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피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피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갤럭시XR 언팩에서 본 차별점 110.11
- 싱글벙글 과격하지만 바른말 하는 노가다 청년 ㅇㅇ
- 와들와들 라오스에서 범죄 당할뻔한 여자 후기(스압) ㅇㅇ
- 시트콤 장르가 부활하지 못하는 이유 ㅇㅇ
- 트렁크 열고 누워서 주행…안산 도로 만행에 비난 봇물(영상) ㅇㅇ
- ‘서초 다주택자’ 금감원장 “한채 자녀에게 양도하겠다” 00
- 군침군침 돈까스에 미친사람이 느낀 한국과 일본의 돈까스 차이 수인갤러리
- 살인자 6개월 방치하다 취재가 시작되자 구속했던 살인범 근황 ㅇㅇ
- 트위터 정치 호모 만화 더 퍼왔다 ㅇㅇ
- 여성 성추행한 이장 "마을 떠난다"더니…피해자와 한 버스로 단체 여행 ㅇㅇ
- 극악극악 요즘 인생 살기 팍팍하다는 태권도촌.jpg ㅇㅇ
- [신태용] 내가 울산과 싸우면 가장 피해보는건 선수단 ATARU
- 주한미군 규모 유지', 美상원통과 국방수권법안에 최종명시 마루스쿠
- 싱글벙글 친구에게 제모받는 만화 ㅇㅇ
- 싱글벙글 워홀 다녀온 여자는 거른다는 말이 있어요 ㅇㅇ
대한항공-아시아나 하늘길 재편 시작…소비자들에게 좋은 점은?.jpg
수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가 합쳐지면서 노선 몇 개를 옮겨야 하는 상황이죠?10개 노선을 다른 항공사로 넘기는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이번에 넘기게 되는 노선은 미국 4개, 영국 1개, 인도네시아 1개, 국내선 4개를 포함해 모두 10개 노선으로 인천에서 시애틀, 호놀룰루, 괌, 자카르타로 가는 노선, 그리고 김포에서 제주, 광주에서 제주 같은 국내선이 여기에 포함돼 있습니다.작년 12월 공정위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결합을 조건부로 승인하면서 "경쟁이 제한될 우려가 있는 노선은 다른 항공사에게 넘겨라" 이런 조건을 달았거든요.왜냐하면 두 항공사가 합쳐지면서 그만큼 규모가 커지고, 비행기를 띄울 수 있는 좋은 시간대와 노선, 즉 '슬롯'과 '운수권'을 대부분 한 회사가 차지하게 됩니다.'슬롯'은 공항에서 이륙과 착륙을 할 수 있는 시간표, '운수권'은 어떤 나라에 비행기를 띄울 수 있는 허가증을 말합니다.이 두 가지를 많이 쥐게 되면 사실상 노선을 독점하게 되는 거죠.그래서 공정위가 일부 슬롯과 운수권을 다른 항공사에 나누도록 한 겁니다.공정위는 시장 충격을 줄이기 위해 전체 34개 노선 중 10개만 먼저 이전하고, 나머지 18개는 내년 상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결국 이번 조치는 하늘길 독점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그런데 이게 우리 같은 보통 소비자들한테는 무슨 의미가 있는 건가요?가장 먼저 체감이 되는 건 가격과 선택 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새 항공사 같은 노선에 들어오면 자연스럽게 경쟁이 생기고 그만큼 항공권 가격이 내려가거나 출발 시간과 서비스가 다양해집니다.예를 들어서 인천-호놀룰루 노선에 새 항공사가 추가되면 그동안 없던 시간대에 항공편이 생기거나 수하물 서비스나 마일리지 혜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항공사들끼리 경쟁이 붙으니까, 정시 운항이나 고객 응대, 환불 절차 같은 서비스 품질을 조금만 놓쳐도 바로 비교되는 효과가 생깁니다.이런 구조는 단기적으로는 항공사에게 부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항공사 간 경쟁이 자리를 잡으면서 시장 전체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효과로 이어질 겁니다.공정위는 이런 경쟁이 너무 급격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이번에는 34개 노선 가운데 10개만 먼저 이전하기로 했습니다.경쟁은 시키되, 시장이 천천히 적응할 시간을 주겠다는 취지입니다.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항공사 입장에서는 건전한 경쟁이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걸로 보입니다.마지막으로 타이완 사람들은 8만 5천 달러, 한국 사람은 6만 5천 달러, 우리랑 타이완이 이렇게 생활 수준이 많이 차이가 나요?PPP, 그러니까 구매력 평가 기준으로 1인당 GDP를 비교해 봤더니 한국과 타이완이 2만 달러 차이가 났습니다.이 '구매력 평가 기준'이라는 건, 단순히 달러로 얼마를 버느냐가 아니라, 같은 돈으로 각 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걸 살 수 있느냐, 즉 실제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입니다.그래서 이 기준으로 보면, 타이완은 한국보다 같은 돈으로 더 많은 물건과 서비스를 살 수 있다, 결국 체감 소득이나 생활 여유가 그만큼 더 크다는 의미입니다.이런 차이는 물가 안정성과 산업 구조에서 나옵니다.타이완은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세가 빠르고, 물가도 비교적 안정돼 있습니다.반면 우리나라는 팬데믹 이후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물가 부담이 더 컸습니다.그래서 IMF는 한국의 명목소득은 계속 오르겠지만, 물가를 반영한 실질 구매력은 타이완보다 느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결국 이번 비교는 단순히 소득 순위만이 아니라, 물가 안정, 산업 회복 속도, 그리고 실제 체감 생활 수준의 차이를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