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건희 전 회장도 “이 차는 절대 안판다”며 아꼈던 차, 알고보니 전세계 8대 존재하는 녀석이었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3.30 10:15:45
조회 5541 추천 14 댓글 20
														

마이바흐가 만든 특별한 차
단 8대밖에 없는 62S 랜덜렛
이건희 회장도 소유했던 차




현재 마이바흐는 벤츠의 서브 브랜드로 남아있지만 원래 마이바흐는 롤스로이스, 벤틀리와 함께 세계 3대 명차로 불리던 브랜드였다. 2002년 60년 만에 다시 부활한 후에는 최신 기술과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적용해 주목을 얻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익성이 적었던 데다 브랜드 차별화에 실패했고, 상품성 개선도 거의 없었던 탓에 럭셔리카 시장에서 외면을 받아 결국 단종 후 벤츠의 서브 브랜드로 편입된 것이다.

당시 마이바흐가 생산하던 차량 중에서는 특별한 모델이 하나 있다. 바로 62S 랜덜렛이다. B필러 뒤쪽 루프를 소프트톱으로 오픈 가능한 모델이며, 전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모델이다. 국내에서는 이건희 회장이 소유했던 차로 유명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마이바흐 62S 랜덜렛과 그 베이스가 된 마이바흐 57, 62에 대해 살펴보자.

글 이진웅 에디터






S클래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57, 62


마이바흐 렌덜렛은 62S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먼저 베이스가 된 마이바흐 57, 62에 대해 살펴보자. 57과 62는 2002년 브랜드 부활과 함께 내놓은 차량이다. 여기서 57과 62는 전장이 각각 5.7m, 6.2m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62가 더 상위 모델이며, 57은 오너 드리븐 성격이 강하며, 62는 쇼퍼 드리븐 성격이 강하다. 롤스로이스로 치면 57은 고스트, 62는 팬텀이라고 보면 된다.

당시 계열사인 벤츠에서 시판 중이었던 W220 S클래스 플랫폼을 활용했다. 전면은 그릴 크기를 키우고 럭셔리함을 강조하는 세로 패턴으로 변경하고 헤드램프의 전체적인 크기도 키웠다. 후면은 기본적으로 세로형 테일램프가 적용되어 있으며, 트렁크 아래쪽을 따라 양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다.



전체적으로 보면 W221 S클래스와 유사한 부분이 많아 보이는데, 실제로 W221 S클래스가 이 마이바흐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되었다. 그런 탓에 S클래스와 마이바흐를 차별화하는데 실패했다는 비판이 많다.

실내 디자인도 W220 S클래스와 그다지 큰 차이점은 없다. 특히 1열을 살펴보면 버튼 배치만 바꾸고 우드 사용 범위를 늘렸을 뿐 전체적인 모습은 거의 동일하다. 심지어 계기판과 스티어링 휠은 디자인이 아예 똑같다.


럭셔리카답게
뒷좌석에 집중한 모습


사실 럭셔리카의 핵심은 앞 좌석보다 뒷좌석이다. 차체 길이가 워낙 길다 보니 휠베이스도 매우 긴데, 이 휠베이스를 뒷좌석 공간에 할당해 레그룸이 상당히 넓다. 거기다가 뒷좌석은 좌우가 분리된 VIP 시트가 적용되어 있다.

이 시트는 포지션을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다. 62 모델의 경우 종아리 받침대까지 존재한다. 시트 사이에 센터 콘솔이 존재하지만 중간에 틈이 있어 필요에 따라 좌우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기본 모델은 벤츠의 V12 엔진
S와 제플린은 AMG V12 엔진


57과 62 모두 기본 모델은 벤츠의 5.5리터 V12 트윈터보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으며, 550마력 91.8kg.m의 성능을 발휘했다. 변속기는 5단 자동변속기이다.

상위 모델인 S는 AMG의 6.0리터 V12 엔진을 탑재해 612마력, 102.0kg.m을 발휘하며, 제플린 모델은 S와 동일한 엔진을 장착하고 출력을 630마력으로 높였다. 변속기는 모두 5단 자동변속기로 동일하다.


다양한 옵션 및
조합이 가능하다


호화 럭셔리 카인만큼 수작업으로 생산되며, 선택지는 매우 다양하다. 기본적으로 준비된 가죽만 200종류, 원목 장식은 100가지가 넘으며, 그 외에도 여건이 되는 데 한해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으며, 옵션 역시 다양하다. 모든 조합을 다하면 수백만 가지나 되며, 완전히 동일한 마이바흐는 단 한 대도 없다.

옵션은 당대 최신 기술이 적용된 것들이 많이 들어갔다. 여기에 언급된 옵션들은 주요 옵션들이며, 소비자가 원하면 마이바흐 측에서 적용이 가능한 선에 한해 추가를 해준다. 당연히 추가 비용은 소비자 몫이다. 서스펜션은 S클래스에도 들어간 에어매틱이 적용되었고, 내비게이션은 음성 인식 기능이 있었다. 거기다가 지금도 고급차에서 주로 볼 수 있는 4존 풀 오토 에어컨이 적용되었다. 거기다가 1열 시트 뒤에는 모니터가 존재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즐길 수 있으며, 전 좌석 마사지 기능이 존재한다.



21스피커 BOSE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되어 입체적인 사운드를 즐길 수 있으며, 1열 18방향 시트, 2열 14방향 시트, 후방 카메라, 무선 휴대폰 링크,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선루프가 적용되어 있으며, 62 모델은 여기에 2열 18방향 시트, 2열 통풍시트, 2열 전동식 커튼, 전동식 도어 등이 추가되었으며, 옵션으로 전자 제어 투명 파티션과 외부 통신 시스템, 파노라마 유리 루프, 방탄 패키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제플린 모델은 블랙 스티치가 들어간 베이지색 가죽, 곳곳에 블랙 하이그로시로 마감된 실내, 제플린 전용 샴페인 잔, 스위스의 지보단과 함께 개발한 자동 방향 장치 등이 추가로 적용되었다. 국내 기준으로 57은 6억 원, 57S는 6억 9천만 원, 62는 7억 2천만 원, 62S는 7억 8천만 원, 62 제플린은 8억 원에 판매했다. 국내에서는 벤츠코리아의 전문 컨설턴트가 구매 상담부터 계약, 출고, AS 관리까지 전담했다.




62S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62S 랜덜렛
뒤쪽 루프가 열린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62S 랜덜렛은 이름 그대로 62를 기반으로 한 파생 모델로, 랜덜렛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지붕이 앞뒤로 나뉘어 접히는 사륜마차 랜도에서 유래했다.

이를 자동차에 접목해 랜덜렛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으며, 전체 루프가 오픈되는 것이 아닌 뒷부분만 오픈되는 차를 의미한다. 코란도 소프트톱도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렌덜렛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의 자동차는 꽤 오래전부터 등장했다. 마이바흐도 1930년대 출시한 DS8에 랜덜렛 형식을 적용한 바 있다. 62S 랜덜렛은 이 차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62S 랜덜렛은 필러 부분은 그대로 두고 루프만 소프트톱으로 되어 있으며, 오픈할 때는 일반 소프트톱 컨버터블처럼 열린다. 뒤쪽 루프 전체가 오픈되는 만큼 뒷좌석 승객에게는 선루프보다 더 높은 개방감을 선사한다.


기본적인 스펙은
62S랑 동일하다


62S를 기반으로 한 만큼 스펙은 62S랑 동일하다. 차량 크기는 전장 6,176mm, 전폭 2,151mm, 전고 1,573mm, 휠베이스 3,827mm로 일반적인 차량과는 비교를 거부한다.

엔진은 62S와 마찬가지로 AMG에서 생산한 6.0리터 V12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얹었으며, 최고출력은 612마력, 최대출력은 102.0kg.m을 발휘한다. 큰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엔진을 얹은 덕분에 제로백은 5.2초에 불과하다고 한다. 변속기는 5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다.


62S 랜덜렛에는
어떤 옵션이 적용되었을까?


62S 랜덜렛은 특별한 파생모델인 만큼 62S와 어느 정도 차별화가 이루어졌다. 먼저 1열과 2열 시트 색상이 다르다. 1열 시트는 검은색인 반면, 2열 시트는 흰색으로 되어 있다. 물론 이는 기본 세팅일 뿐 소비자가 원하면 다른 컬러로 변경 가능하다.

일반 62에도 추가 비용을 내면 설치가 가능하지만 62S 랜덜렛에서는 1열과 2열을 분리해 주는 파티션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이 파티션 상단은 전자 제어식으로 불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측면에 있는 전동식 커튼까지 펼치면 뒷좌석 승객만을 위한 프라이빗 한 공간이 완성된다. 파티션에는 인포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모니터가 좌우에 설치되어 있으며, 1열과 통신 가능한 시스템도 구축되어 있다. 그 외 기본적인 옵션은 62와 동일하며,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마이바흐 측에서 적용 가능한 선에서 옵션을 추가할 수 있다.


생산 대수는 단 8대
매우 희귀한 차량


마이바흐 자체가 전 세계적으로 희귀한 편이다. 마이바흐 브랜드가 다시 부활한 후 단종될 때까지 10년 동안 불과 3천 대밖에 팔리지 않았다. 그중 렌덜렛은 2008년 생산을 시작해 단 8대만 만들어졌다. 희귀하다는 마이바흐 중에서도 매우 희귀한 차량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한 모델인 만큼 기본 가격이 100만 달러로 당시 환율 기준으로 한화 12억 6천만 원 정도였다. 기본 가격만으로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세단이었으며, 옵션을 얼마나 넣느냐에 따라 가격이 더 상승한다. 매우 희귀한 만큼 중고 가격은 그야말로 부르는 것이 값이다.


이건희 회장이
사랑한 마이바흐


소문난 자동차 마니아였던 이건희 회장은 마이바흐를 가장 사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쟁 모델인 롤스로이스 팬텀도 보유하고 있었지만은 공식 석상에서는 주로 마이바흐를 타고 나왔다. 참고로 롤스로이스나 마이바흐나 모두 이건희 회장 개인 명의로 소유한 것이라고 한다.

이건희 회장은 2004년부터 62모델을 구매해 타고 다녔으며, 2010년 후반쯤에 62S 랜덜렛으로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2011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IOC 위원을 맞이하는 자리에서 62S 랜덜렛을 타고 나온 것이 확인되었다. 이건희 회장이 탄 62S 랜덜렛은 외장 색상이 검은색이며, 실내 색상은 베이지다.



2020년 10월, 이건희 회장이 별세하면서 삼성에서는 이건희 회장이 소유했던 차들을 정리 중에 있는데, 그중 롤스로이스 팬텀은 작년 1월에 해외로 수출되었다. 다만 마이바흐 62S 랜덜렛은 수출 말소 혹은 이전 등 별다른 소식이 들려오지 않는 것으로 봐서 삼성 측에서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희소성이 워낙 높은 데다가 이건희 회장이 즐겨 탄 특별한 차량인 만큼 수출하는 것보다 보존하는 것이 더 가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출고한 지는 10년이 넘었지만 주행거리는 3만 km에 불과하다.


오토포스트 주요뉴스



▶ “이건 국뽕 차는 이야기입니다” 국내 회사들이 자동차 제조사들의 러브콜을 받는 분야▶ “제발 한 대만 골라주세요” 제네시스 GV60 VS GV70 전기차중 어떤 차를 사야할까요?▶ “해외 나간줄 알았는데 아니었네” 무려 70억 사기 견뎌내고 일반인에게 팔린 역대급 슈퍼카



추천 비추천

14

고정닉 1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224 ‘한국엔 0대’, 전세계 200대’ 도난당한 레이싱카의 차량 금액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4785 2
1223 “기아는 라이벌도 아니었죠” 대우라는 이름 달고 판매된 차중 최고였다는 국산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515 1
1222 “현대차보다 더한 놈들입니다” 프리미엄 브랜드 차주가 땅을치고 후회하는 이유 [3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5580 22
1221 “코란도 아니죠” 전설의 군토나로 만들었던 오프로더 포착됐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546 2
1220 “이제 판매 안하나요?” 람보르기니보다 안 팔리던 국산차 현황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678 1
1219 ‘가격때문에 삽니다’ 사회초년생에게 딱인 가성비 수입 SUV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610 1
1218 ‘중앙선 침범 주차’하고 당당히 짜장면 먹으러 차주의 최후 [2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4901 13
1217 이렇게만 나와주세요… 제네시스가 공개한 플래그십 전기 SUV 예상도 공개됐다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4 810 1
1216 ‘청담동 주식 부자’ 에서 사기꾼된 이희진이 타고 다닌 슈퍼카, 사실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4 883 1
1215 CEO가 직접 이런 뜻 밝혔습니다 “한국 부자들 너무 소중한 고객입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4 626 1
1214 한국 아빠들의 끝 없는 고민, 팰리세이드 vs 모하비 어떤 차를 사야할까요?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4 1024 1
1213 “딜러도 안알려줍니다” 제조사는 티도 안내는데 가성비 때문에 찾는다는 신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4 463 1
1212 “영화 아닙니다” 최근 마산항에서 실제로 포착된 배트카 실물 느낌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9224 8
1211 지프 전시장 초비상사태, 계약자들 이탈하더니 다 이차만 사러갑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679 1
1210 이러다 현대차 뛰어넘겠네..기아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 포착됐습니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592 1
1209 제 2의 쌍용차 사태 벌어지나? 중국 1위 자동차회사가 요즘 하고있는 행동 [2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5517 10
1208 “페라리도 안부럽죠” 전국 부자들 줄서서 구매한다는 한정판 포르쉐 포착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7499 9
1207 “진짜 아무도 모르죠” BMW가 이미 30년 전에 만든 코란도급 전기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610 1
1206 사자마자 1주일만에 고장 난다는 레인지로버, 실제로 그 정도일까? [2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6751 21
1205 “쿠킹호일 논란 종결합니다” 실제 사고 사례로 증명된 현대차의 안전성 [2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4743 5
1204 “아반떼인 줄 알았다” 충격적인 반응 쏟아진 타이칸 휠의 실물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1287 1
1203 현대차 임직원의 역대급 ‘주가조작 사건’ 공개되자 네티즌 반응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4030 16
1202 그랜저랑 동급? 한때 쏘나타도 추월했던 SM6가 월 300대도 안 팔리는 이유 [2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3982 6
1201 자동차 천재들이 모이니 이런 결과물이… 한국 아빠들의 영원한 드림카라는 국산차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4347 9
1200 “이러다 4천 넘겠네” 사회 초년생들 긴장하게 만들 신형 셀토스 가격 수준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1001 1
1199 민식이법 시행 2년째, 세상에서 가장 억울한 의외의 사람들이 생겼습니다 [2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4216 25
1198 ‘나올때마다 최악’이라 욕먹던 브랜드 “지금 판매량 이만큼 갱신중이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623 1
1197 제대로 화난 관계자 “일 하지 않아도 돈은 달라는데 기가 찼죠”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4330 9
1196 셀토스 급일까? 아직 국내 출시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초대박 예상되는 신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572 1
1195 쌍용 신차 J100이 싼타페·쏘렌토를 절대 넘을 수 없는 현실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522 2
1194 유출된 실내가 진짜 대박, BMW 5시리즈 지금 사면 무조건 후회합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798 1
1193 “길거리 버스들이 매일 ‘비상등’ 켜고 다닌 이유, 알고보니 의외입니다” [3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4551 12
1192 공무원이 불법주차를…결국 법까지 무시한 지자체의 최후는 이랬습니다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3068 6
1191 “하차감 미쳤다” 압구정에서 포르쉐도 압도한다는 역대급 슈퍼카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6508 10
1190 1년차 스타트업한테 졌다고? 작정한 포드가 최근 비밀리에 개발하고 있는 신기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403 1
1189 5,000만 원이면 충분, 요즘 한국 아빠들이 없어서 못 산다는 초대형 SUV 입니다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5019 1
1188 모두가 폭망할거라 외치던 2억짜리 수입 SUV “지금 사전계약만 이정돕니다”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3084 6
1187 ‘다짜고짜 창문 사이로…’ 끼어들기 실패하자 레인지로버 차주의 기막힌 행동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2566 7
1186 BMW 사장이 직접 나서 “한국 시장 너무 중요합니다” 라고 밝힌 이유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3141 7
1185 “존재감 페라리급이었죠” 헐리우드 영화에 딱 1초 등장하고 난리난 국산차 [2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3651 6
1184 “제네시스 따위랑 비교도 하지 마세요” 한때 람보르기니도 이겼던 수입차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3679 13
1183 “한국 출시하면 무조건 산다” 폭망하더니 역대급으로 변신해버린 국산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688 4
1182 이젠 이름값도 못하네, 요즘 주춤하더니 결국 초심 제대로 잃어버린 미니의 신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414 1
1181 “테슬라 바로 잡겠습니다” 결국 유럽 재진출 선언한 제네시스의 폭탄선언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2279 5
1180 천하의 FBI도 주춤하게 만드는 역대급 픽업트럭 실물 공개됐습니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515 1
1179 “개념 일본에 두고왔나?” 전국민을 황당하게 만든 역대급 주차빌런 등장했습니다 [9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4444 5
1178 “또 망하는거 아니냐” 한국 포뮬러 경기 시작도 하기전부터 논란만 터지고 있는 상황 [7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8 7978 28
1177 “제대로 되는게 없다” 쌍용차 초비상사태 터지게 만든 원인 밝혀냈습니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8 409 1
1176 한국에선 절대 못 본다, K8 조상 격이라는 기아 K 시리즈 최초의 짝수 차량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8 569 1
1175 “BMW도 이제 한물 갔네” 페이스리프트 앞둔 1시리즈의 충격적인 근황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8 514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