의 성장으로 빅뱅, 2NE1 등이 북미에서 주목을 끌기 시작한다. 그리고 2012년 등장한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유튜브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열풍을 불러일으키며 산업 내외로 큰 충격을 안긴다.

3세대: 케이팝의 탈영토화

엑소

이러한 맥락 가운데 탄생한 3세대는 ‘케이팝의 탈영토화’가 본격화된 세대로 정리해볼 수 있다. 굴지의 소속사들은 대개 국내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뒤 일본에서 ‘현지화’된 음악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던 기존의 전략에서 벗어나 유튜브로 대표되는 초국적 디지털 플랫폼을 주축으로 국내외 동시성장을 꾀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국경의 속박에서 벗어난 콘텐츠를 추구한 것이다.

각종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비롯 지속적이고 탄탄한 팬덤을 확보하기 위한 프리-데뷔 프로모션과 ‘세계관’을 앞세운 스토리텔링 전략이 보편화된 것도 이 시기이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케이팝의 질적 향상 역시 2.5세대를 거쳐 3세대 때 폭발적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대표적인 3세대 아이돌로는 독특한 초능력 세계관을 주창하며 엑소-K와 엑소-M으로 한중 동시데뷔를 했던 엑소가 꼽히며, 뉴이스트, 빅스, 방탄소년단, 갓세븐, 위너, 레드벨벳, 마마무, 트와이스, 러블리즈, 오마이걸, 여자친구 등 역시 3세대에 해당한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YG 엔터테인먼트

2016년 한한령 발발로 2, 3세대 아이돌의 주 무대였던 중화권 시장이 봉쇄되며 케이팝 산업은 큰 타격을 입는다. 그 가운데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낸 팀들이 바로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다. 방탄소년단은 일찍이 트위터와 네이버 V를 비롯한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일상적인 소통을 시도하고 또 그러한 일상성을 작업물에 녹여내며 대륙과 국적을 불문한 다양한 해외 팬들을 끌어모았고, 2017년 빌보드뮤직어워드(BBMA) 수상을 시작으로 북미 시장에서 기록적인 성과를 거둔다. 블랙핑크도 북미에서의 초기 케이팝 인기를 견인했던 YG 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답게 유튜브를 중심으로 북미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한다. 이외에도 카드, 드림캐쳐 등 유튜브와 뉴미디어를 통해 기존 케이팝 진출 경로를 벗어난 곳에서 더 큰 호응을 얻는 사례들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프로듀스 101프로듀스 101
프로듀스 101 시즌 2프로듀스 101 시즌 2

반면 국내에서는 2016년 팬덤에게 아이돌 그룹의 제작의 주도권을 쥐어준 <프로듀스> 시리즈가 반향을 일으킨다. 이 주도권은 끝내 환상에 불과하다는 점이 드러났음에도, <프로듀스> 시리즈는 케이팝 산업에 팬덤 파워를 전례없이 각인시키며 ‘프로슈머(프로듀서+컨슈머)’ 담론을 형성한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팬덤의 목소리가 전에 없이 커진 것이다.

세븐틴, 몬스타엑스, NCT, 워너원, 블랙핑크, 우주소녀, I.O.I, 카드 등은 이와 같은 케이팝 산업구조의 지각변동을 겪어내며 성장한 그룹들로서 3.5세대 아이돌로 구분할 수 있다.

4세대: 케이팝의 재영토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JYP 엔터테인먼트

이러한 격변기를 거쳐 2019년을 전후로 새로운 세대의 조류가 분명하게 감지되기 시작했다. 3세대가 케이팝의 국경을 허무는 ‘케이팝의 탈영토화’ 시기였다면 4세대는 완전히 평평해진 지대 위에서 다시 새로운 영역을 형성해가는 ‘케이팝의 재영토화’ 시기로 정리해볼 수 있다. 케이팝은 미대륙 시장의 장벽까지 넘어서며 완연한 탈영토화를 이뤄냈고, 케이팝의 주도권은 더이상 한국에 귀속되지 않는다. 국내 시장이 완전히 등한시되고 있다는 뜻은 물론 아니다. 아직 국내에서의 지명도는 기획사가 그룹의 입지를 평가하는 주된 기준 중 하나로 자리하며, 해외 팬덤에서도 국내 앨범 판매량, 음원 차트, 음악방송, 연말 시상식에서의 성적을 의식하고 있다. 다만 달라진 점은 4세대에 이르러 대륙과 국가의 경계에 일절 구애받지 않는 케이팝의 새로운 지평을 상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몬스타엑스, VAV, NCT, 카드와 같은 3.5세대 그룹들이 국내보다 해외에서 큰 인기를 구가하게 된 점, 2019년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신인 그룹으로 지목되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있지도 데뷔와 동시에 북미 데뷔 쇼케이스 투어를 돌며 해외 팬들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 점, 스트레이키즈, 에이티즈, 이달의소녀, 에버글로우와 같은 신생 그룹들이 국내보다 오히려 해외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는 점은 그 방증이라 볼 수 있다. SM의 웨이션브이(WayV, 중국), 슈퍼엠(SuperM, 미국), JYP의 보이스토리(중국), 니지 프로젝트(일본), 제니스미디어콘텐츠의 지스타즈(Z-Stars, 범-아시아 공략)와 같이 한국 회사의 주도로 해외에 본거지를 둔 실험적인 케이팝 그룹들이 출범한 것 역시 ‘케이팝의 재영토화’로 설명할 수 있겠다.

https://idology.kr/13070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5717577&dbt=DIKO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016998 일반 근데 릇퀴 1군호소인은 왜하는거야? 진심궁금 ㅇㅇ ㅇㅇ(118.235) 22.11.13 20 0
2016997 일반 모든 걸그룹퀴들은 릇이랑"동발"하고싶다 ㅇㅇ(223.38) 22.11.13 26 1
2016996 일반 들은 매우 훌륭한 그룹 ㅇㅇ(211.51) 22.11.13 26 1
2016995 일반 거기까지 가서도 직업은 숨길 수가 없군ㅠㅠ 콜걸이 딱 맞는 직업이군 어 ㅇㅇ(210.91) 22.11.13 10 0
2016994 일반 음방못먹은게 그리 화날일인가 ㅋㅋㅋ [1] ㅇㅇ(139.99) 22.11.13 33 0
2016993 일반 압퀴들 존나 불쌍한게 들까지 대딸해야함 ㅋㅋ ㅇㅇ(125.184) 22.11.13 12 0
2016992 일반 둥발 맛집 릇이 될듯 ㅌㅌㅌ ㅇㅇ(118.235) 22.11.13 11 0
2016991 일반 싼티 끝판왕 ㅇㅇ(86.48) 22.11.13 41 0
2016990 일반 들한테 질수도 있지 압퀴새끼들 오지게 내려치네 ㅇㅇ(223.39) 22.11.13 38 0
2016989 일반 들 개부럽네 담에 압도 릇이랑 동발하고싶다야 ㅇㅇ(118.235) 22.11.13 17 0
2016988 일반 희망은 이재명 밖에 없다... 윤돼지와 국짐넘들은 매일매일 하나같이 천 ㅇㅇ(210.91) 22.11.13 12 0
2016987 일반 들이랑 동발아니어도 윤하한테 개쳐발리는데 ㅇㅇ(223.38) 22.11.13 34 0
2016985 일반 2017년 이태원 할로윈 로드캠 유튜브에 확인 하쇼. 20만명 이상 ㅇㅇ(210.91) 22.11.13 13 0
2016984 일반 릇퀴들 1위못하고 ㅂㄷ대는거 개웃끼네 그러니 투표좀쳐하지 ㅇㅇ(118.235) 22.11.13 15 0
2016982 일반 화천대유 50억클럽 ㅡ박영수검사 와 친척 (150억) 권순일대법관, 김 ㅇㅇ(210.91) 22.11.13 123 0
2016981 일반 압퀴들이 말하던 장원영 인기도 거품 ㅋㅋㅋㅋㅋ ㅇㅇ(121.153) 22.11.13 30 0
2016980 일반 누드가 느그보다 훨 좋아 릇창퀴야 ㅇㅇ(175.206) 22.11.13 23 2
2016979 일반 이 참사의 가장큰 문제는 피해자들을 목소리를 철저히 막았다는데 있다. 그 ㅇㅇ(210.91) 22.11.13 11 0
2016978 일반 광고0이 젤웃낌 ㅋㅋㅋㅋㅋㅋㅋ자칭 그 핫한그륩 ㅇㅇ(118.235) 22.11.13 24 0
2016977 일반 이태원 참사의 몸통은 윤석열이다 ㅇㅇ(210.91) 22.11.13 15 0
2016976 일반 팩트) 조선족 압퀴 바이럴들 릇들 이간질로 전략바뀜 [1] ㅇㅇ(121.153) 22.11.13 16 0
2016975 일반 들퀴 개부럽다 룻보신탕 꺼억 했네 ㅋㅋㅋㅋ ㅇㅇ(118.235) 22.11.13 27 0
2016974 일반 노부라자 = 흐엉 ㅇㅇ(39.7) 22.11.13 21 1
2016973 일반 누드가 반응이 터진노래였나? ㅋㅋㅋ ㅇㅇ(211.36) 22.11.13 35 0
2016972 일반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틀어막고 국화꽃더미에 가서 절 몇번 하면 넘어갈 수 ㅇㅇ(210.91) 22.11.13 9 0
2016970 일반 릇퀴들 좀만까여도 발작이 너무 심하노 ㅋㅋㅋ [2] ㅇㅇ(51.89) 22.11.13 34 1
2016968 일반 뱅블에 지는건 2군이고 들에지는건 1군인데 그럴수있지 ㅅㅂ ㅋㅋ ㅇㅇ(118.235) 22.11.13 21 0
2016966 일반 들은 릇하고 동발해서 활동내내 몸보신하네 ㅇㅇ(106.101) 22.11.13 21 0
2016965 일반 응 주작한 아이브 ㅋㅋㅋㅋㅋㅋㅋ ㅇㅇ(121.153) 22.11.13 24 1
2016964 일반 있지 북미투어 기록을 기준삼아서 비교해라.. ㅇㅇ(211.49) 22.11.13 128 4
2016963 일반 릇 대진운이 존나 없다니까 이번에 들 누드가 존나게 터져서 그렇지 ㅇㅇ(115.23) 22.11.13 43 0
2016962 일반 이재명 “‘이태원 참사’ 관련 공직자 사망 비극, 정부가 대책 마련 나서 ㅇㅇ(210.91) 22.11.13 16 0
2016961 일반 인가 비율보니까 sns가 너무높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3 32 0
2016960 일반 릇퀴인거 떠나서 울 애들 존나 이쁘긴하네 ㅔㅔㅔ(118.235) 22.11.13 17 2
2016959 일반 릇 인기 좆치질 할래도 들이 계속 짓누르니까 어디가서 말도 못꺼냄 ㅋㅋ [1] ㅇㅇ(211.36) 22.11.13 26 1
2016958 일반 인기가요 점수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223.38) 22.11.13 70 1
2016957 일반 일간이라도 먹고 제발좀 나대자 ㅋㅋㅋ ㅇㅇ(118.235) 22.11.13 12 0
2016956 일반 팩트) 압은 역바이럴 주작때문에 망할 그룹 ㅇㅇ(121.153) 22.11.13 22 0
2016955 일반 릇퀴들은 깊갤 살아있었으면 개쳐맞았다 [1] ㅇㅇ(223.38) 22.11.13 28 4
2016954 일반 마마도인정한 들압늇 릇엔켚 ㅇㅇ ㅇㅇ(118.235) 22.11.13 24 0
2016953 일반 들이 릇 상대로 개장수 역할을 하는구나 ㅋㅋㅋ ㅇㅇ(211.36) 22.11.13 21 0
2016952 일반 그래서 압퀴들아 역바이럴한거는? ㅇㅇ(121.153) 22.11.13 15 0
2016951 일반 릇창퀴할배들아 유입 많다며? ㅇㅇ(175.206) 22.11.13 20 0
2016950 일반 압들늊 / 릇엔캪 빌윜씃 외우자 [1] ㅇㅇ(106.102) 22.11.13 24 0
2016949 일반 일간 주간 월간 1도없고 공중파3번 광고0 근데 1군해줘 ㅇㅇ(118.235) 22.11.13 21 0
2016948 일반 릇은 유독 빠와 까가 동시에 많은 느낌이야 ㅇㅇ(115.23) 22.11.13 14 0
2016947 일반 압퀴들이 인정받으려면 저새끼없애야함 61.255 ㅋㅋ [1] ㅇㅇ(125.184) 22.11.13 17 0
2016945 일반 압퀴야 느그도 1군 아니라니깐 역바이럴 걸렸잖음 ㅇㅇ(121.153) 22.11.13 14 0
2016944 일반 개똥같은 노래갖고 1위를 어케 하노 ㅇㅇ(118.235) 22.11.13 12 0
2016943 일반 팩트)잔존 압퀴 조선족들 여기가 최후의 보루 ㅇㅇ(121.153) 22.11.13 1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