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아이돌들 왜 세대구분 하는지도 모르는 멍청한 방구석 ㅈ문가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11 14:16:36
조회 162 추천 0 댓글 0

지금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

아이돌 세대 구분에 대해서는 분분한 의견이 존재한다. 애초에 합의를 이룰 만큼 많은 의견이 나오거나 활발한 공론장이 형성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세대의 아이돌이 출현할 때마다 세대론에 관한 기사가 종종 나오기는 했으나, 대개 개별 시대를 산발적으로 조명하는 데에 그칠 뿐 세대론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로 이어지진 못했으며, 특히 3세대 이후로는 논의가 더욱 미진한 실정이다.

사실 우리는 이미 직관적으로 세대를 일정 수준 구분하고 있다. 1세대는 H.O.T., 젝스키스, S.E.S., 핑클, 2세대는 동방신기, SS501, 슈퍼주니어, 빅뱅,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3세대는 엑소, 방탄소년단, 레드벨벳, 트와이스 등으로 통상적인 구분을 짓고 있다. 3세대 아이돌의 커리어가 상한을 유지한지도 수 년째인 고로 작년부터는 4세대 아이돌에 대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그 구분 기준은 과연 무엇인가? 단순히 시장 순환 주기에 따른 시대별 히트 그룹이나 제작 레이블의 차이인가? 계약 만료와 ‘군백기’에 묶인 판도 변화일 뿐인가?

지금 새삼스럽게 세대론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시대별 아이돌을 나누어보는 프레임을 넘어 케이팝의 역사를 꿰어보는 유용한 축으로서의 세대론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 이 글에서는 케이팝의 주도권이 점점 해외로 넘어가는 일련의 패러다임 전환 과정으로 세대론을 조망하며, 국내외로 케이팝이 구성 및 재구성 되어온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아이돌 시장의 새로운 세대가 도래한 상황에,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례없는 시장 위기를 맞이한 시점에서 이 글이 케이팝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논의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1세대: 케이팝 아이돌의 탄생

H.O.T.
S.E.S.S.E.S.

1세대는 SM 기획(현 SM 엔터테인먼트)이 미국의 보이밴드와 일본의 아이돌 프로덕션에서 착안하고 서태지와 아이들을 참조하여 내놓은 최초의 케이팝 아이돌 H.O.T.를 시작으로 SM 기획과 대성기획(현 DSP 미디어)의 경쟁구도 하에 탄생한 초기 아이돌 그룹들(H.O.T., 젝스키스, S.E.S., 핑클 등)로 대표된다.

신화, 클릭비, god, 샤크라, 쥬얼리, 보아 등은 2세대로의 이행 이전 과도기적, 실험적 특징을 지닌 1.5세대 아이돌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한국 아이돌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한류’ 개념이 대두되고, 일부 일본 언론에서는 ‘케이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다.

2세대: 케이팝 산업구조의 정착 – 케이팝의 고도 상업화와 해외 진출 본격화

동방신기동방신기
소녀시대소녀시대

2세대는 경제 위기 가운데 케이팝이 고도로 상업화되며 현재와 같은 산업구조가 정착되고, 국내시장의 위축에 따라 ‘현지화’ 전략을 표방하며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시작한 시기다. 보아의 성공 모델에 근거한 동방신기를 비롯하여 그 뒤를 이은 SS501,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등이 이 2세대에 해당한다. 이때부터 케이팝의 양적 성장이 가속화되었고, 샤이니, 2PM, 인피니트, 비스트, f(x), 2NE1, 포미닛, 미쓰에이, 씨스타 등 2.5세대 아이돌이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게 된다.

2세대부터의 아이돌은 국내에서는 기존의 신비주의 전략을 탈피하고 친밀한 이미지를 내세워 각종 예능과 드라마에 출연하고 자체제작 리얼리티 쇼를 런칭하는 등 음악 분야를 넘어선 만능 엔터테이너로 자리하는 가운데, 해외에도 본격 진출하며 인기를 얻는다. 이 중 특히 슈퍼주니어는 중화권에서, 소녀시대와 카라는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둔다. 지금은 일반화 된 ‘월드 투어’ 또한 이 세대부터 국내외 대형 팬덤을 구축한 그룹을 위시하여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빅뱅빅뱅
2NE12NE1
싸이싸이

비, 세븐, 보아, 원더걸스 등 일부 아티스트들은 대륙의 권역을 넘어 미국 진출을 시도하기도 한다. 비록 이들은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는 데에 실패했으나, 2010년대 초반 유튜브와 해외 디지털 음악시장의 성장으로 빅뱅, 2NE1 등이 북미에서 주목을 끌기 시작한다. 그리고 2012년 등장한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유튜브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열풍을 불러일으키며 산업 내외로 큰 충격을 안긴다.

3세대: 케이팝의 탈영토화

엑소

이러한 맥락 가운데 탄생한 3세대는 ‘케이팝의 탈영토화’가 본격화된 세대로 정리해볼 수 있다. 굴지의 소속사들은 대개 국내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뒤 일본에서 ‘현지화’된 음악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던 기존의 전략에서 벗어나 유튜브로 대표되는 초국적 디지털 플랫폼을 주축으로 국내외 동시성장을 꾀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국경의 속박에서 벗어난 콘텐츠를 추구한 것이다.

각종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비롯 지속적이고 탄탄한 팬덤을 확보하기 위한 프리-데뷔 프로모션과 ‘세계관’을 앞세운 스토리텔링 전략이 보편화된 것도 이 시기이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케이팝의 질적 향상 역시 2.5세대를 거쳐 3세대 때 폭발적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대표적인 3세대 아이돌로는 독특한 초능력 세계관을 주창하며 엑소-K와 엑소-M으로 한중 동시데뷔를 했던 엑소가 꼽히며, 뉴이스트, 빅스, 방탄소년단, 갓세븐, 위너, 레드벨벳, 마마무, 트와이스, 러블리즈, 오마이걸, 여자친구 등 역시 3세대에 해당한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YG 엔터테인먼트

2016년 한한령 발발로 2, 3세대 아이돌의 주 무대였던 중화권 시장이 봉쇄되며 케이팝 산업은 큰 타격을 입는다. 그 가운데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낸 팀들이 바로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다. 방탄소년단은 일찍이 트위터와 네이버 V를 비롯한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일상적인 소통을 시도하고 또 그러한 일상성을 작업물에 녹여내며 대륙과 국적을 불문한 다양한 해외 팬들을 끌어모았고, 2017년 빌보드뮤직어워드(BBMA) 수상을 시작으로 북미 시장에서 기록적인 성과를 거둔다. 블랙핑크도 북미에서의 초기 케이팝 인기를 견인했던 YG 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답게 유튜브를 중심으로 북미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한다. 이외에도 카드, 드림캐쳐 등 유튜브와 뉴미디어를 통해 기존 케이팝 진출 경로를 벗어난 곳에서 더 큰 호응을 얻는 사례들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프로듀스 101프로듀스 101
프로듀스 101 시즌 2프로듀스 101 시즌 2

반면 국내에서는 2016년 팬덤에게 아이돌 그룹의 제작의 주도권을 쥐어준 <프로듀스> 시리즈가 반향을 일으킨다. 이 주도권은 끝내 환상에 불과하다는 점이 드러났음에도, <프로듀스> 시리즈는 케이팝 산업에 팬덤 파워를 전례없이 각인시키며 ‘프로슈머(프로듀서+컨슈머)’ 담론을 형성한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팬덤의 목소리가 전에 없이 커진 것이다.

세븐틴, 몬스타엑스, NCT, 워너원, 블랙핑크, 우주소녀, I.O.I, 카드 등은 이와 같은 케이팝 산업구조의 지각변동을 겪어내며 성장한 그룹들로서 3.5세대 아이돌로 구분할 수 있다.

4세대: 케이팝의 재영토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JYP 엔터테인먼트

이러한 격변기를 거쳐 2019년을 전후로 새로운 세대의 조류가 분명하게 감지되기 시작했다. 3세대가 케이팝의 국경을 허무는 ‘케이팝의 탈영토화’ 시기였다면 4세대는 완전히 평평해진 지대 위에서 다시 새로운 영역을 형성해가는 ‘케이팝의 재영토화’ 시기로 정리해볼 수 있다. 케이팝은 미대륙 시장의 장벽까지 넘어서며 완연한 탈영토화를 이뤄냈고, 케이팝의 주도권은 더이상 한국에 귀속되지 않는다. 국내 시장이 완전히 등한시되고 있다는 뜻은 물론 아니다. 아직 국내에서의 지명도는 기획사가 그룹의 입지를 평가하는 주된 기준 중 하나로 자리하며, 해외 팬덤에서도 국내 앨범 판매량, 음원 차트, 음악방송, 연말 시상식에서의 성적을 의식하고 있다. 다만 달라진 점은 4세대에 이르러 대륙과 국가의 경계에 일절 구애받지 않는 케이팝의 새로운 지평을 상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몬스타엑스, VAV, NCT, 카드와 같은 3.5세대 그룹들이 국내보다 해외에서 큰 인기를 구가하게 된 점, 2019년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신인 그룹으로 지목되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있지도 데뷔와 동시에 북미 데뷔 쇼케이스 투어를 돌며 해외 팬들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 점, 스트레이키즈, 에이티즈, 이달의소녀, 에버글로우와 같은 신생 그룹들이 국내보다 오히려 해외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는 점은 그 방증이라 볼 수 있다. SM의 웨이션브이(WayV, 중국), 슈퍼엠(SuperM, 미국), JYP의 보이스토리(중국), 니지 프로젝트(일본), 제니스미디어콘텐츠의 지스타즈(Z-Stars, 범-아시아 공략)와 같이 한국 회사의 주도로 해외에 본거지를 둔 실험적인 케이팝 그룹들이 출범한 것 역시 ‘케이팝의 재영토화’로 설명할 수 있겠다.

https://idology.kr/13070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5717577&dbt=DIKO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010188 일반 케이팝 아류 수준 제이팝 주제에 존나 건방지긴 하네 ㅋㅋ ㅇㅇ(183.96) 22.11.08 33 0
2010187 일반 난 쪽바리가 아니다. 키요에(39.114) 22.11.08 11 0
2010186 일반 장원영 수능 안보는게 뉴스에 나오네 ㅋㅋ ㅇㅇ(211.250) 22.11.08 87 4
2010184 일반 [공지] 케플러에서 여러가지 시도하는 이유.. [4] 키요에(39.114) 22.11.08 83 1
2010183 일반 아이브를 이길수 있는 방법 ㅇㅇ(211.250) 22.11.08 74 8
2010181 일반 압 요즘 여기저기서 쳐맞더니 이제는 [1] ㅇㅇ(119.192) 22.11.08 62 3
2010179 일반 퇴임한 문쟁인 개 양육 비용을 세금으로 대줘야하나? ㅇㅇ(211.250) 22.11.08 23 2
2010177 일반 아이부가 K팝 가수중 앱뮤재팬 주간 1위한 최초 걸그룹임 [1] ㅇㅇ(125.182) 22.11.08 55 4
2010176 일반 압릇대전 거르고 쪽바리들 주제 모르는거 같으면 개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35 1
2010174 일반 아이브는 활동후에도 음반이 꾸준히 계속 잘팔리노 ㅇㅇ(211.250) 22.11.08 44 3
2010172 일반 민주당 발작버튼 ㅇㅇ(211.250) 22.11.08 35 2
2010171 일반 홍백야후뉴스 [2] ㅇㅇ(14.42) 22.11.08 107 1
2010169 일반 민주당 입갤 ㅇㅇ(211.250) 22.11.08 10 0
2010167 일반 마시로 너무 이쁘거 같아 ㅇㅇ(118.235) 22.11.08 36 0
2010165 일반 장원영 2022년 올해의 파워피플 ㄷㄷ [1] ㅇㅇ(211.250) 22.11.08 80 7
2010161 일반 메이저신문에서 대문짝만하게 털리고 초통령 이지랄... Arginine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32 1
2010159 일반 원영이는 나이 역주행이노 [1] ㅇㅇ(211.250) 22.11.08 66 6
2010157 일반 창퀴들 양심도 없노 ㅔㅔㅔ(118.235) 22.11.08 26 1
2010156 일반 남초 여초 전부 배척당하고 바이럴털리자 초통령 [1] Arginine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37 2
2010151 일반 여자아이돌 신인상은 뉴진스가 받아야 맞다고 본다 [17] ㅇㅇ(116.45) 22.11.08 140 3
2010149 일반 원영이 오늘 미쳤다 ㄷㄷ [2] ㅇㅇ(183.96) 22.11.08 147 14
2010148 일반 장원영 초통령에서 대통령까지 ㅇㅇ(211.250) 22.11.08 41 3
2010144 일반 장원영 일거수 일투족 모든 언론사 뉴스 기사 ㅇㅇ(211.250) 22.11.08 44 3
2010141 일반 압 홍백 일본 반응 봤더니 실제로 [2] ㅇㅇ(119.192) 22.11.08 202 6
2010139 일반 갓기 미모 미춌다ㄷㄷㄷㄷ [6] ㅇㅇ(211.244) 22.11.08 121 12
2010136 일반 김세정도 장원영 바이럴이노 ㅇㅇ(211.250) 22.11.08 72 2
2010134 일반 올해 성적대로 공정하게 상을 주면 아이브가 다 휩쓸지 ㅋ [3] ㅇㅇ(211.250) 22.11.08 63 7
2010129 일반 켚 vs 앞 오리콘 3주차 [5] ㅇㅇ(175.223) 22.11.08 190 12
2010127 일반 이제 시작인데 늊퀴들 벌써 발작하면어캄 [1] ㅇㅇ(123.141) 22.11.08 40 2
2010125 일반 일본놈들이 노래 존나 잘 만듬.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41 0
2010122 일반 예수님도 장원영 바이럴이노 [1] ㅇㅇ(211.250) 22.11.08 37 2
2010121 일반 아이부 홍백나온다고 니칸스포츠 종이신문 뜸......... ㅇㅇ(125.182) 22.11.08 61 1
2010119 일반 민주당 발작버튼 ㅇㅇ(211.250) 22.11.08 32 1
2010117 일반 지니 신인상 아이브 혼자 받았노 [4] ㅇㅇ(223.38) 22.11.08 132 5
2010115 일반 안티프래절 빌보드200 2주연속 진입 유지 ㅇㅇ(115.86) 22.11.08 61 4
2010113 일반 클라씨가 잘 안뜨는 이유는 [2] 아보카도(122.36) 22.11.08 137 0
2010110 일반 인지웅도 장원영 바이럴이노 ㅇㅇ(211.250) 22.11.08 71 4
2010108 일반 똠개들은 왜 똠핑망한거 인정안하냐? [1] ㅇㅇ(138.199) 22.11.08 40 5
2010106 일반 신인상 꺼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억 ㅇㅇ(223.39) 22.11.08 25 3
2010104 일반 나훈아도 장원영 바이럴이노 ㅇㅇ(211.250) 22.11.08 38 3
2010100 일반 일본 실시간 트렌드 아이브 대박이노 ㅇㅇ(211.250) 22.11.08 138 7
2010098 일반 이 그림자 누구냐? [2] ㅇㅇ(175.223) 22.11.08 40 4
2010096 일반 박명수도 장원영 바이럴이노 [2] ㅇㅇ(211.250) 22.11.08 90 6
2010095 일반 이서 웰케 큼 ㅇㅇ(58.140) 22.11.08 52 0
2010094 일반 난 음악 일본에서 배운건 후회가 없어;; [1] 키요에(39.114) 22.11.08 26 0
2010092 일반 케이콘 나오는 일본그룹들 ㅇㅇ(101.235) 22.11.08 36 0
2010090 일반 장원영 광고 >> 타 걸그룹 애들 광고 총합 [2] ㅇㅇ(211.250) 22.11.08 63 4
2010089 일반 음악하고, 이키모노가카리 활동하고, 그런거로 쪽바리라고 하면 키요에(39.114) 22.11.08 24 0
2010087 일반 그나저나 신인상 아이브 혼자받았네 ㅋㅋㅋ [4] ㅇㅇ(125.184) 22.11.08 164 9
2010084 일반 장원영 깔때 쓰는 사진이 레전드인 이유 ㅇㅇ(141.239) 22.11.08 61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